모바일 AP
-
퀄컴의 스냅드레곤 S4. 24나노 공정으로 제작된 최초의 LTE 지원 원칩 모바일 AP는 과언 어떤 모습을 보여줄 것인지?Mobile topics 2012. 4. 20. 12:00
스마트폰 시대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모바일 CPU, 즉 모바일 AP를 얘기하면 이 제품이 가장 많이 언급이 될 듯 싶다. 다름아닌 퀄컴의 스냅드레곤이다. 국내에서 CDMA 상용화에 어찌보면 핵심이라고 할 수 있으며 스냅드레곤이라는 브랜드로 스마트폰에서 어쩌면 가장 많이 사용된 모바일 AP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기 때문이다. 내 기억이 맞다면 세게 최초로 1GHz 클럭을 마크한 모바일 AP가 아마도 스냅드레곤인 듯 싶다. 그만큼 모바일 AP 역사에 있어서 스냅드레곤이 차지하는 비중은 만만치 않다. 요즘은 엔디비아의 테그라 시리즈나 삼성의 엑시노스 시리즈, Ti의 OMAP 시리즈들과 함께 모바일 AP 시장 점유율을 나누고 있지만 말이다. 퀄컴의 스냅드레곤 시리즈의 가장 큰 특징은 뭘까? 아마도 통신모듈..
-
모바일 AP 시장에서 삼성이 독보적인 1위를 달리고 있다는 뉴스가 주는 의미는 뭘까?Mobile topics 2012. 4. 13. 08:30
재미난 뉴스를 하나 보게 되었다. 삼성이 스마트폰의 두뇌라 불리는 모바일 AP 시장에서 독보적인 1위를 굳히고 있다는 뉴스다. 모바일 AP(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데스크탑에서는 CPU와 같은 녀석이라고 보면 된다. 삼성이 모바일 AP 시장에서 꽤 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은 개인적으로는 나름 신선한 충격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동안 대한민국 반도체 시장에 대해서 얘기를 할 때 핵심적인 부분인 CPU 계열보다는 이른바 메모리(DRAM이나 플래시 메모리 등) 분야에서 강세를 보인다는 얘기를 했다. CPU는 인텔이나 AMD 등 미국 회사들이 꽉 잡고 있는 상황이었고 또 그 안에 들어가는 기술 역시 엄청나기 때문에 기술적인 난이도가 높은 CPU 보다는 약간 낮은 메모리 분야에서 삼성이나 하이닉스 등이 강세를 보..
-
저가 휴대폰 시장의 강자였던 중국의 화웨이와 ZTE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 도전. 이제 중국 기업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 침공이 시작된다!Mobile topics 2012. 3. 12. 08:27
화웨이, ZTE... 위에서 열거한 두 업체는 이번에 MWC 2012에서 쿼드코어 AP를 탑재한 스마트폰을 내놓은 회사들이다. 물론 여기에 LG와 HTC까지 합세해야겠지만 특별히 저렇게 화웨이와 ZTE를 얘기한 이유는 저 회사들이 중국 제조업체이기 때문이다. ZTE는 ZTE Era, 화웨이는 어센드D 쿼드라는 쿼드코어 스마트폰을 내놓았다. ZTE Era는 nVidia의 테그라3를 사용했지만 어센드D 쿼드는 화웨이가 자체적으로 만든 K3V2라는 쿼드코어 AP를 사용했다. 이 내용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일까? 보통 우리는 중국산하면 값싼, 저가의 제품들을 생각한다. 중국의 값싼 인력을 이용해서 저가의 제품을 대량생산해서 시장을 장악하는 것이 중국 기업들의 그동안의 대표적인 전략이었고 그런 선입견이 지금까지 계..
-
LTE 스마트폰의 조루 배터리 문제. 현재의 LTE 상황에서는 어쩔 수 없는 현실인데...Mobile topics 2011. 12. 5. 08:30
개인적으로 LTE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빠른속도와 높은 성능으로 나름 만족하면서 잘 쓰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어찌되었던간에 최신 사양으로 LTE 스마트폰들이 나오고 있으니, 게다가 인터넷 속도도 빠르니 당연한 생각일지도 모르겠다(물론 개인적은 생각이지만). 하지만 쓰면서 아쉬운 부분도 많이 보이는 것이 사실이니 오늘은 그 아쉬운 부분 중 하나를 조금 가볍게 써볼까 한다. LTE 스마트폰 이야기를 하면서 가장 많이 나오는 얘기가 다름아닌 배터리 소모율이 무진장 빠르다는, 이른바 조루 배터리 문제가 아닐까 싶다. 나 역시 LTE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좀 심각하게 생각하는 부분이 다름아닌 배터리 문제였고 어쩔 수 없이 보조 배터리나 이동식 충전기를 들고 다니는 상황이니 말이다. 그렇다면 왜 이런 조루 배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