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
뉴스편집에서 손을 뗀다는 네이버의 댓글, 뉴스 개편안에 대해서..IT topics 2018. 5. 10. 12:45
이 글을 쓰는 시점으로부터 하루 전, 그러니까 5월 9일에 네이버는 역삼동에 있는 네이버 파트너스퀘어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네이버 서비스의 뉴스 제공 정책과 댓글 정책에 대해서 변경되는 부분에 대해서 얘기를 했다. 이는 며칠동안 정치권을 떠들썩하게 했던 드루킹의 매크로를 이용한 댓글 조작 사건에 대한 대응 방침으로 진행된 것인데 그것과 별개로 네이버의 뉴스 정책에 대해서 이런저런 말들이 많았던 것이 사실인지라 정치권은 물론이고 언론사도 그렇고 일반 사용자들도 많은 관심이 갔던 내용이다. 네이버 모바일 첫 화면에서 뉴스가 사라진다 일단 네이버가 밝힌 뉴스 및 댓글 변경 정책의 내용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네이버 웹보다는 네이버 모바일(모바일 웹, 앱 포함)에 대한 내용이 주류를 이뤘는데 먼저 네이버 모..
-
[T*옴니아2] 언제 어디서나 내 블로그를 아주 편하게 관리해줄 수 있다면?Review 2009. 12. 16. 17:30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항상 바라는 것들 중 하나는 어디서든지 블로그를 확인하고 댓글이 달리면 댓글에 답글도 달고, 또 어디서든지 글쓸꺼리가 나오면 바로바로 썼으면 좋겠다는 것이다. 즉, any time, any where 블로깅을 했으면 하는 바램은 나같은(?) 헤비 블로거라면 대부분 갖고 있는 생각일 것이다. 보통은 블로그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노트북이 필요하다. 아니면 근처에 PC방에 가던지 말이다. 노트북이 있다면 무선 인터넷이 지원되는 카페(스타벅스나 탐엔탐스 등)에 가서 노트북으로 편하게 블로깅을 즐길 수 있다. 하지만 그 무거운(아무리 가벼운 노트북이라고 하더라도 부피와 무게는 무시할 수 없다) 노트북을 매일같이 들고 다닌다는 것은 무리다. 또 카페를 찾아다니는 것도 일이다. 물론 애그가 있다면 ..
-
트위터의 부족함을 채워주는 텀블러. DISQUS 연동으로 댓글 시스템을 구축하자.Blog 2009. 8. 4. 11:50
요즘 텀블러(tumblr)라는 서비스가 유행하고 있다. 트위터라는 SNS가 인기를 끌면서 트위터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드파티 서비스들도 덩달아 인기를 끌고 있는데 그 중에서 눈에 띄게 그 세를 확장하고 있는 서비스가 바로 텀블러다. 초창기의 텀블러가 어떤 식으로 사용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내 경우 텀블러를 쓴 이유는 단순했다. 트위터가 140자의 글자제한이 있는 단문서비스(해외의 SMS 규격에 맞추기 위해 140자로 제한했다고 한다)이기 때문에 가끔 그 이상의 글을 쓰고 싶을 때는 여러 개로 나눠서 쓰던지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미투데이는 150자의 제한이 있지만 태그로 무려 300자나 쓸 수 있기 때문에 본문 + 태그로 무려 450자라 쓸 수 있어서 나름 커버할 수 있었지만 트위터는 딱 140자로 제..
-
티맥스 윈도는 MS 윈도의 호환 윈도, 혹은 짝퉁 윈도가 되지 않을까?IT topics 2009. 5. 18. 10:15
주말에 발행했던 한국형 윈도인 티맥스 윈도의 런칭(아직 공식런칭은 아니지만) 이야기에 많은 분들이 의견을 주셨다. 뭐 내가 런칭하는 것도 아니고 티맥스 관계자도 아니기 때문에 자세한 내막은 모른다. 홈페이지에 가도 그 간단한 스크린샷 조차 보기 힘든 상황에서 그저 예전에 지인들을 통해서 들었던 이야기들을 바탕으로 나름대로 정리해서 쓴 글이었는데 생각보다 호응이 좀 뜨거웠다(내 포스트들 중에서 보기드물게 댓글이 50개가 넘은.. 물론 내 답글도 포함이지만 -.-). 그런데 포스트에 달린 댓글들을 보면서 한 두개 정도는 좀 집고 넘어가야겠다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다름아닌 호환성 문제인데 많은 댓글들이 관공서쪽에 납품하게 되면 기존에 쓰던 어플리케이션들과의 충돌은 어떻게 되는 것이냐에 대해서 쓴 글들이다. ..
-
한국 YouTube에서 동영상 올리지 말고 해외 YouTube를 사용하세요~IT topics 2009. 4. 9. 18:36
구글이 YouTube 코리아에 실명제 적용 정부방침을 적용하지 않고 동영상 업로드 및 댓글 게시를 제한하는 정책을 취했다. 어찌 보면 한국 정부의 인터넷 실명제 정책을 정면으로 비판하는 방식을 취한 것이다. YouTube에서 국가 지정을 한국으로 해놓으면 동영상 업로드 및 동영상에 대한 댓글 쓰기를 할 수 없다. 올리기 버튼을 누르면 ‘본인확인제로 인해 한국 국가 설정시 동영상/댓글 업로드 기능을 자발적으로 비활성화합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동영상을 올릴 수 없도록 조치해놨다. 물론 국가를 다른 나라로 설정하면 동영상 업로드 및 댓글 쓰기가 가능하다. 국가를 전세계로 하던지 아니면 한국 이외의 국가로 설정하면 동영상을 올릴 수 있다. 국가 선택으로 인해 서비스하는 서버 위치가 바뀌어지니 한국 이외의 국가..
-
구글리더에 댓글달기 기능이 추가되었는데~IT topics 2009. 3. 16. 09:33
구글리더에 재미난 기능이 추가되었다. 구글리더는 RSS리더인데 댓글(?)을 달 수 있는 기능이 생긴 것이다. 구글리더에는 자기가 받은 피드 중에서 지인들과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데(피드들 중에서 괜찮은 포스트의 경우 공유를 체크하면 연결된 지인들의 구글리더에서 볼 수 있다) 그 기능에 댓글기능을 더 추가해서 해당 포스트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추가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 해당 피드를 받아본 지인은 그 피드를 공유한 친구의 의견을 보고 해당 글을 판단할 수도 있기에 어찌보면 구글리더 안에서의 SNS 역할을 바라볼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이 달린 모습은 위와 같고 Share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나온다. 또한 코멘트들만 따로 볼 수도 있다. 아쉽게도 구글리더 한글버전에서는 지원하지 ..
-
2008년 학주니닷컴 통계Blog 2008. 12. 31. 18:13
뭐 다들 하는 통계지만 그래도 학주니닷컴의 2008년 연말정산(?)을 좀 해볼까 한다. 2년동안 운영하고 있는 학주니닷컴을 정리했을 때 2007년은 블로고스피어에서 자리를 잡아가면서 팽창했던 시기라면 올해 2008년은 대내외적으로 나름 인지도를 굳히는 시기였다고 본다. IT 블로그로서 나름 이름도 조금씩 알렸고 태터엔미디어에 파트너로 가입도 되었고 여러군데서 칼럼을 써달라는 요청도 조금씩 받았고 말이다. 또한 위자드닷컴의 추천블로그, 또 티스토리 우수블로그에 선정됨으로 블로거 학주니로서는 나름 기반을 다지는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이제 2008년도에 학주니닷컴이 어떻게 운영되어왔는지 좀 살펴볼려고 한다. 얼마나 글을 썼으며 얼마나 댓글이 달렸으며 얼마나 트랙백이 오갔는지. 이 모든 것들이 블로그의 소통..
-
댓글 승인제로 왈가왈부하지는 말자. 다 자기의 자유의지대로 하는데..Blog 2008. 10. 6. 19:51
요즘 블로고스피어에서 댓글 승인제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승인을 받은 댓글만 등록시키는 정책을 적용하는 블로그에 대해 소통을 가로막고 있다고 비판하는 블로거가 있는가하면 악플 때문에 어쩔 수 없어 승인제로 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는 블로거도 있다. 거기에 다음 블로거뉴스에 송고하는 포스트에 대해서는 댓글 승인제를 적용해서는 안된다는 얘기를 하는 블로거도 있다. 내 기본적인 생각은 댓글 승인제 역시 블로거가 선택해야 할 문제다. 블로그의 운영주체는 그 블로그를 방문하는 방문자가 아닌 운영하는 블로거이기 때문에 댓글을 차단하거나 트랙백을 차단하거나 승인된 댓글만 게제하는 것은 블로거의 자유의지에 달렸다는 것이다. 이것을 놓고 왈가왈부 할 수는 없다. 블로그 운영에 있어서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하..
-
트랙백, 블로그간의 소통의 키워드Blog 2008. 5. 22. 17:11
오늘 이명박 대통령이 대국민담화를 발표했다. 내용을 보자면 국민과의 소통 부재로 국민에게 심려를 끼쳐서 죄송하고 한미FTA가 조속히 국회에 의결되기를 희망한다는 내용이다. 여러 언론에서는 대통령 취임 3개월밖에 안되었는데 벌써 담화를 발표하고 고개숙이는 모습을 보며 빨리 대통령이 제정신 차리길 원한다고 하고 있다(물론 조중동을 비롯한 경제지 등 보수언론(이라 칭하지만 꼴통언론이라 부른다)들은 야당 잘못으로만 몰고가고 있지만 말이다). 이렇듯 대국민담화의 주제는 국민과의 소통과 한미FTA 비준이다. 뭐 이런 이야기를 쓸려고 하는 것은 아니고. 대통령도 국민과의 소통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당연한 이야기다. 살아가는데 있어서 상대방과의 원활한 소통은 필수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소통은 실생활에서 뿐만 ..
-
블로그에서의 소통, 이제는 직접적으로 해볼까..Blog 2008. 5. 7. 16:57
블로그가 점점 변모하고 있다. 웹2.0의 대표적인 서비스인 블로그는 재작년부터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하더니 작년에는 폭발적인 성장을 보였으며 올해도 양과 질이 더욱 커질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예상이 계속 나오고 있다. 이미 네티즌들의 절반 이상이 블로그를 소유하고 있다는 비공식 통계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며 국민서비스라 불리던 싸이월드 미니홈피보다 더 많아진지가 오래다. 이렇듯 블로그는 계속 성장중이며 온라인 여론을 이끌고 있는 첨병 역할을 하고 있다. 이렇듯 블로그는 자기만의 의견을 남에게 내보일 수도 있고 다른 사람으로부터 반응도 이끌어낼 수 있는 마법의 저작도구로 확산되어 지금까지 성장해왔다. 그러나 블로그를 통한 소통은 느슨한 소통이고 직접적인 것이 아닌 간접적인 것이기 때문에 소통과 소통 사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