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쟁
-
논쟁의 중심으로 떠오른 공인인증제도. 보는 관점에 차이로 인해서 논쟁이 시작된 것이 아닐까?Security 2013. 7. 8. 15:26
페이스북 그룹 중 '한국IT인 연합회'라는 그룹이 있다. 여기에 가입해서 정보들을 서로 공유하고 있는데 최근에 공인인증서 관련 논란이 벌어졌다. 찬성쪽과 반대쪽이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면서 논쟁을 벌였는데 뭐 페이스북의 특성 상 서로 고성이 오가는 그런 싸움은 없었고(적어도 실명이 보장되는 상황이라 여차하면 칼부림 날 수 있는 논쟁꺼리였는데 신사적으로 잘 이야기가 오가는 듯 싶었음) 나름 더 괜찮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아래의 글은 공인인증서 폐지에 대한 논란(원래 오픈넷에서 요구했던 것은 공인인증서의 폐지였다고 들었다. 내가 느낀 부분도 그랬고. 그러다가 중간에 공인인증서에서 공인이라는 자격을 빼자는 쪽으로 바꿨는데 결국 결과적으로는 폐지하는 것과 별반 다를 것이 없는 상황이다)에 대해..
-
한국 블로고스피어에서 파워블로그는 존재할까?Blog 2008. 11. 23. 19:35
요즘들어 블로그에 대한 이야기들이 많이 올라온다. 블로그들 중에서도 파워블로그라 불리는 블로그에 대한 이야기들이 많이 블로고스피어에 떠다니고 있는 듯 싶다. 우리는 흔히 블로고스피어에서 유명하고 어느정도 영향력이 있는 블로그를 파워블로그라고 얘기하고 그 블로그에 적어도 블로고스피어 안에서의 권력을 쥐어주고 있는 듯 싶다. 그리고 이러한 파워블로그의 영향력에 기업들은 블로그 마케팅이라는 것을 접목시켜 좀 더 값싸게 마케팅을 하는 것이 최근 많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파워블로그라는 것은 존재할까? 블로그에 파워를 가질 수 있을까? 블로그가 어떤 언론매체와 같은 미디어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해서 그것이 여론을 움직이는 매개체가 될 수 있을까? 결국 블로그가 권력을 지닐 수 있을까 하는 생각에 ..
-
RSS의 공개여부? 블로그의 철학에 따른다.Blog 2008. 1. 21. 10:11
요즘 RSS의 공개 부분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다. 부분공개가 좋은 것이냐 전체공개가 좋은 것이냐에 대해 블로고스피어에서 많은 논쟁이 있는 것으로 안다. 나 역시 예전에 논문을 쓴답시고 RSS에 대해서 약간 공부한 적이 있었는데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지금의 논쟁을 나름대로 생각해보고자 한다. RSS. 2가지 의미가 있다. RDF Site Summary의 약자, 혹은 Really Simply Syndication의 약자로 정의된다. 전자는 RSS 1.0을 의미하고 후자는 RSS 2.0을 의미하며 최근 블로그나 기타 사이트에서 지원하는 RSS는 대부분 RSS 2.0을 의미하므로 후자의 의미를 사용한다. 원래는 팟캐스팅용으로 많이 사용되던 프로토콜인데 블로그 등에 채택되면서 급격히 확산되어 지금에 ..
-
한쪽만을 보고 전체를 판단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Current topics 2007. 8. 18. 18:36
어제 쓴 블로그 포스팅 중 ‘탈레반에 붙잡힌 23명의 피랍자들을 보며‘ 라는 글에 의외로 이런저런 이야기들을 많이 해주신거 같다. 나 역시 그들의 무사 생환을 마음 깊이 바라고 있으며 하나님께 기도하고 있다. 오늘 아침에 뉴스를 보니까 또 24시간이 연장된 듯 하다. 그리고 탈레반이 아프간 정부와의 협상에서 진척이 없자 바로 한국 정부에 직접 협상을 요구하고 있다고 소식을 들었다. 인질들을 이용한 자기들 이익 챙기기라는 뻔히 보이는 수법이지만 한국 정부 입장에서는 피랍되어 있는 23명의 국민 목숨과 연결되어 있는 문제라 신중히 접근하고 있는 것 같다. 일단 한국 외교부의 협상력을 한번 믿어보는 수 밖에. 솔직히 블로그 뿐만 아니라 어느 토론장에서든간에 절대로 해서는 안될 얘기라고 하는 것이 바로 정치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