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출
-
구글 검색 결과 변화에 휘청거리는 위기의 미국 온라인 업계들. 과연 국내는?IT topics 2011. 3. 24. 08:30
미국 온라인 업계에 구글발 살생부가 돌아다니고 있다. 살생부라기 보다는 구글이 아예 생계의 터전을 밀어내고 있다고 봐도 될 것이다. 최근 구글이 검색결과 알고리즘을 변경했다는 소식이 전해졌고 그 결과 미국에서 각 온라인 사이트에 대한 트래픽 변화가 요동치며 사이트 수익에 차이가 생기고 그로 인해 회사의 규모를 줄이거나 망하는 회사들도 나오고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간단하게 요약하면 이런 것이다. A라는 사이트가 있는데 전에는 구글 검색의 상위에 랭크되어서 하루에 평균 15만 히트의 트래픽을 기록했고 평균 $1000정도의 수익을 냈었다고 한다. 그리고 A를 운영하는 B라는 회사는 A를 운영하기 위해 직원을 10명정도 두고 있었다. 그런데 구글의 검색결과 알고리즘의 변화로 인해 A는 검색의 상위는 커녕..
-
처음 본 사람도 구글링을 통해서 모든 정보를 알 수 있는 세상이라는게...IT topics 2010. 7. 6. 11:50
Mashable에 나온 내용인데 구글의 무서움을 살짝 보여주는 만화라고나 할까. 처음 만나는 사람에 대해서 그 사람에 대한 정보를 알고 싶을 때 이름만 알면 구글링해서 그 사람의 정보를 다 알아버린다는 만화다. 뭐 만화를 보면 내용을 다 이해하겠지만 말이다. 그런데 이 만화가 얘기하고자 하는 내용은 처음 본 사람의 정보도 구글을 통해서 손쉽게 알 수 있다는 것이 아닌 내 개인정보가 인터넷에 마구 떠돌아다니고 있으며 구글링을 통해서 쉽게 다른 사람들에게도(나를 모르는) 노출되어 있다는 것이다. 예전에 페이스북의 창시자인 마크 주커버그가 개인 프라이버시가 인터넷 시대에 들어와서 많이 퇴색되었다는 요지의 발언을 한 적이 있다(물론 이 발언과 함께 페이스북의 개인 프라이버시 정책 변경으로 꽤나 욕 좀 얻어먹었지..
-
구글 코리아 메인에 노출되었더니.. 멋지구나~~~Blog 2009. 12. 14. 21:19
오늘 포스트로 올린 글은 하나였다. 그것도 오후에 올렸던 글 하나.. 그런데 갑자기 카운터가 뛰기 시작했다. 하루 평균 2500~3000 정도 찍는 것을 감안했을 때 아까 오후 5시쯤에 본 카운터가 3000이 넘어갔다는 얘기는 다음 뷰 베스트에 올랐거나 네이버에서 오픈캐스트에 누군가 내 글을 띄워줬을 때인 듯 싶다. 가끔 올블로그나 블로그코리아에서 노출되어 들어오는 경우도 있으나 그렇게 많지가 않고 믹시 역시 큰 영향력은 없는 듯 싶다. 그런데 다음 뷰 카운터를 봐도 생각만큼 안올랐고 리퍼러를 봤을 때도 네이버로의 유입은 적었다. 그러면 뭘까? 가만보니 리퍼러에 구글이 많이 찍혀있다. 구글? 내 블로그에 구글 검색을 통해서 유입되는 트래픽은 쫌 존재한다. 그래도 이정도는 아닌데 싶었다. 게다가 'goog..
-
블로터닷넷을 통해 네이버 메인에 한번 노출된 '학주니'와 모트윗.. ^^;Blog 2009. 12. 7. 09:32
어제 갑자기 문자가 하나 왔다. 예전에 혜민아빠님의 요청으로 찍었던 미니 인터뷰 중에서 윈도 모바일용 트윗 어플인 모트윗(moTweet)을 설명한 인터뷰가 있었는데 그것이 네이버의 메인으로 올라갔다는 내용이다. 문자를 받았을 때는 저녁을 먹기위해 밖에 있었기에 확인을 못했는데 집에 들어와서 이제야 한번 확인을 해봤다. 네이버 메인에 올라갔다는 것은 네이버 뉴스캐스트 중에 블로터닷넷에 블로거 미니인터뷰터 모트윗 소개 포스트가 올라갔다는 얘기였다. 최근 블로터닷넷도 뉴스캐스트에 편입되어서 본격적인 인터넷 미디어 언론사로서 활동하고 있는데 그 덕분에 저 포스트도 빛을 보게 되었다. 해당 포스트는 혜민아빠님이 블로터닷넷에 송고한 모트윗 소개 영상이었다. 좀 쑥쓰러웠던 것은 내 닉네임인 '학주니'가 그대로 노출되..
-
폭발적인 성장세의 트위터, 과연 블로그를 대체할 서비스인가?Blog 2009. 7. 21. 16:47
최근 트위터가 급상승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거의 대세로 굳혀지고 있을 정도로 엄청난 급상승을 기록하고 있는 중이다. 작년에 만들어진 트위터는 미국 대선에 오바마 대통령의 선거전략도구로 사용되면서 인지도를 높히더니 이제는 페이스북, 마이스페이스, 베보에 이어 4번째로 규모가 큰 SNS로 성장했다. 국내 역시 올해 초반에는 몇몇 얼리어뎁터나 IT 관련 엔지니어들을 중심으로 사용되다가 김연아의 트위터 가입으로 엄청난 성장을 이뤘다. 이미 국내 SNS의 대표주자라 할 수 있는 미투데이의 트래픽을 넘어섰으며 계속 그 성장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다보니 몇몇 전문가들은 트위터의 폭발적인 성장세로 인하여 현재 열심히 성장중인 블로그가 그 빛을 잃게 될 것이며 그 자리를 트위터가 대신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
빠른 트래픽 회전으로 서로 윈-윈을 꾀하고 있는 해외에 비해서 국내는...IT topics 2009. 6. 21. 10:00
포탈서비스의 원래의 목적은 검색결과를 통해서 다른 웹서비스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게 통로를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었다. 포탈서비스의 원형이라 불릴만 했던 초기의 야후가 그러했고 알타비스나, 라이코스, 인포시크 등의 과거에 인터넷을 주름잡았던 검색서비스들이 대부분 그런 목적으로 만들어진 사이트들이었다. 그리고 현재는 구글이 그러한 검색포탈로서의 기능을 충실하게 잘 지키면서 전세계 No.1 검색엔진으로서의 위용을 보이고 있다. 최근 아이뉴스24에서 “검색업계, ‘빨리 내보내기’ 경쟁 본격화”라는 제목의 기사를 읽게 되었는데 내용도 읽을 만 하고 생각해볼 꺼리도 있는 듯 싶다. 최근 검색엔진이나 포탈사이트의 경우 과거와 같이 오랫동안 사용자들을 묶어두고 광고를 노출시키거나 하는 전략에서 사용자들로 하여금..
-
미국에서나 가능한 애드센스 맞춤 컨텐츠 공급 사이트.IT topics 2007. 7. 13. 18:42
요즘 미국에서는 신생 웹 사이트 하나를 둘러 싼 논쟁이 뜨거워지고 있다고 한다. 돈 주는 블로그 사이트, 문제있다! (ZDNet Korea) Pay-for-blogging site raises questions (CNetNews.com) 바로 Associated Content(이하 AC)라는 웹 사이트가 그 논란의 중심에 있다. 이 웹 사이트에 대해서는 자세히는 모르지만 위의 기사에서 소개하는 것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받아서 게제하는 정보 포탈이며 다른 포탈 서비스 등에 자기 웹 사이트에 있는 컨텐츠의 사용 라이센스를 공급하는 서비스라고 하고 있다. 간단히 설명하면 다른 사람들의 컨텐츠를 사서 AC 웹 사이트에 게제하고 다른 포탈 사이트 등에 AC 웹 사이트에 있는 컨텐츠의 사용 라이센스를 공급한..
-
컨텐츠 신디케이션에 대해서 (RSS Feed의 배급)IT topics 2007. 6. 18. 10:10
컨텐츠 신디케이션에 대해서 1. RSS 역사 2. RSS Feed의 요청 3. RSS Feed의 배급 RSS Feed의 요청이 있으면 요청을 받은 웹 사이트는 RSS Feed를 배급해야 한다. 그럼 RSS Feed 배급을 하는 웹 사이트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자. RSS Feed 배급 RSS Reader나 개인화 페이지와 같은 프로그램으로부터 구독이 되어 RSS Feed를 요청을 받게 되면 요청을 받은 웹 사이트는 요청받은 내용을 RSS 형식의 Feed로 만들어서 요청한 프로그램에게 전송한다. 이 과정을 RSS Feed 배급이라고 한다. 자신의 컨텐츠를 요청한 프로그램에게 전달하는 것을 배급하는 것으로 표현한 것이다. RSS를 지원하는 웹 사이트는 한마디로 RSS Feed 배급이 가능한 웹 사이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