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밀문서
-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업무 진행. 효율성은 좋지만 보안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데, 그에 대한 해결책은?Security 2013. 12. 30. 08:00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들이 우리들의 삶 속으로 깊게 파고들기 시작한 것은 어떻게 보면 몇년 안된 최근의 일입니다. 스마트폰이라 불릴 수 있는 MS의 윈도 모바일이 탑재된 PDA폰은 지금으로부터 8~9년전에도 있었던 휴대폰입니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활성화와 삶과의 직접적인, 긴밀한 연결이 시작된 것은 2007년 애플이 아이폰을 내놓은 다음부터라고 보여집니다. 또 태블릿PC의 활성화 역시 2010년에 애플이 아이패드를 선보인 다음부터라고 봐야 할 듯 싶습니다. 어찌되었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는 짧게는 3년, 길게는 6년 정도의 짧은 역사(?)를 지닌 아이템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이런 스마트 디바이스가 없는 삶은 거의 상상하기 힘들 정도가 되었습니다. 기업들의 ..
-
기업의 내부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하는 DRM. 사용자는 불편을 느끼지만 기업에게는 어쩔 수 없는 방어책일 수 밖에 없는데..Security 2013. 7. 18. 07:51
DRM이라고 들어봤나요? Digital Rights Management의 약자로 한글로 풀어보면 전자 권리 관리입니다. 간단히 얘기해서 디지털 저작물 보호 및 관리를 의미하는 얘기입니다. 디지탈 저작권에 관련된 이야기라고 보면 될 듯 합니다. 오늘은 이 DRM에 대해서 얘기해볼까 합니다. 생각보다 DRM의 분야도 다양하고 알려진 부분 이외의 다양한 이야기들도 많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DRM은 2가지라고 봅니다. 하나는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문서를 저장할 때 보안을 걸어서 사용자 인증을 받지 못한 사람에게는 문서를 열람조차 못하게 하는 이른바 문서 DRM이라 불리는 문서 보안 솔루션이고 또 하나는 멜론, 도시락 등 음원 서비스에서 제공하고 있는 음원 DRM이라 불리는 디지탈 음원 보안 솔..
-
스마트폰 증가. '모바일 오피스' 활상화 될까?Mobile topics 2010. 8. 17. 09:00
스마트폰이 활성화된 이후 개인이든 회사든 사용패턴과 함께 삶의 방향도 많이 바뀌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먼저 개인의 경우 스마트폰을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여 생활에 도움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간단하게는 메모관리나 일정관리부터 시작해서 해야 할 일 등을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관리하기도 하고 이메일을 주고받기도 합니다. 지도 서비스를 이용해서 내가 모르는 장소를 찾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어떻게 목적지에 갈 수 있는지 알아낼 수 있으며 또 버스가 도착하는 시간을 체크하기도 합니다. 또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해서 온라인으로 신문을 읽고, 전자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독서를 할 수도 있습니다.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같은 SNS를 사용해서 지인과 소통을 하기도 하고 또 심심하면 게임도 즐길 수 있습니다. 이렇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