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CE
-
MS가 직접 스마트폰을 만들어? 그렇다면 준 폰은 윈도 폰? 과연?Mobile topics 2010. 2. 5. 11:50
과연 MS에서 스마트폰이 나올까? 최근 인터넷을 달구는 뉴스들 중 하나가 바로 MS가 직접 만든다고 알려진 스마트폰인 준폰(Zune Phone)에 대한 루머다. 과거부터 꾸준히 제기되어 온 MS의 스마트폰 제조설 루머에 핵심이 바로 준폰으로 MS의 PMP인 ZuneHD에 전화기능이 추가되어 준폰이 되어 나올 것이라고 계속 루머가 돌고 돌았다. 이번에 떠도는 루머의 진원지는 스페인의 IT 뉴스 블로그인 무이컴퓨터(구글 번역으로 영어로 번역된 사이트)라는 사이트다. MS가 이번에 MWC 2010에서 준폰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어느정도 구체적인 스팩까지 거론하면서 말이다. ZuneHD의 USB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분석해서 나온 내용을 바탕으로 준폰에 대한 어느정도 구체적인 물증을 잡은 듯 싶다. 그..
-
강력한 임베디드 컴퓨팅을 위한 윈도 임베디드, 그런데 윈도 임베디드 서버는 왜?IT topics 2009. 10. 19. 08:50
보통 MS에서 판매하고 있는 플랫폼이라고 하면 어떤 것들이 떠오를까? 뭐 윈도 95로부터 시작하여 윈도 XP, 비스타, 최근에 나올 예정인 윈도 7에 이르는 이른바 윈도 플랫폼들이 있을 것이다. 또 기업 입장에서는 서버용으로 사용하는 윈도 2000 서버, 윈도 2003 서버, 윈도 서버 2008과 같은 서버 플랫폼도 있다. 또 최근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모바일용 플랫폼인 윈도 모바일도 있다. 이 외에 또 없을까? 최근 나오고 있는 PMP나 네비게이션은 다양한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지만 예전에 나온 PMP나 네비게이션은 윈도CE라 불리는 윈도 임베디드 플랫폼을 사용했다. 지금도 국내의 네이게이션이나 PMP의 경우 윈도CE를 많이 사용한다. 즉, WinCE라 불리는 윈도 임베디드 CE와 같은 윈도 임베디..
-
스마트북에 더 어울리는 모바일 OS는 안드로이드가 아닌 WinCE?Mobile topics 2009. 6. 22. 09:00
퀄컴은 자사의 최신 모바일 칩셋인 스냅드레곤 칩셋을 이용해서 만든 스마트북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스마트북은 스마트폰과 넷북의 중간단계에 속하는 모바일 인터넷 단말기(MID)로 일반적으로 인텔의 아톰 프로세서와 윈도를 탑재한 저사양, 저전력 소형노트북인 넷북(거의 그렇게 표준화된 듯 싶다)에 어찌보면 대항하기 위한 MID로 일반적으로 윈도와 같은 데스크탑 OS를 탑재하는 넷북과는 달리 안드로이드, Windows CE(WinCE) 등의 임베디드 플랫폼을 탑재하는 것이 특징인 MID라고 보면 된다. 좀 단편적인 이야기일 수 있지만 스마트북은 인텔 CPU들이 휩쓸고 있는 넷북 시장을 겨냥해서 ARM 코어 진영이 내세운 MID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 아직 ARM 코어가 데스크탑용 윈도를 지원하기에 파워..
-
MS, 임베디드 시장까지 천하통일을 노리나..Mobile topics 2008. 5. 6. 12:25
저번주에 MS에서 주최한 Windows Embedded Developer Conference를 다녀와서 여러가지 생각이 많이 들었다. MS가 윈도를 이용하여 PC OS 환경에서는 천하통일을 한 상태고 서버 시장에서도 이제는 윈도 서버가 유닉스 서버에 근접할 만큼 점유율을 높혀놓은 상태다. 즉, OS라는 분야에 있어서 MS, 그리고 윈도가 차지하는 비중은 PC, 서버 다 합쳐서 본다면 절대급까지는 아니지만 거의 절대급에 가까이 있으며 MS는 이런 위치를 이용하여 새로운 분야에까지 그 비중을 늘릴려고 하고 있다고 본다. 현재 MS가 바라보고 있는 분야는 역시나 플랫폼 분야일 것이다. OS도 플랫폼의 한 종류로 봐야 할 것이며(엄밀히 따지면 플랫폼보다 더 큰 개념이기도 하지만) 현재 MS가 집중하고 있는 분야..
-
임베디드 OS 시장도 MS가 강세 (WinCE의 점유율 증가)IT topics 2007. 7. 13. 10:31
내가 하는 일이 DRM 솔루션을 개발하고 그 솔루션을 PMP, PDA, 휴대폰 등의 임베디드 디바이스에 장착하는 일이기 때문에 임베디드 OS 시장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하는 일이 그쪽이니까 어쩔 수 없다. 그러는 가운데 인터넷 뉴스에 다음의 기사가 떠서 흥미있게 보게 되었다. PMP 운영체제 MS가 점령 (아이뉴스24) 내용을 보면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PMP에 탑재되고 있는 OS가 대부분이 MS의 WinCE라는 이야기다. 나 역시 기사에서 언급하고 있는 회사에 직접 접촉해서 담당 엔지니어들과 일하면서 많이 느꼈던 부분도 WinCE 제품들이 많아졌고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것이라는 생각이다. 기사에서처럼 PMP에 WinCE를 탑재하는 이유중 가장 큰 이유는 네비게이션 기능의 탑재 때문이다. 국내에서 ..
-
필요한 것만 골라서 척척…맞춤형 OS「윈도우 XP 임베디드」Mobile topics 2007. 4. 23. 11:50
ZDNet Korea 기사를 읽으면서 재미난 기사를 하나 봤다. 필요한 것만 골라서 척척…맞춤형 OS「윈도우 XP 임베디드」(ZDNet Korea) 윈도우 XP 임베디드 플랫폼의「전략과 미래」(ZDNet Korea) 윈도XP의 다른 버젼인 XP Embedded다. PDA나 PMP등의 이동식 단말기용으로 제작된 OS다. 우리가 알고있는 Windows CE와는 또 다른 OS다. 요즘 PMP나 PDA, 폰쪽의 OS가 Embeded Linux에서 점점 WinCE로 넘어가는 추세에 MS에서 개발한 또 다른 임베디드용 OS가 윈도XP Embeded다. 앞서 얘기했지만 WinCE와 XP Embeded는 다른 OS다. WinCE는 그 자체만으로 독립된 OS며 노트북에도 탑재 가능한 OS지만 XP Embeded는 컴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