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K
-
어떤 삼성 휴대폰에서도 쓸 수 있는 위젯을 만들자. 삼성, 터치위즈 SDK 공개!Mobile topics 2009. 8. 25. 08:50
삼성의 UI 솔루션인 TouchWiz(터치위즈)용 SDK가 이번에 공개되었다고 한다. 터치위즈는 삼성이 햅틱을 만들면서 만든 햅틱 UI를 개량하여 삼성 고유의 모바일 UI 솔루션으로 버전업 시킨 것이다. 삼성전자는 햅틱, 햅틱2, T*옴니아 등에 햅틱 UI를 개량해서 탑재하고 그 이후에 아예 자체적으로 솔루션화 시켜서 삼성전자에서 나오는 대부분의 모델에 다 적용을 시키고 있는 중이다. 현재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햅틱 아몰레드 역시 터치위즈 2.0(국내에서는 햅틱 UI 2.0이라고 불린다)이 들어가 있으며 옴니아 2에도 터치위즈 2.0이 탑재되어 있다. 이는 LG의 S-Class UI와 비슷한 개념으로 보면 된다. 이번에 공개된 터치위즈 SDK는 위젯을 만들 수 있게 해주는 SDK다. 터치위즈 UI가 위..
-
LG도 앱스토어 전쟁에 뛰어들다. LG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런칭Mobile topics 2009. 7. 13. 16:56
LG도 오픈마켓 시장에 뛰어들었다. 이번에 LG전자는 휴대폰 사용자를 위한 온라인 컨텐츠 장터를 마련했다고 한다. 이름은 'LG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라고 하는데 이는 삼성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스(Samsung Mobile Applications)에 이은 국내 제조업체로는 2번째 오픈마켓이다. 재미난 것은 삼성이나 LG나 일단 국내가 아닌 해외 사이트를 먼저 개설했다는 것이다. LG는 LG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일단 호주와 싱가폴에 먼저 런칭한 이후 15개의 언어로 전세계로 런칭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한다. 즉, 국내 런칭계획은 언제인지 모른다는 것이다. 이는 삼성도 비슷한 전략인 듯 싶다. 아무래도 시장의 크기가 작은 국내보다는 유럽 등의 해외로 먼저 규모를 키우겠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여하튼 간에 ..
-
윈도 모바일 6.5, 개발자들을 위한 버전이 곧 공개된다...Mobile topics 2009. 4. 20. 06:28
MS가 MWC 2009에서 벌집모양의 허니쿱 UI를 내세우면서 윈도 모바일 6.5(Windows Mobile 6.5, WinMo 6.5)을 발표한 지도 어언 2개월이 지난 듯 싶다. MWC 2009가 2월 달에 열렸으니 꽤 많이(?) 세월이 지남 셈이다. 그리고 아직까지 제대로 된 실체 없이 베타 버전만 떠돌아 다니고 있었다(대표적인 것이 HTC의 Touch HD나 Touch Diamond 2에 WinMo 6.5를 포팅했다던지 도시바의 TG01에 WinMo 6.5를 포팅해서 나오는 동영상 시연 등이 그것이다). 조만간 정식 버전이 나온다 어쩐다 말들만 많은 상황이었다. 그런데 다음 달에 WinMo 6.5가 데뷔를 한다. 엄밀히 따지면 공식 데뷔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어찌되었건 공식적으로 발표되는 것은 마찬..
-
SKT, SK표준플랫폼으로 한국판 앱스토어를 만들려고 하는데..Mobile topics 2009. 3. 10. 14:45
SKT가 이번에 한국형 앱스토어를 9월에 런칭한다고 발표했다고 한다. 6월에 베타 테스트에 들어가고 9월에 런칭하는 수순을 밟겠다는 것이다. 국내에서 제조사로서는 삼성이 유럽에서 삼성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런칭했지만 국내에는 아직 오픈하지 않았기에 어찌보면 SKT가 최초의 시도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일단 발표내용을 보면 어떤 플랫폼(윈도 모바일, 심비안, 임베디드 리눅스 등)에서도 돌아갈 수 있는 SK표준플랫폼을 제공하고 그 플랫폼에 맞는 SDK(개발 툴 킷)를 제공하여 개발자들로 하여금 탑재된 플랫폼에 관계없이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 그 골자인 듯 싶다. 참고로 현재 SKT에서 제공하는 휴대폰들은 워낙 다양한 플랫폼들을 사용하고 있어서 모든 휴대폰에 다 ..
-
G1 발표로 분위기가 고조된 안드로이드의 활성화를 위해 SDK 1.0을 발표한 구글!Mobile topics 2008. 9. 25. 23:20
구글이 안드로이드 플랫폼에 대한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듯 보인다. 구글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장착한 첫 번째 휴대폰인 G1이 발표된 직후 구글은 안드로이드 SDK 1.0을 발표했다. G1 발표로 한껏 분위기가 달아오르고 있는 시기에 편승해서 안드로이드 플랫폼 확장에 나섰다고 보인다. 기존에 발표되었던 안드로이드 SDK 0.9과 SDK 1.0의 차이점은 바로 실제로 안드로이드 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G1이라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이 장착된 구글폰이 나왔기 때문이다. 그리고 안드로이드 SDK로 만든 어플리케이션은 구글이 애플의 앱스토어를 본따서 만든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구매하거나 무료로 받아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플랫폼과 개발할 수 있는 환경에 유통채널까지 이제는 구..
-
모바일 OS 시장의 현재 상황은 어떨까?Mobile topics 2008. 6. 26. 13:50
현재 전 세계적으로 모바일 OS에 대한 현황은 어떨까? 이번에 노키아에서 모바일 OS의 맹주자리를 지키고 있는 심비안을 인수한 후 오픈소스로 공개하겠다고 나선 이후에 모바일 OS에 대한 관심이 많아진듯 보인다. MS의 윈도 모바일, 구글의 안드로이드, 노키아의 심비안, 애플의 iPhone OSX 등의 현재 모바일 시장을 이끌고 나가고 있는 OS의 현 상황을 조금 살펴보도록 하자.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OS는 수십가지가 넘는다. 위에서 언급했던 안드로이드, iPhone OSX, 윈도 모바일, 심비안을 제외하고도 자바의 J2ME도 OS급으로 속할 수 있고 임베디드 리눅스를 개량한 모바일용 리눅스도 수십가지(어쩌면 수백가지일수도)에 이른다. 리눅스의 경우 커널이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하드웨어에 맞춰서..
-
소프트웨어 개발로 눈을 돌리고 있는 휴대폰 시장..Mobile topics 2008. 4. 7. 11:01
휴대폰 시장에서 개발 플랫폼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그동안 터치스크린에 집중해온 삼성전자, 노키아 등의 휴대폰 제조업체들이 그 휴대폰을 이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에 눈을 돌리고 있다는 뉴스가 들려오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휴대폰 제조업체들은 휴대폰의 기계적인 기능 부분에만 신경을 써왔다. 휴대폰에서 MP3를 재생할 수 있는 MP3P 기능이나 디지탈 카메라 내장 기능, 거기에 디지탈 캠코더 기능과 동영상 재생 기능 등은 소프트웨어가 동반한 기술이기는 하지만 하드웨어적인 부분이 강한 기술들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터치스크린 기술을 기반으로 휴대폰 시장의 주도권을 둘러싼 전쟁을 치루고 있다. 이렇게 휴대폰 제조업체들이 하드웨어에 신경을 집중하는 동안에 휴대폰에 들어가는 소프트웨어 부분은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