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PM on Cloud
-
고객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IBM의 BPM on Cloud 이야기IT topics 2016. 6. 9. 10:34
이 블로그를 통해 IBM의 BPM on Cloud(이하 BPMoC)에 대해서 소개를 했다. 규모가 있는 기업에서의 업무 프로세스나 아니면 여러 기업들이 컨소시엄을 맺어서 진행하는 대형 프로젝트의 경우 업무 프로세스들에 통일성이 없으면 아무래도 작업의 효율성이 많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에 BPM은 규모가 어느정도 있는 업무, 혹은 기업에서는 효율성 증가를 위해서 필요한 솔루션이라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큰 프로젝트나 대기업이 아니더라도 많은 프로세스들로 이뤄진 일이며 빠른 의사소통 및 자료 공유가 필수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기업이라면 충분히 도입을 고려해봄직한 솔루션이 BPM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BPM on Cloud의 장점 IBM의 BPMoC의 장점에 대해서는 이미 이전 글에서 소개를 했..
-
IBM BPM on Cloud를 가볍게 맛본다면..IT topics 2016. 5. 24. 17:17
이전에 포스트들을 통해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에 대해서 알아보고 또 IBM의 BPMoC(BPM on Cloud)의 특징에 대해서도 살펴봤다. BPM이 필요하고 또 중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아무래도 규모가 큰 프로젝트, 혹은 기업에서 도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쉽게 접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BPM이 어떤 녀석인지 좀 알아보는 것이 그렇게 쉽지는 않다. 하지만 BPM에 대해서 좀 더 편하게, 또 쉽게 경험할 수 있는 방법을 IBM의 BPMoC에서 제공해주는데 어떻게 제공해주는지 좀 살펴볼까 한다. 오늘은 기본적으로 어떤 녀석인지 맛보기를 볼 수 있는 데모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다음에는 간단하게 직접 BPM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한다. IBM의 BPM..
-
BPM의 필요성과 IBM의 BPMoC의 특징IT topics 2016. 5. 17. 18:08
일전에 이 블로그를 통해서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에 대해서 언급한 적이 있다.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가 왜 중요한가, 아니 왜 필요한가라는 얘기를 하는 분들도 계신다. 요즘 많이 생기고 있는 스타트업 기업들이나 중소기업, 혹은 밴처기업 등 규모가 작은 기업의 경우 의사결정이 빠르고 그에 따르는 프로세스 전환이나 서로간의 업무 프로토콜이 많지 않아서, 혹은 한명이 여러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다보니 스스로가 결정하고 진행하면 되는 구조일 수 있기에 BPM이 어쩌면 거추장스럽고 오히려 불편하고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당장의 경우만 생각한다면 BPM에 신경쓰기 보다 제품 생산, 혹은 개발, 업무 진행에 더 신경쓰는 것이 나을 수 있다. 하지만 ..
-
적은 투자로 효과적인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를 위한 BPM 플랫폼을 살펴본다면?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IBM BPMoC 이야기IT topics 2016. 5. 9. 07:39
어떤 일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한번에 뭔가 진행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어떤 결과를 얻어내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한다는 얘기다. 보통 프로세스를 거친다고 하는데(단계나 프로세스나 거의 동일한 의미로 쓰인다) 어떤 일을 하기 위해 준비 과정이 있고 준비 과정에서 만들어진 결과물들을 조합하여, 혹은 이용하여 내가 원하는 결과를 만들어내는 실행 과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우유를 사는 것에 대해서 프로세스화 시켜서 생각해보자. 마트에 들어가서 우유 코너로 이동한다. 그리고 내가 원하는 우유를 선택한 후 계산대로 와서 카드나 현금으로 결제를 한다. 그 후에 우유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을 단계별로 표현하면 '마트에 들어감 -> 우유 코너로 이동 -> 우유 선택 -> 계산대로 이동 -> 카드나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