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채인식
-
불편한 공인인증서와 ActiveX, 완전 폐지는 어려울 듯 싶고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은?Security 2017. 3. 14. 19:00
아래의 글은 디지에코에 보냈던 공인인증서와 ActiveX의 보완 방법에 대한 글이다. 디지에코는 가입을 해야만 글을 볼 수 있기 때문에 공유 차원에서 이 블로그에 내용을 공개한다. 실제 디지에코에 등재된 보고서는 이 글보다는 조금 더 정리가 되었다. 이 글은 초기 원고이기에 좀 거친(?) 부분이 있음을 미리 알려드리니 감안하고 보시길 바란다. 3월 초에 들어 국내 ICT 업계에서 가장 화두가 되는 것은 인공지능, 커넥티드 자동차, 자율주행 자동차, 가상현실 등과 같이 CES 2017이나 MWC 2017에서 나왔던 기술이 아닐 것이다. 2017년 3월 2일에 더불어민주당의 유력 대선후보인 문재인 전 대표가 대선 공약으로 공인인증서와 ActiveX를 완전히 폐지하겠다고 얘기한 사건일 것이다. 지난 십 수년간..
-
갤럭시 노트 7의 홍채인식 기능의 이슈로 인해 모바일 생채인증이 대중화되지 않을까..Security 2016. 8. 30. 12:22
이번에 갤럭시 노트 7이 출시되면서 그 안에 탑재된 보안 기능인 홍채인식 기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듯 싶다. 실제로 갤럭시 노트 7에서 처음으로 모바일 홍채인식 기능이 탑재된 것은 아니다. 일본의 NTT 도코모와 후지쯔가 2015년 5월에 공동으로 개발해서 발표한 ARROWS NX F-04G 스마트폰이 최초의 홍채인식 스마트폰이다. 하지만 그렇게 이슈화가 되지는 못했다. 이는 NX F-04G가 갤럭시 노트 7에 비해 네임벨류가 떨어지기 때문이며 또한 NTT 도코모와 후지쯔의 공동개발이었지만 갤럭시 노트 7처럼 글로벌 출시가 아닌 내수용으로 나온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그럴지도 모르겠다. 어찌되었던 갤럭시 노트 7의 화제성과 이슈몰이 덕분에 홍채인식이 지문인식 다음으로 생채인증 방식으로서의 또 다..
-
[Galaxy Note 7] 가볍게 살펴 본 갤럭시 노트 7 개봉 및 디자인Review 2016. 8. 26. 17:10
이번에 미국에서 갤럭시 언팩 2016을 통해 발표되고 저번주부터 국내 출시가 시작된 삼성의 6번째 갤럭시 노트 시리즈인 갤럭시 노트 7의 인기가 생각보다 어마무시한 듯 싶다. 6번째 노트 시리즈인데 갤럭시 노트 6가 아닌 갤럭시 노트 7인게 좀 재밌기도 하지만(삼성 입장에서는 곧 나오게 될 애플의 아이폰 7에 대응하기 위해, 그리고 같은 플래그쉽 스마트폰인 갤럭시 S 시리즈와 보조를 맞추기 위해 6을 건너뛰고 7로 가는 것이 나름 괜찮은 전략처럼 보인다) 어찌되었던 갤럭시 S7의 성공을 그대로 이어받아 나름 연타석 홈런을 때림으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시장에서 더 견고한 자리를 잡게 될 듯 싶다. 내 경우에는 갤럭시 노트 7을 구입하지는 못했지만 회사에 예약판매로 받게 된 직원이 있어서 양해를 구하고 언박..
-
지문인식보다 더 편리하면서 매력적일 수 있는 얼굴인식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Security 2014. 10. 21. 08:00
보안 기술 중 기본이 되는 인증 기술 보안 기술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기술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무척이나 생뚱맞은 이야기일 수 있겠습니다만 보안 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마다 다른 이야기를 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제가 생각하기에는 아마도 인증 기술이 아닐까 싶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암호화 기술이 핵심이라고 얘기하는 사람들도 있고, 또 어떤 사람들은 악성코드를 막는 안티 바이러스 기술이 핵심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겠습니다만 보안도 워낙 분야가 다양해서 어느 분야에 종사하느냐에 따라서 기준이 달라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런데 암호화 기술은 보안 기술이기는 하지만 기술이라고 보는 것보다는 코어 기술에 가깝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인증 기술이 보안 기술의 기본이 되는 기술이라고 얘기할 수 있는 이유는 아래..
-
보안과 사용성의 반비례 관계를 깨주고 있는 생채인식을 이용한 스마트폰 보안 방식Security 2014. 1. 6. 08:00
우리가 그동안 사용해오던 스마트폰에서 보안이라고 한다면 이른바 락스크린(Lock Screen)이라 불리는 잠금화면을 푸는 정도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잠금화면을 푸는 방법으로는 아이폰에서 사용하는 비밀번호 입력(핀 번호 입력이라고도 한다) 방식과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계열에서 많이 사용하는 패턴 인식, 핀 번호 입력, 그리고 기존 갤럭시 넥서스 때부터 사용되어 온 얼굴 인식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얼굴 인식의 경우에는 인식율이 낮은 편이라서 그렇게 대중화된 보안 방식은 아니고 주로 숫자로 된 핀 번호를 입력하거나 패턴을 입력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해왔다. 이른바 사용자가 자신만이 알고 있는 비밀번호를 숫자나 문자, 패턴으로 직접 입력하는 방식이다. 어떻게 보면 가장 고전적인 본인 인증 방식이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