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스테이션
-
나를 힐링시켜주는 넥슨컴퓨터박물관 관람기.. 다섯 번째, 콘솔 게임기의 역사 속 유물들IT History 2018. 12. 14. 11:54
육지(?)에 살면서 제주도를 몇번이나 갈 수 있을까 싶기는 하지만 그래도 대학교 졸업여행으로 처음으로 제주도에 와 본 이후에 가족여행으로, 또 학회 참석으로, 또 회사일로 나름 6~7번정도는 왔던거 같다. 그리고 이 녀석이 제주도에 생긴 이후에는 올 때마다 꼬박꼬박 들러보고 있기도 하다. 다름아닌 넥슨 컴퓨터박물관 이야기다. 이 블로그에도 몇번 포스팅을 했는데 또 한다. 기록차원에서 말이지. 난 역사에 관련된 것들을 좋아한다. 특히 컴퓨터에 대한 부분은 더욱 좋아한다. 요즘 나오고 있는 컴퓨터들이나 스마트폰, 태블릿들을 보면 무척이나 고성능이면서도 화려하고 디자인도 잘 빠져서 이쁘다. 게임도 그렇다. 요즘 나오고 있는 게임들을 보면 눈이 휘둥그래해질 정도로 화려하다. 그런데 왜인지는 모르지만 난 이상하게..
-
증강현실과 게임의 만남, 움직임의 모든 것을 게임 속으로! PlayStation Move!Mobile topics 2010. 7. 28. 08:30
소니의 대표적인 가정용 게임기, 플레이스테이션이 또 한번 변신을 시도한다. 이제는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것을 게임에 응용하는 기술을 도입해서 플레이스테이션 무브라는 것을 내놓기 때문이다. 이미 해외에서는 출시가 된 제품이기도 하고 국내에는 좀 도입이 늦었지만 그만큼 더 많고 풍부한 컨텐츠로 국내 사용자들에게 다가설 수 있게 되었다. 플레이스테이션 무브(이하 PS3 Move)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PS3가 있어야 한다. PS3에서 동작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움직임을 인식하는 카메라와 무브 컨트롤러가 있어야 한다. 아래의 사진을 보면 이해하기가 쉬울 것이다. 일단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가 있어야 한다. 소니는 EyeToy(아이토이)라는 제품으로 플레이스테이션용 카메라를 기존에 내놓은적이 ..
-
구글, 이제는 TV까지 접수하려 하나...IT topics 2008. 6. 30. 08:06
구글이 재미난 가젯을 이번에 선보인거 같다. 이름하여 구글 미디어 서버다. 구글 데스크탑의 가젯에 등록해서 사용할 수 있는 윈도용 어플리케이션이다. 이 가젯의 기능은 PC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미디어 파일들(동영상, 그림, 사진 등)을 DLNA 인증을 받은 멀티미디어 기기(플레이스테이션(PS), XBox, 미디어 센터 PC 등)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변환해주는 역할이다. 구글 미디어 서버는 위에서 얘기했듯 구글 데스크탑용 가젯 프로그램으로 현재는 윈도용으로만 제공된다고 한다. 이 구글 미디어 서버는 PS, XBox, 미디어 센터 PC등과 연동하며 이들 기기는 TV에 연결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최종에는 PC와 TV를 이어주는 역할을 맡게 된다(PC -> 구글 미디어 서버 -> XBox -> TV 의 연결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