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지
-
FCC의 망중립성 원칙 폐지 뉴스가 가져올 인터넷 산업의 변화는?IT topics 2017. 11. 23. 21:04
트럼프 정부의 FCC, 망중립성 원칙을 폐지하다 최근 미국에서는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이전 오바마 정부가 정립한 인터넷 망중립성 원칙을 폐지하겠다고 결정했다는 뉴스가 나왔다. 망중립성 원칙은 인터넷 망 제공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가 이용자를 차별하지 않고 모두 동일한 조건에서 인터넷 회선을 제공해야 한다는 내용으로 ISP가 데이터의 접속량이나 내용에 따라 이용자들의 서비스 속도를 차별하거나 우선권을 주거나 접근을 금지시키는 등의 ISP가 임의로 이용자들의 서비스 제공을 차별하는 것을 원칙적으로 반대하는 정책이다. 이 망중립성 원칙으로 인해 컨텐츠 서비스 업체들은 ISP의 간섭을 받지 않고 컨텐츠 서비스를 맘껏 제공할 수 있었고 사용자들은 그 서비스를 맘껏 누릴..
-
애드센스 정책 변경, 그리고 예전과 틀린 구글의 위상IT topics 2008. 1. 9. 19:07
구글이 여러가지 변화를 꾀하고 있는듯 하다. 일단 애드센스 사용자로서 가장 충격적인 소식인 애드센스 추천광고 폐지에 대한 부분이다. 아직 내 RSS 리더에 구글 애드센스 블로그의 글이 안올라와서 자세한 부분은 모르겠지만 후글님의 구글 비공식 블로그에 구글 애드센스의 정책 변동이 있음을 알려왔다. 구글 애드센스 추천광고 없어진다! 필독! (구글 비공식 블로그) 구글 애드센스 추천광고는 그 광고를 통해서 애드센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100을 6개월 이내에 벌게 되면 추천인에게 $250을 벌게해주는 이름하여 한방수익 프로그램(^^)이다. 몇몇 에드센스 사용자들이 꽤 짭짤하게 수익을 올린 것으로 알고 있다. 나 역시 한번 $250을 벌어봤는데 그때의 기분이란 정말 째진다고나 할까. 그런데 그게 사라진다는 얘기다..
-
KBL의 용병 신장제한 폐지를 보고Current topics 2007. 12. 18. 13:20
오랫만에 스포츠 이야기를 좀 할려고 한다. 농구 이야기다. 개인적으로 농구를 좋아하는 터라 예전에는 후배들과 같이 공원에 가서 농구게임을 하곤 했는데 요즘은 그게 쉽지가 않아서 거의 못하고 있다. 뭐 체력도 예전같지 않아서 풀게임 뛰기는 무리고 3:3 하프게임도 어려운 상황이니 요즘은 그저 보는데만 만족하며 살고있는 상황이다. 내가 농구하는 이야기를 들려줄려는게 아니라 최근 KBL에서 벌어지고 있는 참으로 한심하고 안타까운 일에 대해서 얘기해볼까 한다. 누구보다 국내 프로농구(KBL)가 생겼을 때 좋아했던 팬으로서 그저 한마디 던져볼려고 한다. 최근 KBL은 용병의 신장제한을 없애버렸다. 대신 2명 보유에 1명 출전으로 룰을 바꿨다. 자기들 생각에 나름 괜찮은 방법이라고 생각하고 결정했을 것이다. 하지만..
-
사형제도 폐지, 과연 옳은 것일까?Current topics 2007. 12. 3. 11:41
오늘이 세계 사형폐지의 날이라고 한다. 그래서 프레스센터에서 각계 지도층을 대표해서 김대중 전대통령이 사형폐지 국가선고식에 참석해서 기조연설을 했다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 들어가면 동영상과 내용을 알 수 있으니 참고 바란다. 개인적으로 사형제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간단히 적어볼려고 한다. 사형제도는 반사회적인 행동이나 살인 등의 극악한 죄를 저질렀을 때 사회에서 영원히 격리시킬 필요가 있을 때 선고하는 법정 최고형으로 알고 있다. 내란죄를 저질렀을 때나 살인(그 중에서도 극악한 경우) 등을 저질렀을 때 사회에서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경우에 사형선고를 내린다. 그러나 DJ 정부 이후에 10년간 한번도 사형선고가 내려지지 않아서 이제는 거의 실질적 사형폐지국가가 되어버린 지금 법으로는 남..
-
포탈 사이트들의 사전검열 및 임시조치에 대해서Current topics 2007. 8. 29. 18:05
최근 블로고스피어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나오고있는 부분이 하나 있는데 아마도 정보통신망법에 의거한 사이버검열일듯 싶다. 이랜드 사태로 인하여 노동계에서 나오는 이야기들이 네이버나 다음 등의 포탈에 소개되었다가 이랜드측의 요구로 임시조치(글들이 DB에서는 지워지지 않았으나 일시적으로 비공개로 되어 인터넷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조치) 처리가 된 내용이다. 네이버는 23건의 게시물을, 다음은 26건의 게시물을 임시조치 시켰다고 한다. 이중에서 네이버는 1건, 다음은 24건의 게시물이 다시 원상복귀가 되었다. 네이버나 다음 등의 포탈 사이트에서는 해당 게시물에 대해서 관련자들이 명예훼손 등의 이유로 삭제 등을 요구하면 일단은 해당 게시물 작성자에게 임시조치에 대한 통보를 내리고 임시조치를 취한다고 한다.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