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망
-
KT 아현전화국 화재로 인한 통신 장애 현상을 보면서IT topics 2018. 11. 25. 09:55
KT 아현전화국 통신구 화재 사건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어제(11월 24일) 오전 10시에 충정로에 있는 KT 아현전화국 지하 통신구에서 화재가 일어나서 그 일대의 KT망을 사용하는 유선, 무선망 모두가 불통이 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저녁 9시 30분쯤에 화재는 완전 진압이 되었다고 하는데 우회로를 통해 가복구는 1~2일이 걸리고 완전 복구까지는 일주일이 걸린다고 한다. 그때까지는 KT 통신망 사용에 계속 애로사항이 있을 것 같다. 게다가 아직 사고 원인은 파악이 안되고 있다고 한다(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는 그렇다. 나중에는 원인이 파악되겠지만 말이다). 일단 이번 화재로 인해 통신장애가 일어난 지역은 아현전화국이 있는 서대문구와 그 주변인 종로구, 중구, 마포구, 용산구이며 영등포구 역시 일부 지역이..
-
SKT의 3G 데이터 강화와 KT의 WiFi 보급, 뭐가 스마트폰을 위해 좋은 정책일까?Mobile topics 2010. 10. 3. 08:57
이번에 SKT에서 무제한 요금제를 내놓았다. 올인원55 이상의 요금제부터는 데이터 통신에 한하여 무제한으로 쓸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 요지다. 물론 무작정 몰리는 트래픽을 감당(?)하기 위해서 스마트 QoS라는 제한 정책도 같이 내놓았지만 셀 단위로 개인별로 적용하는 것이라 별 영향을 끼치지는 않을 듯 싶다. 그리고 KT도 이에 질세라 무제한 요금제를 내놓았다. 조건은 SKT와 비슷하다(심지어 스마트 QoS 정책 적용도 비슷하다. 그런데 이는 어쩔 수 없다). 이렇듯 이통사들 사이에서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전격으로 도입하고 있는 추세다. 이렇게 이통사들의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도입은 늘어가고 있는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데이터 통신에 대한 요구사항이 수용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아이폰을 필두로 갤럭시S..
-
통신시장에서 이통사의 절대권력을 무너뜨리고 있는 아이폰, 그리고 애플의 힘!Mobile topics 2010. 9. 1. 12:29
과거에는 휴대폰을 이용하는 모든 서비스들이 대부분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즉 이동통신사를 거쳐야만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들이었다. 전화나 문자서비스는 물론 다양한 부가서비스들 모두 이동통신망(과거에는 2G, 즉 CDMA고 현재는 3G, WCDMA 망)을 이용해야만 가능한 서비스들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SKT나 KT, LGT와 같은 이통사들의 입김이 삼성이나 LG, 팬택 등의 휴대폰을 만드는 제조사들보다 강할 수 밖에 없었고 이통사의 정책에 의해 제조사나 컨텐츠 개발사(CP)들이 좌지우지되는 상황이 지금까지 계속 연출되고 있었다. 솔직히 지금도 상황은 많이 다르지 않다. 과거 피쳐폰이라 불리는 애니콜, 사이언 시리즈 등의 일반 휴대폰에서 현재는 아이폰, 옴니아 시리즈, 갤럭시 시리즈, 옵티머스 시리즈, 시리..
-
3G 통신망을 이용해서 게임을 다운받아서 실행하는 게임 콘솔, ZeeboIT topics 2009. 3. 26. 08:24
게임 콘솔이 통신을 한다면? 아니… 게임 콘솔이 클라우드 컴퓨팅에 접목할 수 있다면? 우리가 PC나 휴대폰 등에서 응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과는 좀 다른 접근 방식이겠지만 충분히 통신을 이용한 방법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해주는 게임 콘솔이 존재한다. 전혀 색다른 방법으로 게임을 할 수 있는 이 콘솔의 정체는 뭘까? Zeebo라 불리는 이 콘솔에서 사용되는 칩셋은 MSM7200 칩셋이다. 이 칩셋은 528MHz ARM 프로세서슬 사용하며 소니에릭슨 Xperia X1에서 사용하고 있는 칩셋과 같은 것이다. 이 게임 콘솔에는 디스크나 카트리지가 없다. 모든 게임은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한다. 어디서? 바로 온라인 스토어에서 3G망을 이용하여 다운받아서 게임을 한다. Zeebo가 퀄컴의 MSM7200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