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
미래 IT 산업의 허브가 될 데이터센터 이야기IT topics 2016. 7. 22. 11:04
예전이나 지금이나 기업에서 서비스를 만들어 제공을 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서버에 해당 서비스를 만들어서 운영한다.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서버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이 필요하며 외부에서 해당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보통 기업에서 서비스 서버를 운영하는 방법은 기업 내 서버실을 둬서 그 안에서 앞서 얘기한 전원 및 통신망 연결을 할 수 있게 만들어서 그 안에서 운영을 하던지 아니면 IDC(Internet Data Center)라 불리는 외부의 데이터센터에 서버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를 설치하는 방식뿐 만이 아니라 기업 안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기업형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에도 서버실에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치하던지 데이터센터에 설치..
-
지진과 수해에도 안전한 친환경 기술을 총동원한 데이터센터를 맛보다. LG CNS 부산데이터센터 견학기IT topics 2013. 4. 29. 10:00
과거 웹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보통 IDC(인터넷 데이터센터)라 불리는 공간에 서버를 설치하고 거기에 웹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을 설치해서 서비스를 하곤 했다. 이런 IDC를 각 기업의 내부에 두던지, 아니면 전문 기업에서 만든 IDC에 장소를 임대해서 두던지 하는 방식으로 그동안 서비스를 해왔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포탈 서비스들이 다 그런 식으로 운영되어오고 있으며 국내 뿐만이 아니라 해외의 유명 서비스들도 자체적으로 IDC를 만들어서 운영하던지, 아니면 역시나 전문 기업이 만든 IDC에 서버를 유치해서 서비스를 하곤 한다. 자체적으로 IDC를 만들어서 운영하는 경우는 보통 서버를 자체적으로 관리를 하다보니 보안 등의 우려가 덜한 것이 사실이다. 물리적인 서버 보안을 기업 스스로..
-
[엠피온 라이브 센스] 라이브 센스를 이용한 친환경 최적화 드라이빙을 즐겨본다면?Review 2010. 7. 26. 12:51
이번에 엠피온에서 나온 하이패스 단말기 겸용 네비게이션인 라이스 센스를 한번 사용해봤다. 맵 자체의 기능은 스텐더드를 지향하는 듯 싶기도 한 듯 심플했지만 기본에 충실하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별 어려움은 없다. 이런저런 잡다한 기능이 잔뜩 있는 것보다는 이렇게 기본에 충실한 제품이 오히려 더 좋을지도 모르겠다. 기본으로 제공하는 라이브센스의 기능은 하이패스, 엔터테인먼트, 내비게이션, DMB, 부가기능, 환경설정 등인데 부가기능은 뭐 그렇다고 치고 하이패스는 카드만 삽입하면 알아서 착착이니 신경쓸 것이 없고 DMB도 필수고 엔터테인먼트는 동영상과 오디오 정도인데 어느 내비게이션에나 다 있는 기능이기에(이제는 이런거 안나오면 취급도 안해준다 -.-) 정작 봐야 할 부분은 역시나 내비게이션.. -.-; 라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