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지성
-
검색 결과에 집단지성을 본격적으로 도입하기 시작한 구글IT topics 2009. 11. 9. 08:40
구글 검색에 본격적인 집단지성이 도입되기 시작한 듯 싶다. 예전에 베타테스트식으로 진행되었던 구글 검색 결과의 집단지성 도입은 이제는 본격적으로 다 도입되는 듯 싶다. 한동안 몰랐는데 어느 순간부터 정식으로 지원되기 시작한 듯 싶다. 언제부터인지는 나 역시 잘 모르겠다. 구글 검색 결과를 한번 보자. 위에서 체크된 부분이 집단지성을 통해서 구글 검색 결과를 더 확실하게 신뢰할 수 있는 수준으로 만들어주는 도구들이다. 일단 핵심은 오른쪽의 저 3개의 아이콘이다. 말풍선과 위로 올리기, 그리고 삭제 버튼이 있다. 조금 자세히 봐야하는게 희미한 색으로 되어있어서 잘 안보인다. 아마도 일단 나온 결과에 먼저 집중하고 필요에 따라 자신의 의견을 반영하도록 하게 하는 의도로 보인다. 일단 커멘트 아이콘을 누르면 위..
-
가볍고 빨라진 노턴 2010. 소매점 진출로 영역을 확대했는데 과연 그 효과는?IT topics 2009. 10. 23. 08:50
노턴 안티바이러스(NAV)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은 무엇일까? 느리다, 무겁다, 시스템 자원을 잡아먹는 주역, PC를 살 때 꼭 제거해야 할 쓸데없는 백신... 그동안 NAV는 사용자들에게 있어서 애물단지에 불가한, 아니 쓸데없는 쓰레기와 같은 백신으로 여겨졌다. 일반적으로 노트북을 사면 대부분 NAV가 기본으로 설치되어있기에(비록 트라이얼 버전으로 몇달 못쓰지만) 그냥 있는거 쓰자라는 생각에 써보지만 엄청나게 느린, 또 무지막지하게 잡아먹는 시스템 자원때문에 바로 지워버리고 꽁짜 백신(알약, V3Lite, 네이버 PC그린 등)으로 가는 경우가 허다하다. 지금까지의 NAV의 인식은 이렇다. 하지만 이제 NAV가 달라졌다. 아니 달라졌다고 한다. 내 경우 아직 새로워진 NAV를 체험하지 못했기 때문에 ..
-
검색엔진에서는 작은 문제라도 치명적인 상처를 남길 수도 있다.IT topics 2008. 9. 11. 13:26
보통 우리는 검색엔진을 통해서 얻은 정보를 얼마나 신뢰하고 있을까? 많은 사람들이 무언가에 대해서 궁금할 때 인터넷을 통해서 찾아보라고 말을 많이 한다. 국내에서는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포탈사이트릍 통해서 검색을 하고 해외의 경우에는 구글을 통해서 검색을 하곤 한다. 그리고 우리는 대부분 검색결과에서 얻은 정보를 100% 다 믿곤 한다. 그리고 인터넷에서 얻은 정보를 다른 사람들에게 얘기하면서 인터넷 검색결과 이렇게 나왔더라 하면서 말한다. 그 말은 곧 여러 사람들에게 바이러스가 전파되듯 엄청난 속도로 퍼지게 된다. 일단 우리는 검색을 통해서 나온 결과를 거의 100% 신뢰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심정적으로는 100% 다 신뢰해서는 안된다고 알고는 있지만 따로 검증할 방법이 많지 않기 때문에 대부..
-
집단지성을 도입하는 검색엔진, 과연 이게 미래의 검색엔진?IT topics 2008. 7. 23. 14:43
TechCrunch에서 재미난 동영상이 올라와서 소개해본다. 일전에 Digg 스타일의 추천방식을 적용한 구글 검색엔진에 대한 이야기를 썼다. 그리고 오늘은 구글이 Digg를 인수할려고 준비중이지 않을까 하는 이야기도 써봤다. 즉, 구글은 향후에 검색엔진이 어떤 기계적인 분류 및 순위를 매기는 것과 동시에 집단지성을 이용하여 기계적인 알고리즘으로는 부족한 부분을 채울려고 하려는것 같다. 아무리 정교한 알고리즘을 적용한다고 해도 분명 구멍은 있기 마련이니 그 부분을 집단지성으로 보충하자는 의미다. 동영상의 내용은 예전에 소개했던 구글의 새로운 인터페이스다. 구글 검색엔진을 통해서 뭔가를 검색했을 때 그 결과에 Digg 스타일의 추천버튼 및 삭제버튼을 두고 또 댓글을 달게 해서 그 사이트에 대한 반응을 보고 ..
-
OpenDNS, 멀웨어와 포르노를 필터링해서 매일 2만달러씩 챙긴다는데...IT topics 2008. 7. 22. 11:47
OpenDNS라는 서비스가 있다. 이 서비스의 개요는 간단하다. 보통 인터넷 서비스를 할려면 도메인이 필요하고 이러한 도메인을 관리할 네임서버가 필요하다. 즉, 이 도메인은 이 IP에 연결이 되어있다는 정보를 관리할 서버가 필요하다는 얘기다. 도메인 네임서버(Domain Name System)라 불리며 줄여서 DNS라 한다. 보통 집에서 인터넷을 하게 되면 자동으로 IP를 잡고 DNS도 자동으로 설정한다. 그러면 인터넷 제공업체에서 운영하는 네임서버나 아니면 KT나 하나로 등에서 제공하는 네임서버를 이용하게 된다. 168.126.63.1 이라는 IP는 많이 익숙한 IP일 것이다. 바로 코넷에서 제공하는 DNS IP다. 많이 이용하는데 이러한 DNS를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바로 OpenDNS다. 뭐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