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뱅킹
-
인터넷전문은행의 예비승인 인가가 갖는 의미와 국내외의 동향, 그리고 앞으로의 길은..IT topics 2016. 2. 2. 18:25
최근 인터넷 전문은행의 예비인가 승인과 의미 2015년 11월말에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승인이 나왔다. 2군데의 승인이 난 곳은 카카오, 한국투자금융지주, 국민은행 등이 컨소시엄을 맺은 한국카카오은행 컨소시엄(이하 한국카카오은행)과 KT, 우리은행, 알리바바, 한화생명보험, GS 리테일 등이 컨소시엄을 맺은 K뱅크 컨소시엄(이하 K뱅크)이었다. 인터넷전문은행이라는 타이틀이 붙기는 했지만 무려 23년만에 새로운 은행이 인가된 것이다. 그리고 이 인터넷전문은행의 예비인가 승인은 그동안에 몇차례 시도되었다가 실패했던 시도 끝에 성공된 것이라 여러가지로 의미가 깊다고 볼 수 있다. 이번 인터넷전문은행의 예비인가 승인 이전에 2차례의 시도가 있었지만 법적인 문제와 사회의 인식 부족으로 인해 무산되었기 때문이다...
-
점포없는 인터넷전문은행인 한국카카오은행과 K뱅크. 과연 금융시장에 어떤 바람을 불러올까?IT topics 2015. 12. 1. 13:03
이번에 인터넷전문은행으로 2군데가 선정되었는데 한국카카오은행 컨소시엄(카카오, 한국투자금융지주, 국민은행 등)과 K뱅크 컨소시엄(KT, 우리은행, 한화생명보험, GS 리테일, 알리바바 등)이 선정되었다고 한다. 23년만에 새 은행이 만들어졌는데 기존 은행과는 시스템이 좀 많이 다르다. 인터넷전문은행인만큼 대부분의 작업이 인터넷 서비스로만 진행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일반적으로 시중 은행이 제공하고 있는 인터넷뱅킹이나 모바일뱅킹은 점포에서 진행하는 일의 보조 수단으로 쓰이고 있지만 인터넷전문은행인 한국카카오은행이나 K뱅크는 인터넷뱅킹과 모바일뱅킹이 메인이 될 것으로 보이며 인터넷전문은행인만큼 기존 점포의 운영 없이 진행된다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을 듯 싶다. 한국카카오은행과 K뱅크가 인터넷전문은행으로..
-
국내의 금융 보안 기술과 해외의 금융 보안 기술의 차이. 핀테크를 위한 길은?Security 2014. 12. 29. 08:00
요즘 금융 시장과 IT 시장에 떠오르고 있는 단어가 하나 있습니다. 핀테크(FinTech)라는 단어입니다. 금융을 의미하는 파이넨셜(Financial)과 기술을 의미하는 테크놀로지(Technology)를 결합한 단어로 직역하자면 금융기술이고 금융서비스에 IT 기술을 더해서 사용자가 편하게 금융관련 서비스를 받도록 하자는 것이 핀테크의 의미라고 생각이 됩니다. 핀테크의 원래 의미가 금융서비스에 IT 기술을 더한 것이라고 한다면 이미 한국은 핀테크를 충분히 경험하고 있습니다. 인터넷뱅킹, 인터넷쇼핑 등의 서비스가 핀테크의 대표적인 케이스이기 때문입니다. 전세계 어느 나라를 봐도 우리나라의 은행처럼 실시간 뱅킹이 되거나 쇼핑이 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서비스 자체만 따져봤을 때에는 국내 기술은 세계 최고라..
-
논쟁의 중심으로 떠오른 공인인증제도. 보는 관점에 차이로 인해서 논쟁이 시작된 것이 아닐까?Security 2013. 7. 8. 15:26
페이스북 그룹 중 '한국IT인 연합회'라는 그룹이 있다. 여기에 가입해서 정보들을 서로 공유하고 있는데 최근에 공인인증서 관련 논란이 벌어졌다. 찬성쪽과 반대쪽이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면서 논쟁을 벌였는데 뭐 페이스북의 특성 상 서로 고성이 오가는 그런 싸움은 없었고(적어도 실명이 보장되는 상황이라 여차하면 칼부림 날 수 있는 논쟁꺼리였는데 신사적으로 잘 이야기가 오가는 듯 싶었음) 나름 더 괜찮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아래의 글은 공인인증서 폐지에 대한 논란(원래 오픈넷에서 요구했던 것은 공인인증서의 폐지였다고 들었다. 내가 느낀 부분도 그랬고. 그러다가 중간에 공인인증서에서 공인이라는 자격을 빼자는 쪽으로 바꿨는데 결국 결과적으로는 폐지하는 것과 별반 다를 것이 없는 상황이다)에 대해..
-
사용자의 금전적, 정신적 피해를 주는 파밍, 그 방식과 예방 방법은?Security 2013. 4. 5. 08:24
최근 TV 뉴스나 언론에서 자주 오르내리고 있는 단어가 있다. 파밍(Pharming)이라는 단어인데 해커가 어떤 사용자의 PC에서 개인정보 및 금융 관련 정보를 불법적인 방법으로 취득해서 그 정보를 갖고 해당 사용자에게 금전적인 피해와 정신적인 피해를 주는 해킹 방법을 뜻한다. 최근 이 파밍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들이 야기되고 있다. 도대체 파밍은 어떤 해킹 방법이며 어떻게 예방해야 하고 만약 파밍에 당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파밍은 어떻게 이뤄지는가? 파밍이 어떻게 이뤄지는가에 대해서 먼저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파밍은 사용자가 인터넷 뱅킹 서비스나 증권 관련 서비스를 이용하려 할 때 해커가 만든 원래의 서비스(인터넷 뱅킹이나 증권 관련 서비스의 원래 사이트)와 비슷하게 만든..
-
웹표준과 ActiveX, 한국 인터넷 시장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IT topics 2008. 11. 25. 14:54
최근 연이어 세계의 인터넷 거장들이 한국의 IE 종속적인 인터넷 정책에 대해 쓴소리를 하고 있는 듯 싶다. 웹브라우저 오페라의 회장인 욘 폰 테츠너가 와서 한마디 하더니 이제는 파이어폭스를 배포하는 모질라 재단의 미셸 베이커 회장도 한마디 거든다. 대부분이 한국에서 너무 ActiveX를 사랑하여 세계적인 웹표준 추세에 못쫒아가고 있다고 한다. 확실히 국내 어지간한 웹서비스들은 대부분 ActiveX로 떡칠되어 있고 윈도에 IE를 사용하지 않으면 쓰기거 어려운 구조로 되어있다. 뭐 최근에는 웹2.0 열풍에 웹표준 이슈들이 마구 떠오르고 있어서 조금씩 웹표준에 맞춰갈려고 하는것 같지만 그래도 여전히 실질적인 인터넷 서비스들(예를 들어 금융권 서비스들이나 공공기관 서비스들)은 여전히 보안이라는 이유때문에 Act..
-
이제는 인터넷뱅킹 전용 브라우저를 사용해야 할 때가..IT topics 2008. 5. 27. 10:59
앞으로는 인터넷뱅킹을 위해서는 별도의 웹브라우저를 써야하는 세상이 올 듯 싶다. ZDNet Korea를 통해서 안랩에서 내놓은 '안랩 온라인 시큐리티 시큐어 브라우저'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용은 인터넷뱅킹을 누르면 별도의 창이 뜨며 거기에서는 기존 웹브라우저가 아닌 별도의 브라우저가 동작한다는 얘기다. 위의 그림에서 IE의 새창이 뜨는 것은 기존의 인터넷뱅킹과 비슷한 UI를 제공하기 위해서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대신 새창 안에서 동작하는 내용들은 기존의 웹브라우저 환경이 아닌 안랩에서 제공하는 안랩 온라인 시큐리티 브라우저가 동작한다는 원리다. 브라우저 설치는 ActiveX를 통해서 이뤄진다고 한다. 또한 인터넷뱅킹을 눌렀을 때 구동되는 시큐리티 브라우저 역시 ActiveX를 통해서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