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사닷컴
-
네이버의 변화. 뉴스캐스트에서 직접링크 제공. 언론사닷컴의 기회...IT topics 2009. 1. 3. 15:42
네이버가 새롭게 바뀌었다. 12월 내내 1월 1일부터 새롭게 네이버 홈이 바뀐다고 선전하더니 1월 1일을 기점으로 새로운 네이버 홈을 선보였다. 기존의 네이버 화면과 비교해서 개인적으로 생각했을 때 더 깔끔해진 것은 확실한 듯 싶다. 속도는 원래 네이버가 느렸으니 약간 더 빨라졌을려나. 직접적인 비교가 안되니 잘 모르겠다(메인 포탈사이트로는 다음을 그동안 써왔고 네이버는 접속을 잘 안했으니 직접적인 비교는 힘들 듯 싶다). 여하튼간에 많이 달라진 것은 사실이다. 네이버에 새로 개편된 홈에서 내세우는 것은 여러가지가 있을 것이다. 일단 자기가 원하는 신문만을 골라서 선보일 수 있는 뉴스캐스트와 자기가 원하는 블로그를 골라서 보게 할 수 있는 오픈캐스트가 그것이다. 물론 오픈캐스트는 블로그 RSS 구독과는 ..
-
파이어폭스에서도 잘 보이는 개편된 스투닷컴!IT topics 2008. 9. 24. 22:40
요즘은 종이신문을 잘 안본다. 대부분 인터넷에서 언론사닷컴을 이용해서 기사를 읽곤 한다. 물론 전철을 타고 이동할 때는 종이신문을 보지만 그때는 대부분 무가지 신문(메트로나 포커스, City 등)을 이용하기 가판대에서 조선일보나 중앙일보, 한겨례 신문 등을 사서 읽지는 않는다. 이렇듯 인터넷으로 자주 보는 인터넷 신문들 중에서 스포츠투데이가 있다. 스투닷컴이라는 이름으로 인터넷으로 제공되는데 이번에 꽤나 쌈팍하게 개편을 했다. 좌측은 메인 화면이고 우측은 기사를 클릭했을 때의 화면이다. 참고로 위의 화면은 윈도 비스타에서 파이어폭스3(FF3)로 접속했을 때의 화면을 잡은 것이다. 인터넷 익스플로러(IE)가 아니고 말이다. 이 말이 의미하는 바가 무얼까? 언론사닷컴들 중에서 과연 얼마나 웹표준을 지키면서 ..
-
언론사닷컴과 SNS의 만남. 뉴욕타임즈와 링크드인의 기사 제휴 서비스IT topics 2008. 7. 25. 12:36
미국의 뉴욕타임즈는 SNS인 링크드인(LinkedIn)과 제휴를 맺고 링크드인의 회원을 대상으로 기사 및 광고를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뉴욕타임즈는 링크드인에 가입된 회원의 직업 및 전공분야 등의 공개된 정보를 이용하여 관련된 뉴스 및 광고를 제공하게 된다. 이는 언론과 SNS의 서비스 조화로 획기적인 아이디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링크드인은 인맥관리 전문 SNS로 주로 자신의 프로필을 바탕으로 여러 인맥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떄 사용되는 프로필은 자신의 전공분야 및 현재 직업, 직장, 그리고 예전의 학교 이력 등이 사용되는데 뉴욕타임즈 입장에서는 각기 직업, 혹은 전공에 따라 원하는 뉴스 및 광고가 존재할 것이기 때문에 어찌보면 맞춤 기사 및 광고 제공 서비스를 시행할 수 있게 된 것이다...
-
언론사닷컴, 다시 살아나는가?IT topics 2008. 3. 6. 15:45
국내외 뉴스를 맡고있는 언론사닷컴들이 네이버, 다음 등의 포탈사이트에 뉴스공급CP로 전락한 시기는 꽤나 오래전 이야기다. 인터넷 사용자들이 네이버, 다음 등의 포탈사이트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조선닷컴, 한국아이닷컴, 조인스닷컴 등의 언론사닷컴에 발길이 줄었고 언론사닷컴들은 이러한 수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탈사이트에 뉴스를 제공해주고 일정금액을 받는 수익구조로 지금까지 정착해왔다. 물론 언론사닷컴 홈페이지는 존재하지만 일부 사용자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포탈사이트를 통해서 뉴스를 소비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에 약간의 단비와 같은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재작년까지 죽쑤고 있었던 언론사닷컴의 트래픽이 작년을 기점으로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는 것이다. 랭킹닷컴에서 제공한 자료에 의하면 200..
-
RSS Reader를 통해서 인터넷 뉴스를 읽어본다면?IT topics 2007. 12. 3. 13:51
예전에 인터넷 뉴스를 보기위해 어떻게 하는가에 대해서 잠깐 논한적이 있었다(참고 : 인터넷에서 뉴스를 보는 방법은?). 내 경우에는 각 언론사닷컴을 돌아다니면서 뉴스를 보는 경우다. 귀찮지않냐고 말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포탈사이트에서 뉴스를 보는 것보다는 뭐랄까 더 세세히 뉴스를 읽을 수 있다고나 할까. 여러 언론사닷컴을 돌아다녀야 하는 단점이 있는 대신에 더 세밀한 뉴스를 읽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계속 고수하고 있는 편이다. 그런데 포탈 사이트에 가는 것이나 뉴스 사이트에 가는 것이나 모두 사용자가 직접 해당 사이트에 가야하는 단점이 있다. 좀 더 편하게 뉴스를 볼 수 있는 방법이 없나? 많은 블로거들이 자기가 구독한 블로그들을 RSS Reader를 통해서 읽는다. 블로그 특성에 따라서 전체를 읽을..
-
인터넷에서 뉴스를 보는 방법은?IT topics 2007. 12. 3. 13:20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을 통하여 신문을 볼 때는 주로 포탈 사이트를 많이 이용한다. 네이버가 그 대표적인 예일 것이다. 대한민국 안에서 인터넷을 할 때 웹브라우저의 시작화면으로 70%정도가 네이버를 시작화면으로 사용할 정도니 네이버의 위력이 왜 대단한 것인지 알 수 있다. 네이버 뿐만 아니라 다음이나 엠파스, 네이트, 야후 등의 국내 포탈 사이트에서는 모두 기사를 제공하고 있다. 모두 신문사들로부터 기사를 받아서 배치하는 것이다. 왜 사람들은 신문 기사를 읽을 때 각 언론사닷컴 홈페이지를 이용하지 않고 포탈 사이트를 이용할까? 아마도 보기 편해서일 것이다. 포탈 사이트들은 각 신문사에서 보내준 기사들을 편집해서 현재 이슈에 대한 기사들을 전면배치 해놓는다. 그리고 각 언론사별 기사들을 알아서 배치시켜주니 ..
-
미국에서나 가능한 애드센스 맞춤 컨텐츠 공급 사이트.IT topics 2007. 7. 13. 18:42
요즘 미국에서는 신생 웹 사이트 하나를 둘러 싼 논쟁이 뜨거워지고 있다고 한다. 돈 주는 블로그 사이트, 문제있다! (ZDNet Korea) Pay-for-blogging site raises questions (CNetNews.com) 바로 Associated Content(이하 AC)라는 웹 사이트가 그 논란의 중심에 있다. 이 웹 사이트에 대해서는 자세히는 모르지만 위의 기사에서 소개하는 것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받아서 게제하는 정보 포탈이며 다른 포탈 서비스 등에 자기 웹 사이트에 있는 컨텐츠의 사용 라이센스를 공급하는 서비스라고 하고 있다. 간단히 설명하면 다른 사람들의 컨텐츠를 사서 AC 웹 사이트에 게제하고 다른 포탈 사이트 등에 AC 웹 사이트에 있는 컨텐츠의 사용 라이센스를 공급한..
-
컨텐츠 신디케이션에 대해서 (RSS Feed의 배급)IT topics 2007. 6. 18. 10:10
컨텐츠 신디케이션에 대해서 1. RSS 역사 2. RSS Feed의 요청 3. RSS Feed의 배급 RSS Feed의 요청이 있으면 요청을 받은 웹 사이트는 RSS Feed를 배급해야 한다. 그럼 RSS Feed 배급을 하는 웹 사이트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자. RSS Feed 배급 RSS Reader나 개인화 페이지와 같은 프로그램으로부터 구독이 되어 RSS Feed를 요청을 받게 되면 요청을 받은 웹 사이트는 요청받은 내용을 RSS 형식의 Feed로 만들어서 요청한 프로그램에게 전송한다. 이 과정을 RSS Feed 배급이라고 한다. 자신의 컨텐츠를 요청한 프로그램에게 전달하는 것을 배급하는 것으로 표현한 것이다. RSS를 지원하는 웹 사이트는 한마디로 RSS Feed 배급이 가능한 웹 사이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