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제
-
윈도 모바일 6.5에 킬 스위치 장착! 검증된 어플만 사용하자는데...Mobile topics 2009. 9. 22. 11:30
이미 알려진 소식일 수도 있겠지만 윈도 모바일 6.5부터는 "킬 스위치" 기능이 추가되었다고 한다. 킬 스위치는 어떤 특정 시나리오(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이나 액션을 수행하는 것)가 진행되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는 기능이다. 이미 아이폰과 구글 폰(안드로이드)에서는 탑재되어있는 기능으로 새로운 기능은 아니지만 윈도 모바일에는 이제서야 추가되었다. 다름아닌 윈도 마켓플레이스 포 모바일 때문이다. 아이폰이나 구글 폰은 앱스토어나 안드로이드 마켓과 같은 오픈마켓플레이스가 존재한다. 즉, 거의 초기단계부터 에코 시스템이 구축되어진 상태다. 킬 스위치는 이러한 오픈마켓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구매하여 설치한 이후에 제작자, 혹은 판매자의 어떤 의사결정에 의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대..
-
블로그 운영 중 처음으로 당하는 블라인드 사태.. -.-;Blog 2009. 1. 17. 18:25
회사에 와서 PC를 키고 메일을 확인할려고 하는데 다음에서 온 메일이 있어서 이게 뭔가하고 열어봤다. 다음의 권리침해센터에서 온 메일로 내가 뭔 잘못을 했나 하는 생각에 열어봤더니 내 글들 중 하나를 임시조치했다는 내용이다. 임시조치는 알다시피 블로그 포스트를 잠시 보이지 않게 블라인드 처리하는 것으로 일단 30일동안 블라인드 처리하겠다고 했는데 도대체 뭔 포스트가 블라인드 처리가 되었는가 해서 봤더니 작년 3월쯤에 쓴 닥터바이러스에 대한 글이다. 신고자가 미디어포트(닥터바이러스)라고 하던데 삭제요청이 들어왔다고 한다. 블라인드 처리가 된 포스트의 내용인즉 이렇다. 그 글은 중앙일보에서 기사로 쓴 닥터바이러스라는 백신처럼 꾸며진 프로그램에 대해 사기죄를 적용했다는 내용으로 악성코드를 검사해야 하는 프로그..
-
YouTomb, 왜 내가 올린 동영상이 죽었는가?IT topics 2008. 5. 21. 11:06
웹2.0 시대에 도래하면서 가장 크게 확산된 서비스가 아마도 동영상 공유 서비스가 아닌가 싶다. 해외에서는 YouTube가 급속이 성장해서 구글에 큰 돈 얹고 인수되었고 국내에서도 판도라TV나 다음의 TV팟 등 다양한 동영상 공유 서비스들이 존재해서 인터넷 상에서 맘껏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상황이다. 웹2.0의 대표 키워드인 UCC가 동영상으로 인식될만큼 언론을 통해서 동영상 UCC에 대한 내용들이 많이 알려진터라 IT쪽이 아닌 다른 사람들에게도 꽤 많이 알려진 상태다. 이렇게 동영상 공유 서비스들이 범람하고 있는 상황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역시나 저작권 문제다. 네티즌들이나 다른 사람들이 직접 디지탈 캠코더 등으로 영상을 만들어서 올리는 경우보다 TV 프로그램에서 따온 내용들이나 영화 등에서 퍼온 ..
-
악플이 무플보다 낫다? 반드시 그런것만은 아니다.Blog 2008. 2. 18. 13:22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가장 크게 신경이 쓰이는 것은 아무래도 사람들의 반응일 것이다. 열심히 글을 써서 올렸는데 아무도 방문해주지 않는다면 그것만큼 블로거 입장에서 맥빠지는 일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많은 블로그에 '악플보다 더 무서운 무플'이라는 밴드(?)를 띄워놓곤 한다. 차라리 무플보다는 악플이라도 달려있는 것이 더 좋아보인다는 것이다. 악플보다 무서운 무플이라는 구호(?)는 어느정도 이해할 수 있다. 열심히 쓴 글에 아무 반응도 없으면 블로깅을 하는 의미를 잃어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악플도 악플의 수준에 따라 정리를 해야 할 것들이 있으면 정리를 해야한다고 본다. 모든 악플들이 다 방문자들의 반응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글의 주제에 맞지않은 악플들은 지워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
-
구글, 악성 사이트 경유 스폰서 링크 삭제IT topics 2007. 4. 30. 13:07
구글이 애드워즈를 통해 악성 프로그램을 유포시키는 사이트들을 모두 삭제한듯 하다. 구글, 악성 사이트 경유 스폰서 링크 삭제 (ZDNet Korea) 많은 악성 사이트들이 구글의 애드워즈를 통하여 애드센스에 자신들의 사이트를 광고하고 겉보기에는 정상적인 사이트로 접속하나 실제로는 악성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사이트로 먼저 이동하게 하는 수법을 쓰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구글측에서 이를 한꺼번에 없앴다는 소식이다. 구글은 애드워즈를 통하여 악성 사이트가 활동하는 것을 상당히 위험하게 보고 있다는 소식도 함께 전했다. 아무래도 구글 애드센스나 야후 오버추어같은 광고 기법들이 늘어나니 이를 악용한 이런 사례들도 많이 늘어나는 것 같다. 앞으로 이런 신종 사기수법(?)들이 점차 늘어날텐데 구글이나 야후같은 사이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