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
현재의 인공지능 적용과 발전 전망은?IT topics 2016. 5. 26. 07:17
원래 이 글은 디지에코에 발행하려고 했던 글인데 워낙 인공지능 글들이 많아 퇴짜 받아서(T.T) 블로그에 순차적으로 오픈하려고 한다. 글이 좀 길어서 2개로 나눠서 오픈한다. 지금의 인공지능 적용과 그 현황은? 그렇다면 현재의 인공지능 분야가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몇 가지 분야에 대해서 예를 들어볼까 한다.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IBM의 왓슨도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산업 전반에서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고 이번에 이세돌 9단과 바둑 대결을 펼치는 구글의 알파고 역시 일단은 바둑에 한정되어 있지만 학습을 통해 스스로 수를 생각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이름을 떨치고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올해 초에 진행되었던 CES 2016에서의 핵심 키워드는 자동차, 그 중에서도 자..
-
이세돌 9단과의 바둑 대전으로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여준 구글의 알파고. 하지만 알파고가 IBM의 왓슨을 넘어선 최고의 인공지능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을까?IT topics 2016. 3. 15. 13:00
요즘들어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높아져가고 있다. 아마 요즘 진행되고 있는 구글이 인수한 딥마인드의 알파고(AlphaGo)가 세계 바둑챔피언이었던 이세돌 9단과 바둑대전을 펼치고 있는 것 때문에 바둑에 관심이 없었던 나처럼 마치 영화처럼 기계와 사람의 대결로 대표되는 이 이벤트(암만봐도 구글이 자신들의 기술력을 알리고 마케팅적으로 써먹기 위해 진행한 이벤트라는 생각이 든다 -.-)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 아닐까 싶다. 한국기원 입장에서는 이 이벤트 덕분에 바둑에 대한 전국민적 관심이 높아졌으니 나름 만족할(?) 성과를 얻었다고 할 수 있을 듯 싶고 구글은 앞서 잠깐 언급한 것처럼 자신들의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서 제대로 마케팅을 하고 있으니 서로서로 윈-윈 전략이 잘 통한 듯 싶다. 뭐 어찌되었던 ..
-
사례를 통해 살펴보는 IBM z Systems z13을 통한 데이터 분석 및 활용IT topics 2015. 9. 17. 06:31
시스템의 컨셉이 아무리 좋아도 실제로 써먹지 못하면 의미가 없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일이다. 특히나 IT 업계에서는 매년 정말 다양한 컨셉의 IT 기술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기는 하지만 그것이 실제 삶의 질로 연결되거나 기업에서 업무 생산성 향상, 또는 수익성 향상으로 이어지는 일이 그렇게 많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웹 2.0 시대로 넘어온지 벌써 10년이 훌쩍 넘었지만 기업들이나 정부, 공공기관들은 이제야 그것들을 조금 활용하려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사실이기도 하고 말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웹 2.0, 모바일, 빅데이터, 실시간 데이터분석 등 다양한 IT 기술들이 쏟아져 나오고는 있지만 이들 중에서 제대로 기업이나 정부기관에서 써먹는 경우는 많지가 않다. 하지만 제대로 써먹을 수만 있다면 ..
-
IBM z Systems를 통해 데이터 통합 및 실시간 분석의 중요성을 깨닫다IT topics 2015. 8. 25. 08:00
메인프레임의 장점, 하지만 현실은.. 일반적으로 엔터프라이즈 시장에서 서버 시장은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서버는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하드웨어 플랫폼 및 OS 플랫폼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서버 시스템에서 어떤 OS를 사용하는가가 무척이나 중요한 이슈가 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서버 시장은 x86 서버, UNIX 서버, 그리고 메인프레임로 나뉘는데 x86 서버는 Intel이나 AMD에서 제공하는 Xeon이나 ix core CPU를 이용해서 만든 서버로 우리가 사용하는 PC의 고성능 버전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x86 서버의 경우 일반 데스크탑을 조립하듯 조립해서 쓰는 경우도 종종 있다. x86 서버는 Windows나 Linux를 메인 OS로 사용하며 Sola..
-
IoT와 빅데이터 시스템의 만남이 만들어낼 자동화 시스템 이야기IT topics 2015. 6. 24. 18:05
최근 IT 업계에서는 3가지 키워드가 아니면 프로젝트 기획도 발주도 안해준다고 합니다. 빅데이터, 모바일, 그리고 IoT라는 키워드입니다. 그동안 얘기해왔던 보안 역시 3개의 키워드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 다양한 분야에서 3개의 키워드를 포함하여 솔루션을 만들고 서비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빅데이터는 기반 시스템, 즉 플랫폼의 역할을 담당하고 모바일과 IoT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플랫폼으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을 수행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인체 기관으로 비유하자면 모바일과 IoT는 눈과 코, 입, 귀, 손, 발과 같은 존재고 빅데이터는 두뇌와 같은 역할을 한다면 이해하기가 편할 듯 싶습니다. 향후에도 이 3개의 키워드는 한동안 계속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동안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서 ..
-
하둡만 찾는 한국의 빅데이터 시장. 이제는 데이터 분석이 빛을 보는 시대가 오는데..IT topics 2015. 5. 13. 23:01
요즘 들어, 언론 상에서는 많이 오르내리고 있지는 않지만 그래도 여전히 IT 세계에 있어서 화두가 되고 있는 키워드가 있다. 다름아닌 빅데이터라는 키워드다. 2~3년전부터 꾸준히 얘기가 나오고 있고 지금도 일반인들에게만 그 관심이 좀 멀어졌을 뿐 실제로 프로젝트를 발주하고 수주하는 실무진 입장에서는 여전히 가치가 있는 키워드가 빅데이터임은 분명한 사실이다. 최근 많은 서비스들이 이 빅데이터 처리 및 분석을 기반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정부기관이나 공공기관, 기업에서 발주하는 프로젝트 역시 빅데이터와 모바일, 그리고 IoT라는 키워드가 아니면 프로젝트 발주 자체가 안된다는 말이 실무진들 사이에서 나올 정도로 아직까지 그 가치는 인정받고 있는 키워드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빅데이터 시스템을 얘기하자면 다음..
-
세상을 바꾸고 있는 스마트 소비 및 유통 전략, 옴니채널IT topics 2015. 2. 6. 09:10
요즘 유통업계에서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단어가 하나 있습니다. 옴니체널이라는 단어입니다. 최근 롯데의 신격호 회장이 롯데의 최우수 핵심사업으로 롯데월드타워 구축과 함께 옴니체널 구축을 꼽으면서 옴니체널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는 중입니다. 그리고 이 옴니체널은 단순한 유통업계에서의 이슈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수많은 IT 기술들이 함께 어우러져 만들어진 전략이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관심있게 지켜보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이 옴니체널이 뭐고 어떤 기술이 들어가 있는지, 그리고 지금 어떤 분야에서 이 옴니체널을 적용하여 뜨고 있는지 가볍게 살펴보는 것도 좋겠다 싶습니다. 옴니체널 이전의 다양한 유통 체널들 옴니체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전에 어떤 체널 개념들이 유통업계를 휩쓸고 ..
-
모바일, 클라우드, 그리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기업의 가치를 높히기 위한 방법은?IT topics 2014. 12. 22. 09:25
지금은 데이터의 시대다. 아니 데이터 홍수의 시대라고 봐도 좋을 듯 싶다. 업무 시스템에서도 수많은 데이터들이 오가고 있고 또 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장에서는 고객으로부터 다양한 서비스에서, 또 단말기 등에서 들어오는 엄청난 데이터들이 있다. 그리고 이렇게 수집되는 데이터들을 어떻게 분석하고 의미있는 결과를 만들어 기업의 경영 정책에 반영할지, 혹은 서비스의 운영 정책에 반영할지, 아니면 새로운 서비스나 시스템을 만드는데 있어서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하고 결정하여 적용하는 것이 이제는 기업의 미래를 결정짓는 일이 되어버렸다. 기업의 미래는 이제는 다양한 데이터들을어떻게 분석하여 기업의 현재와 미래를 만드는데 응용할 것인가가 핵심이 되어버리는 시대가 온 것이다. 모바일, 클라우드, 그리고 빅데이터 2014년에 ..
-
[IBM PMQ] 빅데이터 분석 및 예측 시스템을 통해 시스템 및 BI의 혁신을 이끌어내다. IBM의 예지 정비 PMQ 솔루션 이야기IT topics 2014. 12. 1. 11:41
최근 IT 세계의 화두 중 하나가 다름아닌 빅데이터다. 대용량의 그리고 서로 다른 형식의 데이터들을 어떻게 빨리 모아서 처리하고 분석하고 그것을 의미있는 데이터로 만들어서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가를 연구하는 빅데이터 시스템의 기술이 이제는 본격적으로 제대로 된 시스템화 되어서 시장에 나오고 있다. 예전처럼 SNS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트랜드를 분석하는 수준이 아니라 그 이상의 뭔가를 만들어내는 상황이 온 거이다. 오늘 가볍게 소개하려고 하는 IBM의 PMQ가 불리는 예지 정비 솔루션이 바로 그 좋은 예라는 생각이 든다. IBM PMQ(Predictive Maintenance Quality) 솔루션은 공장 등에서 설비 및 부품의 이상을 실시간 예측하고 최적의 대응 방안을 알려줌으로써 생산 효율을 극대..
-
[Bluemix] IBM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및 배포를 위한 PaaS 서비스, 블루믹스Cloud service 2014. 8. 26. 08:00
이 블로그를 통해서 IBM의 이런저런 서비스들, 솔루션들을 소개하곤 했는데 오늘은 이전에 IBM이 클라우드 기반의 플랫폼 서비스(PaaS, Platform as a Service)인 블루믹스(Bluemix)를 소개할까 한다. IaaS, PaaS, SaaS등 클라우드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들이 존재하고 각 서비스들은 각각 장점들이 존재한다. 블루믹스는 이들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들 중에서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로 사용자(혹은 고객)는 이 플랫폼 위에서 웹기반 어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를 만들 수 있으며 최근 트랜드로 자리잡고 있는 빅데이터 관련 솔루션이나 IoT 관련 솔루션도 블루믹스 위에서 개발할 수 있고, 서비스 할 수 있다. 참고로 IBM은 PaaS 기반의 블루믹스 외에 IaaS 기반의 이 블로그에서 자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