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
-
애플에 비판적인 나, 하지만 그렇게 보이게는 너무 애플 제품을 많이 쓰고 있는 나를 보면서...IT topics 2012. 1. 31. 08:10
이 블로그에서 여러번 내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모바일 기기들이나 데스크탑, 노트북, 태블릿 등을 소개했었다. 사용기를 쓰는 목적으로 사용했던 제품들도 있었고 메인으로 사용하고 있는 제품들도 있었다. 그 중에서 애플 제품들만 한번 모아봤다. 지금 내가 사용하고 있는 애플 제품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하고 말이다. 뭐 이 포스트를 보는 분들 중에서 '갑부 인증 하려고 하는구먼'하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지도 모른다(대충 떠오르는 사람이 몇 있다 -.-). 그냥 심심해서 한번 모아서 찍어본 것이다. 갖고 있는 애플 제품들을 한 곳에 다 모아봤다. 가운데에는 2011년 하반기에 나온 27인치 아이맥이 자리잡고 있고 우측으로는 마찬가지로 2011년 하반기에 나온 11인치 맥북에어가 있다. 우측으로는 애플의..
-
기즈모도의 갤럭시 탭 비판기사에 대한 뒷배경은 뭘까?Mobile topics 2010. 11. 11. 13:35
이번에 기즈모도에서 아주 신나게 삼성의 갤럭시 탭을 때리는 리뷰 기사를 썼다. 대놓고 아이패드를 따라했다는 것이며 참신한 것이 하나도 없는 그동안 봐왔던 갤럭시 탭 관련 기사들 중에서 가장 악랄한(?) 악평을 늘어놓았다. 물론 언론의 성격에 따라서 호불호가 갈릴 수 있기는 하지만 이렇게 신나게 까는 기사는 참 재밌는 듯 싶다. 이를 두고 많은 언론들은 미국에 이제 본격적으로 갤럭시 탭이 상륙하게 되는데 삼성 경계령이 발동되어 미리 경계하는 분위기 때문이 아니겠느냐 하는 얘기를 하고 있다. 뭐 삼성의 힘(무지막지한 물량으로 시장을 뒤덮어버리는)을 잘 안다면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다. 스마트폰만 하더라도 올해 초까지는 거의 무존재에 가까웠던 삼성전자가 최근 HTC를 제치고 스마트폰 점유율 4등까지 올..
-
블로그는 그저 블로그일 뿐..Blog 2009. 2. 13. 02:38
블로그는 뭘까? 블로깅은 뭘까? 난 블로그를 왜 운영할까? IT 업종에 있다보니 인터넷이라는 공간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었고 좀 괜찮은 취미생활이 없을까 싶어서 디카로 사진을 찍고 그 사진을 공유할려고 개인 홈페이지를 만들어서 운영하다가 블로그라는 툴이 괜찮다더라 해서 블로그라는 툴로 옮긴 후 지금까지 계속 그 툴을 사용하게 되었다. 또 주제도 처음에는 사진들로 시작하다가 개인적인 이야기로 바뀌더니 이제는 IT 이슈에 대한 칼럼을 쓰는 형식으로 바뀌여서 지금까지 오게 되었다. 뭐 칼럼이라고 하기에 너무 모자란 글들이지만 뉴스라고 하기에는 그렇고 신문의 사설과 같은 느낌으로 글을 쓰니까 사설이라 하면 좀 딱딱한 느낌이라서 칼럼이라고 해두자(그런데 칼럼도 딱딱하기는 마찬가지네 ?.-). 블로그를 운영한지는 ..
-
언론노조의 총파업에 동의를 표하며...Current topics 2008. 12. 26. 18:57
언론이 아주 몸살을 앓고 있다. MBC, SBS, YTN 등을 비롯한 언론노조에 속해있는 각 방송사 및 신문사들은 오늘 아침부터 총파업을 선언하며 강경투쟁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그래서 방송파행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뉴스의 단독진행 및 예능프로그램의 파행방송, 검은색 복장으로의 뉴스 방송 등 총파업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이고 있는 오늘이다. 아마도 이러한 현상을 앞으로 계속 진행될 듯 싶다. 이러한 사태를 부른 것은 현 정부 및 여당이다. 여당은 개정된 신문법, 방송법 등 미디어 법안등을 연말에 어떻게든 통과시킬려고 몸부림치고 있으며 정부는 얼씨구나 하면서 여기에 동조하고 있다. 이에 저들 언론노조들이 반발하고 있는 것이다. 즉, 미디어 7대 악법을 강행처리 할려고 하는 정부, 여당에 맞선 언론노조들..
-
최진실법 도입, 단순히 악플 처벌인가? 아니면 인터넷 반대여론을 막기 위한 계략인가?Current topics 2008. 10. 5. 07:34
요즘 정치권에서 인터넷 통제를 강화하는 법안으로 인해 꽤나 시끄럽다. 이번에 최진실의 자살 사건으로 인해 한나라당은 인터넷 악플 및 사이버 모욕죄를 포함 인터넷 전반에 규제 및 통제를 강화하는 법안을 내놓았는데 이른바 '최진실법'이라 불리는 이 법안은 여야간에 마찰로 인해 논란의 중심에 서 있게 되었다. 간단히 정리해서 한나라당에서 내놓은 최진실법은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다. - 댓글의 삭제 권한을 포탈에서 개인으로 넘기고 개인이 포탈에 삭제를 요청할 경우 24시간내 우선 댓글을 삭제한 다음 이의신청이 있을 경우 72시간안에 방통위에서 심의해서 삭제 여부를 가린다. - 하루 평균 방문자가 30만(언론사이트는 20만) 이상인 인터넷 사이트에 적용했던 제한적 실명제를 10만명 이상의 사이트로 확대 - 사이버 ..
-
이명박 당신은 아마추어(진중권의 독설)...Current topics 2008. 2. 22. 16:04
진중권 교수가 고뉴스에 나와서 인수위와 이명박 차기정부에 대해서 신랄하게 비판했군요. 듣다보면 참 민망할 정도지만 옳은 얘기기는 합니다. 진중권 교수에 대해서 그닥 좋은 이미지는 안갖고 있지만(디워 논쟁 때문시) 이렇게 대놓고 날카롭게 비판하는 사람들도 그닥 없네요. 듣다보면 시원하다는 생각까지 하게 됩니다. ^^; 인수위가 하는 짓들을 보고 참으로 아마추어도 이런 아마추어가 없다고 생각을 했는데 속이 후련할 정도로 잘 말해주고 있네요. 그런데 이 포스팅이 법에 접촉되거나 그럴 일은 없겠죠? ^^;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http://bloggernews.media.daum.net/news/811980
-
논란이 많은 '무한도전 - 하하의 게릴라 콘서트'를 보고..Current topics 2008. 2. 21. 13:44
주초에 블로고스피어에서는 무한도전에 대한 이야기로 들끓었다. 무한도전의 멤버인 하하가 군에 입대하기 때문이다. 현역이 아닌 공익근무요원이지만 적어도 복무기간동안에는 방송활동을 할 수 없으니 하하로서는 무한도전에 대한 마지막 방송이 되었을 것이고 무한도전 입장에서는 그동안 무한도전을 위해 고생한 하하에게 위로이자 격려 차원에서 게릴라 콘서트를 개최한 것이다. 그런데 이 방송을 두고 이래저래 말들이 많았다. 나는 본방송을 보지 못했다. 그래서 나중에 인터넷을 통해서 볼 수 있었다. 하도 블로고스피어와 인터넷에서 이에 대한 얘기가 많아서 도대체 어떤 내용이었길레 이리도 말들이 많은가 궁금했다. 그래서 인터넷을 통해서 다운받아서 PMP로 봤다. 나는 왜 사람들이 무한도전의 이번 방송을 보며 실망을 했는지 이해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