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
-
[갤럭시 알파 S뷰 커버] 갤럭시 알파를 보호해주면서도 편리함을 더해주는 S뷰 커버Review 2014. 11. 19. 08:00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인 삼성 갤럭시 시리즈(갤럭시 노트 10.1이나 갤럭시 탭 시리즈는 빼고)를 구입해서 쓰다보면 어쩌면 가장 먼저 구입하게 되는 것이 커버가 아닐까 싶다. 케이스를 살 수도 있고. 어찌되었던 생폰을 그대로 들고 다니는 용자는 생각보다 많지는 않은 듯 싶다. 내 폰은 소중하니까 말이지 ^^; 어찌되었던 갤럭시 알파도 다양한 악세서리들이 나왔는데 오늘은 그 중에서 위에서 언급했듯 나 역시 생폰을 그대로 들고 다닐 용기가 없어서 커버를 하나 소개하려고 한다. 갤럭시 시리즈가 나올 때마다 어쩌면 가장 인기가 있는 커버로 S뷰 커버가 있을텐데 갤럭시 알파도 S뷰 커버가 있어서 그것을 소개할까 한다. 디자인 내가 갖고 있는 갤럭시 알파가 골드 에디션이기 때문에 S뷰 커버도 골드로 선택했다. 역시 예..
-
카카오톡에서 텔레그램으로의 사이버 망명이 의미하는 것은? 국내 서비스를 이용한다면 어쩔 수 없는 정부의 입김은 어떻게?Security 2014. 10. 13. 08:15
텔레그램.. 요즘 사이버망명의 중심에 서 있는 해외 메신져 어플리케이션이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아이폰을 모두 지원하고 PC버전도 존재한다. 이게 요즘 핫 이슈이기는 한데 그 이유를 듣고보면 황당하기 그지없다. 정부의 뻘짓이 잘 쓰던 카카오톡을 비롯한 국내 메신져 시장을 죽이고 사용자들을 해외 서비스로 내모는 상황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최근 검찰은 인터넷 명예훼손 전담팀을 꾸린다고 했다. 이것을 많은 사람들은 이제 검찰이 인터넷의 게시판 내용, 댓글의 내용, 심지어 메신저에서 서로 오가는 내용까지 모두 감시하고 검열하려한다고 반발을 했다. 물론 검찰이 실시간으로 검열을 하거나 감청을 하지는 못한다. 일단 법 자체가 영장이 있어야 영장을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에 제시하여 정보를 가져갈 수 있게 ..
-
[Incase] 가볍고 얇으며 세울 수도 있는 기능성 아이패드 케이스, 인케이스!Review 2011. 2. 11. 08:30
요즘 들어 아주 뜨거운 감자와 같은 태블릿 디바이스가 있다. 최근 KT와 애플코리아에서 출시한 아이패드가 그 주인공이다. KT를 통해서는 3G 모델을, 애플코리아를 통해서는 WiFi 모델을 출시했는데(KT를 통해서는 와이브로 애그와 함께 WiFi 모델을 구입할 수 있다) 아이패드가 2010년 상반기에 나온 디바이스임을 감안한다면 국내에는 상당히 늦게 들어왔다고 할 수 있다. 이미 해외에서 구입해서 국내에서 쓰고 있던 사람들도 상당수 존재하기도 했고 블로그 등의 각종 인터넷 기사를 통해서 아이패드에 대한 수많은 이야기가 나왔기에 크게 이슈가 안될 것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나오자마자 국내에서도 불티나게 팔리기 시작했으며 아이폰에 이어 애플은 국내에서도 2 번째로 대박을 치는 제품으로 기록되게 될 듯 ..
-
처음 본 사람도 구글링을 통해서 모든 정보를 알 수 있는 세상이라는게...IT topics 2010. 7. 6. 11:50
Mashable에 나온 내용인데 구글의 무서움을 살짝 보여주는 만화라고나 할까. 처음 만나는 사람에 대해서 그 사람에 대한 정보를 알고 싶을 때 이름만 알면 구글링해서 그 사람의 정보를 다 알아버린다는 만화다. 뭐 만화를 보면 내용을 다 이해하겠지만 말이다. 그런데 이 만화가 얘기하고자 하는 내용은 처음 본 사람의 정보도 구글을 통해서 손쉽게 알 수 있다는 것이 아닌 내 개인정보가 인터넷에 마구 떠돌아다니고 있으며 구글링을 통해서 쉽게 다른 사람들에게도(나를 모르는) 노출되어 있다는 것이다. 예전에 페이스북의 창시자인 마크 주커버그가 개인 프라이버시가 인터넷 시대에 들어와서 많이 퇴색되었다는 요지의 발언을 한 적이 있다(물론 이 발언과 함께 페이스북의 개인 프라이버시 정책 변경으로 꽤나 욕 좀 얻어먹었지..
-
[1인 창조기업] 1인 창조기업의 활성화를 위해 국가의 지원은 필수적이다...IT topics 2010. 2. 11. 09:03
일전에 앱스토어와 같은 오픈마켓을 통해서 개인 개발자 시장이 점점 커질 수 있다는 얘기를 했다. 실제로 커지고 있으며 머지않은 미래에는 좋은 아이디어를 갖고 개인 개발자들도 기업들을 상대로 좋은 경쟁을 할 수 있는 세상이 올 것이라 생각이 든다. 하지만 이런 세상이 오기까지에는 정말로 많은 난관이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역시나 재정적인 문제다. 국내에 앱스토어를 통해서 1억원 이상을 번 개발자 이야기가 나오고 있고 세계적으로 많은 개발자들이 짭짤하게 돈을 벌고 있다고는 하지만 그 영역까지 도달하기까지에는 수많은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개인이든 기업이든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유통 시장에서는 서로가 적으로 무찌르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는 험난한 강호의 세계가 펼쳐진다. 그 중에서 그래도 여력이 있는 기업..
-
네이버, 드디어 CCL을 도입하는가.IT topics 2008. 2. 26. 14:23
네이버가 블로그와 카페에 CCL(Creative Commons License)를 도입하겠다고 한다. 그리고 스크랩된 글의 원본 출처를 자동으로 기입하게 하고 스크랩한 글은 수정할 수 없도록 한다. 네이버 블로그 시즌 2의 에피소드 3, 4에 포함된 이야기다. 또한 검색시 스크랩된 글 보다 먼저 원본이 검색될 수 있도록 검색 알고리즘을 강화한다고 한다. 먼저 스크랩된 글에 대한 원본의 기능강화에 대한 이야기다. 스크랩된 글의 원본 출처를 자동으로 기입하게 하고 스크랩된 글은 수정이 안되도록 했다. 간단히 테스트를 해봤는데 스크랩된 글의 원본 및 출처가 글의 상단에 기입된다. 이전과 비슷하지만 폰트가 좀 더 커졌다. 그래서 이전보다는 좀 더 잘 보일것이라 생각이 든다. 그리고 수정할려고 하면 수정창에 아예 ..
-
DRM(Digital Rights Management)?IT topics 2007. 9. 5. 16:26
요즘들어 DRM Free라는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다. 말 그대로 DRM이 없이 제공한다는 이야기다. 특히 MP3 등의 음원쪽에서 이런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다. 이미 MP3는 대세고 각 DRM에 따라서 MP3P의 선택이 제약을 받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불편하다는 평가 때문이다. 그래서 MP3쪽은 DRM 없이 제공하자는 운동이 많이 일어나고 미국에서는 대형 MP3 제공 업체쪽에서 DRM Free로 MP3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렇다면 왜 DRM을 사용했을까? 이미 어떤 용도로 사용을 했으니 이제는 DRM을 풀자는 이야기가 나오는게 아닌가.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의 약자로 말 그대로 전자 권리 관리(직역)다. 전자 권리라 함은 일반 종이로 된 문서가 아닌 PC..
-
네이버가 블로그 검색결과 조작?IT topics 2007. 8. 22. 09:02
네이버의 검색결과 조작의혹이 이제는 주류언론에까지 이슈화가 되는 모양이다. 오늘 인터넷 신문을 보는데 다음의 기사를 발견했다. 네이버가 블로그 검색 조작? (한국일보) 기사에는 태터툴즈와 같은 설치형 블로그 및 티스토리, 이글루스와 같은 전문 블로그 서비스를 통한 블로그에서 작성한 글들이 네이버의 검색결과에서 사라지고 있고 그 빈자리를 네이버 블로그가 채우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전문 블로그에서 배낀 스팸 블로그가 검색 결과에 노출이 되고 원작자의 글들이 뒤로 밀리거나 아예 검색이 안되고 있는 황당한 일까지 벌어지고 있어서 네이버의 신뢰도가 급격히 추락하고 있으며 올블로그 등의 메타 사이트를 중심으로 네이버를 성토하는 글들이 올라오고 있는 실정이라고 전했다. 기사에서는 네이버가 자체 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