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
드디어 공개된 아이폰 11 시리즈의 한국 가격.. 비싸도 너무 비싼거 아냐?Mobile topics 2019. 10. 14. 11:03
며칠 전에 드디어 애플코리아에서 공식으로 판매가 되는 아이폰 11 시리즈의 가격이 애플스토어를 통해 공개가 되었다. 아직 이 글을 발행하는 시점에서 출시날짜는 공개되지 않았지만(여러 루트를 통해서 확인해봤을 때 10월 25일 전후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예약은 21일부터 시작된다는 얘기도 있고) 일단 신사동의 애플스토어에서 오프라인으로 구매할 수 있는, 또 애플스토어에서 온라인으로 구매할 수 있는 가격이 공개되었으니 아이폰 11 시리즈를 구입하려는, 혹은 기존 아이폰을 쓰던 사람들이 아이폰 11 시리즈로 바꾸려는 사람들이 얼마나 총알을 장전해야 하는지 알 수 있게 되었다. 일단 내가 살려고 생각을 했었던 아이폰 11 프로의 가격에 대해서 살펴보자. 아이폰 11 프로의 가격 내가 지금 쓰고 있는 아이..
-
US 모바일을 통해 미국 시장에 조금씩 발을 담그고 있는 샤오미의 작지만 의미있는 움직임Mobile topics 2016. 2. 2. 21:29
샤오미의 미국 진출이 조금씩 시작되는 것인가? 미국의 US 모바일은 샤오미와 메이쥬의 스마트폰을 수입해서 팔기로 했다고 외신들이 전했다. US 모바일은 우리나라로 따진다면 CJ 헬로비전과 같은 업체로 T 모바일 네트워크를 임대해서 사용하는 MVNO 이통사다. US 모바일은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인 샤오미와 메이쥬의 스마트폰들 중 일부를 수입해서 판매한다고 한다. 샤오미나 메이쥬 입장에서는 보다폰이나 T 모바일, AT&T와 같은 메이져 이통사는 아니지만 어찌되었던 정식으로 미국 시장에 첫 발을 내딛는 상황이 되었다는데에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을 듯 싶다. 앞서 얘기했듯 아직 샤오미나 메이쥬, 특히 샤오미는 중국의 입김이 센 화교권 국가가 아닌 유럽이나 북미 지역에서는 제대로 스마트폰 판매를 진행하지 못했다..
-
아마존의 창업자 겸 CEO, 제프 베조스. 그는 왜 워싱턴 포스트를 가져갔고 언론사 사주가 되었을까?IT topics 2013. 8. 8. 10:03
어제 인터넷을 뜨겁게 달군 뉴스라고 한다면 단연 아마존의 창업자겸 CEO인 제프 베조스의 워싱턴 포스트 인수 뉴스가 아닐까 싶다. 136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미국의 전통있는 언론 매체인 워싱턴 포스트를 2억 5천만 달러에 산 것이다(우리나라 돈으로 환전하면 대략 3천억정도 되지 않나? 여하튼 돈 진짜 많아서 부럽다 T.T). 이에 대해서 이런저런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다. 역사와 전통을 자랑했던 워싱턴 포스트, 그런데 산 사람은 제프 베조스! 잘 알다시피 워싱턴 포스트는 위에서 언급했듯 136년이라는 10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니고 있는 언론 매체다. 영향력은 말할 것도 없고 그동안 알려진 활약상을 말하자면 끝도 없을 정도다. 미국 대통령이었던 닉슨을 끌어내린, 워터 게이트로 특종을 알린 것이 워싱턴 포..
-
미국에서 디자인하고 엔지니어링하고 만들어지는 첫번째 스마트폰이라고 불리게 될 모토롤라의 모토X, 과연 애국심 마케팅이 얼마나 먹힐까?Mobile topics 2013. 7. 3. 14:51
모토롤라가 드디어 모토X를 미국 시장에 본격적으로 출시하려고 하는가보다. 아래의 모토X 광고가 곧 미국 주요 일간지에 집행이 된다고 하니 말이다. 내용을 보면 어떻게 보면 좀 자극적인, 특히 애플을 겨냥한 문구처럼 보이는 부분이 있다. 다름아닌 헤드라인 부분인 'The first smartphone designed, engineered, and assembled in the USA is coming'이다. 미국에서 디자인되고 엔지니러링되고 조립되는 첫번째 스마트폰이 곧 온다는 얘기다. 이는 애플이 아이폰이나 아이패드를 만들 때 설계 및 디자인은 미국의 애플 본사에서 하지만 제품의 생산, 조립은 중국의 폭스콘 등에서 하는 것을 비꼬아서 말하는 것으로 풀이될 수 있다. 한마디로 모토롤라는 애플과 달리 철저한..
-
과거에는 찬사를, 지금은 고민을 주는 인터넷 기술이 된 ActiveX와 Java.IT topics 2013. 3. 11. 12:00
한국과 미국, 양쪽에서 지금 웹과 관련된 취약점 공격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무슨 이야기인가 하면 한국은 ActiveX로 인한 다양한 문제점으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고 미국은 Java(자바)의 문제점으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다는 얘기다. ActiveX와 Java는 언뜻 보면 별로 공통점이 있어 보이지 않지만 주로 문제가 되는 환경이 웹이라는 점, 그리고 양쪽 나라에서 현재까지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기술이라는 점이 공통점이다. 뭐 많이 사용하는 만큼 문제점도 많이 생기며 골치도 많이 아파오는 것은 어느 것이든 간에 다 마찬가지인 듯싶다. 최근 IT 세계에서 핫이슈 중에 하나가 다름 아닌 Java의 취약점을 노리는 해킹 이슈다. Java의 취약점은 매번 나오고 있지만 패치가 이뤄져서 보강이 되기 전에 공..
-
삼성과 애플의 특허전쟁을 보면서.. 삼성은 자국 보호조치가 강한 미국보다는 실제 해외 주 수요처가 되는 유럽에 신경써야 할 것이다.Mobile topics 2012. 8. 29. 11:30
이번에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삼성과 애플의 특허전쟁을 보면 재밌기도 하고 답답하기도 하고 좀 그렇다. 뭐 내가 그쪽에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은 아니기 때문에 애플이 이기던 삼성이 이기던 사는데 있어서 지장은 없는 편이기는 하고 내 입장은 회사가 어떻든간에 제품만 괜찮으면 어느정도 용서해줄 것들은 다 용서해주리라 하는 성격이기 때문에 그냥 이 두 회사의 특허전쟁을 바라만 보고 있는 상황이다. 뭐 내가 개입할 수 있는 성격도 규모도 아니잖는가. 이렇게 블로그에 간단한 코멘트 정도나 붙이는게 다일지도 모르겠다. 여하튼간에 이번에 삼성과 애플의 특허전쟁을 보면서 느낀 점은 가볍게 적어볼련다. 애플은 삼성에 대해서 이런저런 특허들을 붙여서 소송을 벌렸다. 애플 입장에서는 스마트폰의 후발주자라고 할 수 있는(..
-
아이폰을 넘어 스마트폰 시장을 이끌기 시작한 안드로이드?Mobile topics 2010. 5. 10. 08:40
3월 자료를 바탕으로 5월에 이런 얘기를 하는 것이 우습기는 하지만 보통 통계자료는 해당 월의 통계치를 대략 한달쯤 뒤에 발표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인듯 싶으니 이 블로그 역시 그런 관례를 따르기 위해 애드몹이 발표한 3월 모바일 플랫폼 별 트래픽 통계를 좀 살펴보기로 했다. 이번 3월의 애드몹에서 발표한 모바일 플랫폼 별 트래픽 통계에서 기념비적인 일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위의 그래프는 미국의 스마트폰 플랫폼별 트래픽 점유율을 나타낸 것이다. 2009년 12월부터 2010년 3월까지의 내용인데 전체를 100%으로 보고 비교했을 때 2010년 2월까지는 아이폰이 스마트폰 트래픽들 중에서 가장 많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작년부터 시작해서 미국의 모바일 트래픽을 이끌고 있는 것이 아이폰이라는 뉴스는 계..
-
2009년 최고의 IT 제품은 뭐가 있었을까?IT topics 2010. 1. 26. 08:50
작년(2009년)을 화려하게 장식했던 IT 디바이스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국내도 연말이 되면 각 신문사나 방송국 등 다양한 언론매체들이 올해의 10대 상품이라는 이름하에 그 해에 가장 두드러졌던, 혹은 신선했던 제품들을 꼽아서 보여준다. 마케팅이라는 측면에서 꽤나 논란이 많기도 하지만 어떤 면에서 봤을 때는 그 년도의 제품의 성향 및 흐름을 아는데 꽤 도움을 준다. IT에도 이런 흐름(?)을 전파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았는데... 미국의 가튼버그(Gartenberg)에서 2009년 개인용 디바이스들의 이런 올해의 제품들을 최고와 최악을 꼽았다. 물론 기준 자체가 애매하기는 하다. 그리고 국내가 아니라 미국 기준이다. 당연히 우리와는 안맞을 듯 싶다. 하지만 미국의 흐름, 더 확장해서 전세계의 흐름을 파..
-
점점 인터넷 활용을 높혀가고 있는 미국의 어르신들.. 하지만 국내는?IT topics 2009. 12. 18. 11:50
나이가 든 어르신들은 PC를 이용해서 뭐를 하실까? PC가 대중화되고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생활패턴 자체가 바뀌기 시작한지는 꽤 오래전부터인 듯 싶다. 젊었을 때 PC의 대중화를 지켜보고 나이가 들어서 인터넷의 확산 및 대중화를 지켜보던 5~60대, 혹은 그 이상의 연령을 지닌 어른들의 PC 이용행태, 혹은 인터넷 이용행태는 어떨까? 메셔블에서는 미국의 이런 노인(이라고는 하지만 난 그냥 '나이 든 어른들'이라는 표현이 더 좋다 ^^)들의 인터넷 사용행태를 닐슨의 통계보고를 기반으로 분석을 했다. 그래서 나 역시 그 포스트를 기반으로 한번 풀어볼까 한다. 최근 페이스북에 가입한, 혹은 활동중인 사용자들 중 많은 사람들이 나이 든 어르신들이라고 한다(여기서 어르신의 기준은 만 65세를 넘긴 분들을 뜻한다)..
-
MS의 검색엔진 빙, 미국에서 10%까지 고속성장하고 있는데...IT topics 2009. 11. 18. 10:43
MS의 검색엔진인 빙(Bing)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작년에 런칭된 이후 꾸준하게 성장하면서 점유율을 상승시키고 있다. MS가 Live 검색에서 본 실패를 빙을 통해서 회복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적어도 미국에서는 그렇다. 빙은 지금도 그렇지만 초반부터 멀티미디어 검색(사진, 동영상 등의 검색)으로 구글과 차별포인트를 뒀다. 지금도 멀티미디어 검색은 구글보다 더 좋다는 평가가 여러 블로그들이나 전문가들, 혹은 주변 지인들 사이에서 들리고 있다. 거기에 MS는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SNS를 검색할 수 있도록 했다. 즉, SNS 실시간 검색을 도입한 것이다. 최근 MS는 트위터 검색을 위한 빙트위터 서비스를 내놓고 실시간 검색에도 피치를 올리고 있는 상황이다. 구글도 트위터와는 협약을 맺었지만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