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단말기
-
iPhone 5S에 탑재된 64bit A7 칩셋. 지금은 제대로 성능을 발휘할 수 없지만 미래의 모빌리티 환경를 위한 발판으로는 나쁘지 않다.Mobile topics 2013. 9. 16. 12:52
이번 애플의 스페셜 이벤트에서 애플은 아이폰 5S에 A7 칩셋을 탑재했다고 밝혔으며 A7 칩셋은 64비트 아키텍쳐 기반으로 만들어졌다고 말했다. 드디어 모바일 디바이스에 64비트 시대가 시작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 64비트 칩셋에 대해서 이런저런 말들이 많음을 블로그나 여러 언론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64비트로 바뀌면서 좋은 것은? 하지만 현실은? 일단 간단히 생각할 수 있는 것은 CPU(모바일에서는 AP가 되겠지만)의 비트가 높아지면 높아질 수록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비트가 의미하는 것을 간단히 얘기하자면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한번 연산에 처리되는) 최대 크기라고 보면 된다. 기존 모바일 단말기에는 보통 32비트 칩셋이 탑재되어 있는데 이 칩셋은 한번에 3..
-
문서를 모바일 단말기에 남기지 말라는 국정원의 업무용 스마트폰 보안 규격. 이제는 좀 바뀌어야 하지 않을까?Security 2013. 5. 9. 18:42
최근 2~3년동안 꾸준히 화제가 되고 있는 주제가 있으니 다름아닌 스마트워크다. 직장인이 되었건 자영업자가 되었건 일을 좀 효과적으로 하자는 것이 스마트워크의 핵심 주제고 그 배경에는 무선 인터넷의 활성화와 동시에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단말기 시장의 성장이 있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혹은 휴대하기가 편한 울트라북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해서 사무실이 아닌 다른 곳에서 작업을 함으로 사무실로의 이동시간을 업무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물리적인 공간을 차지하는 사무실을 축소하거나 다른 용도로 전용함으로 공간 제약에 대한 부분도 효과적으로 대처하자는 것이 스마트워크를 하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가 아니었나 싶다. 어찌되었던 지금도 스마트워크는 여전히 정부를 비롯하여 산업 전반에 화두가 되고 있음..
-
모바일 다바이스와 클라우드 서비스.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가 되어가고 있다.Cloud service 2011. 11. 28. 08:35
요즘들어 많이 얘기가 나오는 것이 모바일과 클라우드 서비스의 융합, 혹은 연계에 대한 내용일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이 점점 많아지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품질이 좋아지면서 다양한 서비스들과의 융합, 연계로 서비스의 퀄리티나 사용자 경험 등이 풍부해지고 있는 요즘에 들어 IT 시장의 화두가 되고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와 이제 대세가 되어버린 모바일 시장의 융합, 연계는 이제는 어찌보면 당연시 되어버린 상황이라고 할 수 있을 듯 싶다. 쉽게 설명하면 이렇다. 이제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서비스의 배경에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자리잡게 되지 않겠느냐 하는 얘기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수많은 스마트폰용, 태블릿용 어플리케이션들은 작게, 혹은 크게 클라..
-
모바일 워커들이 생각하는 모바일 워크스타일이란? [인포그래픽]Mobile topics 2011. 8. 10. 08:30
재밌는 이야기일 수도 있고 우울한 이야기일 수도 있는데 모바일 워크스타일이라는 인포그래픽이 있어서 소개할까 한다.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아이패드, 갤럭시 탭과 같은 태블릿을 그냥 스마트 태블릿이라 칭한다)의 보급이 확산되고 무선 인터넷 환경이 좋아지면서 이런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해서 일에 적용시키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데 그것에 대한 인포그래픽이다. 이른바 사무실에서만 일할 필요가 없이 언제 어디서나 사무실이 될 수 있다는 직장인들에게는 좀 슬픈 이야기라는 얘기다.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를 해보면...직장인 5명 중 3명은 업무시간 내내 사무실에만 있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함일하는 사람(employee라고 하는데 고용인, 종업원이라고 하기는 좀 그래서)들 중 32%가 업무시간에 1개 이상의 모바일 디바..
-
구글, 모바일 분야에까지 영역을 확장할려고 시도 중..Mobile topics 2007. 7. 25. 15:10
구글의 최근 행보가 심상치 않다. 최근 국내 IT관련 내외신을 통해서 들어온 소식들을 종합해보면 구글이 모바일 분야에까지 진출할려고 준비중인듯 하다. 구글, 모바일2.0 에서도 통할 것!…LG경제연구소 (아이뉴스24) 구글,「오픈」플랫폼 요구 걸고 700MHz대 경매 참여 (ZDNet Korea) 이미 삼성, LG를 통해서 구글폰을 출시했던 구글이 이제는 이동통신사업에까지 확장할 기세다. 이에 구글은 20일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개최하는 700MHz대의 주파수 할당 경매에 참여해 최저 입찰액수인 46억 달러를 지불할 수 있다는 의향을 표명했다고 한다. 즉, 유선 인터넷 상의 성공을 무선 인터넷 영역까지 확대하겠다는 야심으로 보인다. 모바일 분야의 경험을 축적하기 위해 구글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