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분리
-
월패드 해킹에 대한 정리Security 2021. 12. 14. 18:02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는 좀 시기가 지난 얘기(?)일 수도 있겠지만 최근들어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 편의성을 위해 설치된 월패드를 해킹해서 안에 사는 사람들의 사생활이 유출되는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지금은 아니지만 과거에 관련 보안업계에서 일했던 사람으로서 관심이 있어서 어떤 상황인지 조금 정리를 해보고자 한다. 월패드가 뭔가? 일단 월패드가 뭔지부터 좀 봐야할 듯 싶다. 내 경우 월패드가 설치된 아파트에서 살아본 경험이 없어서 그런지 월패드라고 하면 그냥 대문이나 아파트 입구의 카메라를 통해서 방문자를 확인한 후 문을 열어주거나 관리실이나 경비실과 통화할 때, 혹은 다른 집과 통화를 할 때 쓰는 기기 정도로 알고 있다. 그런데 요즘 월패드는 그정도를 넘어서 홈네트워크 허브, 홈 디바이스 컨트롤러..
-
공공기간 PC의 OS를 Windows OS 대신 개방형 OS로 사용한다는 정부IT topics 2020. 2. 6. 11:11
며칠 전 2월 4일자 행정안전부 보도자료에 '공공기관 PC, MS윈도우 대신 개방형OS 사용한다'라는 제목의 보도자료가 올라왔다.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서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데 보도자료가 아래아한글(HWP) 형식이라서 아래아한글이 없는 사람들은 보기가 어려운 것이 좀 아쉽다. 다행히 사이트 안에서 보도자료가 바로보기 할 수 있지만 PC가 아닌 모바일에서는 보기가 좀 까다롭다. 그래서 PDF로 변환해서 여기에 링크를 걸어두니 참고하시길 바란다. 일단 제목만 봐서는 공공기관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의 PC에 설치된 PC용 OS가 대부분 MS의 Windows OS인데 이것을 Linux와 같은 개방형 OS로 다 바꾸겠다는 얘기인거 같다. 아니 같았다. 이렇게 표현하는 이유는 내용을 읽어보면 얼추 알 수 있다...
-
국내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의 해킹 뉴스를 보면서..Security 2018. 7. 4. 09:33
지난 주 뉴스이기는 하지만 국내 최대 가상화폐(암호화폐) 거래소인 빗썸이 해킹을 당했다. 지난 주 뉴스에서는 350억원이 해킹당했다고 했는데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나온 뉴스를 보니 190억원으로 해킹 피해액이 줄었다. 세계 화폐 거래서와 협업을 통해 일부를 되찾았고 350억이라고 발표한 것은 해킹을 당했다고 발표한 날에 최대 예상액을 KISA에 얘기했기 때문에 그 금액이 나왔다고 하는 것이다. 어찌되었던 팩트는 빗썸은 해킹을 당했고 190억원 상당의 암호화폐를 해킹을 당했다는 것이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 가상화폐라 불리는 암호화폐는 그 자체의 보안은 무척이나 높은 편이다. 알다시피 블럭체인이라는 기술을 이용하여 이들 암호화폐가 거래가 되는데 이 블럭체인의 알고리즘만으로 본다면 암호화폐 그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