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
-
포스트 스마트폰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려는 스마트워치형 IoT 제품들. 필요없는 이유와 필요한 이유를 정리해보면..Mobile topics 2014. 10. 6. 08:00
2007년에 애플의 아이폰을 시작으로 스마트폰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서 항상 포스트 스마트폰의 이야기는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한동안 가장 큰 포스트 스마트폰의 선두주자는 태블릿PC였습니다. 역시 애플의 아이패드를 시작으로 삼성의 갤럭시 탭, 노트 10.1 시리즈들이 나오고 아마존의 킨들 파이어가 미국에서 제대로 히트치면서 태블릿PC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리기 시작했다고 생각을 했지요. 그리고 태블릿PC에서 3G, LTE 등의 이동통신이 지원되면서 스마트폰의 다음은 태블릿PC가 될 것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예상을 했습니다. 그런데 최근의 동향을 보면 태블릿PC는 포스트 스마트폰이라기 보다는 포스트 PC의 개념이 더 강한 듯 합니다. 스마트폰 시장보다는 PC 시장을 잠식하면서 스마트폰과 양립하는 상황이 되었..
-
[갤럭시 S4] 갤럭시 S4의 다양한 기능을 살펴본다면? 1탄...Review 2013. 6. 11. 17:44
이번에 국내에서 출시한 갤럭시 S4에는 이런저런 다양한 기능들이 녹아져있다. 기존의 갤럭시 S3에서 있었던 기능에 더 추가로 들어간 기능들에 대해서 살짝 살펴볼까 한다. 특히 밑에서 설명할 기능들은 실제 생활에서 제대로 써먹고 그런대로 효과를 봤던 기능들이기도 하다. 에어뷰 갤럭시 S4에 새롭게 추가된 기능 중 하나는 다름아닌 에어뷰 기능이다. 뭐 아는 분은 다 알다시피 에어뷰는 이전 버전인 갤럭시 노트 2에서 추가된 기능이다. 다만 갤럭시 노트 2에서는 S펜을 이용해서 에어뷰 기능이 동작했는데 갤럭시 S4에서는 S펜이 아닌 손가락으로 에어뷰 기능이 동작한다는 것이 다르다. 아무래도 갤럭시 S4에 S펜을 쓸 수가 없을테니 손가락으로 대신 한 기능인데 하지만 그런대로 쓸만하다. 특히나 동영상 재생 시 위의..
-
iPhone OS 3.0이 설치된 아이폰들. 어디까지 지원할까?Mobile topics 2009. 6. 25. 14:20
이번에 iPhone 3GS가 나오면서 함께 선보였던 iPhone OS 3.0. 과연 iPhone 3GS와 iPhone OS 3.0이 결합하면 어떤 시너지(?) 효과가 일어날 것인가? iPhone OS 3.0은 말 그대로 펌웨어이기 때문에 오리지날 iPhone과 iPhone 3G, iPhone 3GS 모두 설치가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펌웨어는 모두 같다고 볼 수 있으며 결국 iPhone 하드웨어에서 어디까지 지원하는가에 따라서 성능 향상 여부가 나온다. 아래는 iPhone OS 3.0에서 지원하는 기능과 iPhone, iPhone 3G, iPhone 3GS에서 어디까지 지원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표다. 일단 iPhone OS 3.0의 모든 기능을 다 사용하기 위해서는 iPhone 3GS가 필요하다. ..
-
[IT100] 똑똑한 디카, IT100의 재미난 기능들 찾기...Review 2009. 4. 20. 09:15
다양한 재주를 갖고 있는 컴팩트 디지탈카메라인 VLUU IT100은 기존의 다른 컴팩트 디카에 비해 똑똑한 인식기능(Smart Auto, 스마트 오토)과 HD급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고화질 촬영기능, 그리고 뽀샵 처리가 필요 없는 산뜻한 인물 사진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번에는 IT100의 전문적인 기능들을 한번 살펴볼까 한다. 얼추 3인치는 되어보이는 이 넓직한 LCD는 매우 시원해 보인다. 우측에 사진 촬영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휠이 있고 그 위로 줌인, 줌아웃을 할 수 있는 버튼(?)이 보이고 그 아래로 메뉴 버튼 및 다양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과 사진보기 버튼, 휴지통 버튼 등이 보인다. 일단 IT100은 다양한 촬영기능을 제공한다. 촬영기능 휠에 있는 기능만도 동영상, 스마트 ..
-
우리는 과연 휴대폰에서 제공하는 기능 중 얼마나 사용하고 있을까?Mobile topics 2008. 9. 29. 13:44
영국의 휴대전화 조사기관인 WDS Global은 영국 사용자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내놓았는데 휴대전화의 22%정도의 기능밖에 제대로 사용하고 있지 않다고 한다. 그런데 이 조사결과는 우리에게도 그대로 적용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봤다. 과연 한국의 휴대폰 사용자들은 휴대폰에서 제공하고 있는 기능 중에서 얼마나 사용하고 있을까? 휴대폰 종류에 따라서 틀리겠지만 최근에 나온 휴대폰에서 제공하고 있는 기능들을 보면 하드웨어적으로 지원하는 기능과 소프트웨어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기능을 나눠서 볼 때 MP3 재생기능 및 카메라 기능은 기본이고 이제는 캠코더 기능과 동영상 재생기능까지는 거의 기본으로 갖춰서 제공된다. 또한 위성 DMB 및 지상파 DMB 기능도 거의 기본기능화 되어버렸다. LGT의 오즈..
-
소프트웨어 개발로 눈을 돌리고 있는 휴대폰 시장..Mobile topics 2008. 4. 7. 11:01
휴대폰 시장에서 개발 플랫폼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그동안 터치스크린에 집중해온 삼성전자, 노키아 등의 휴대폰 제조업체들이 그 휴대폰을 이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에 눈을 돌리고 있다는 뉴스가 들려오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휴대폰 제조업체들은 휴대폰의 기계적인 기능 부분에만 신경을 써왔다. 휴대폰에서 MP3를 재생할 수 있는 MP3P 기능이나 디지탈 카메라 내장 기능, 거기에 디지탈 캠코더 기능과 동영상 재생 기능 등은 소프트웨어가 동반한 기술이기는 하지만 하드웨어적인 부분이 강한 기술들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터치스크린 기술을 기반으로 휴대폰 시장의 주도권을 둘러싼 전쟁을 치루고 있다. 이렇게 휴대폰 제조업체들이 하드웨어에 신경을 집중하는 동안에 휴대폰에 들어가는 소프트웨어 부분은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