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표준
-
국내 DMB 기술, 세계 표준이 되다.Mobile topics 2007. 12. 17. 15:40
정치뉴스에 밀려 기념해야 할 소식을 놓친 감이 없잖아 있지만 우리나라 지상파 디지탈멀티미디어방송(DMB)기술이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국제표준으로 선정되었다는 소식이 들렸다. 예전에 무선인터넷기술인 WiBro에 이어 IT에서의 쾌거다. 지상파 DMB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선정됨에 따라서 관련 기술들의 로열티를 통한 국제적인 수익이 가능하게 되었다. WiBro에 이어 무선통신에 관련된 기술은 국내 기술이 세계적인 수준임을 알려주는 계기라 할 수 있겠다. 아마도 지상파 DMB 상용화에 따른 기술적인 결함을 지속적으로 패치해나감으로 인해 얻은 결실이 아닐까 싶다. 지하철에서나 버스 안에서 DMB가 내장된 휴대폰이나 PMP, MP3P 등의 멀티미디어 기기를 들고 보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이동중에 심심할 때 볼..
-
WiBro, 3세대 국제표준이 되다Mobile topics 2007. 12. 3. 13:21
국내에서 개발한 무선인터넷 기술인 WiBro가 국제표준으로 채택되었다는 기사를 읽게 되었다. 한국 와이브로, 3세대 국제표준됐다 (아이뉴스24) 놀라운 사실이며 기뻐할만한 사실이다. 이제 국내기술로 IT분야에서 로열티를 받아먹을 수 있는 분야가 생겨서 기쁘기 그지없다(^^). 생각해보니 WiBro와 HSDPA중 어느것이 더 유용할까 하는 생각을 해봤다. 2년전에 대학원에서 이동통신쪽을 공부하면서 WiBro와 HSDPA를 공부했었다. 이동통신이 3세대로 넘어오면서 WCDMA의 연장선상에서 WiBro와 HSDPA가 거론되었다. CDMA와 GSM이 점점 GSM으로 넘어오면서(WCDMA도 GSM의 연장선상에 있다) WiBro와 HSDPA가 향후 이동통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배웠다. HSDPA는 외국기..
-
MS의 OOXML, 국제표준으로 인정받을까?IT topics 2007. 8. 30. 17:46
9월 2일, 국제표준화기구(ISO)가 MS의 OOXML(개방형확장표기언어, Open Office XML)을 국제 표준으로 인정할지에 대한 투표를 한다. 한국도 국가기술표준원을 중심으로 ISO의 투표에 1표를 행사하게 된다. 정부는 8월 31일까지 내부적으로 찬성, 반대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한다. 정부, 'MS 문서 표준' 어떤 선택할까? (아이뉴스24) MS는 OOXML을 국제표준으로 만들려고 엄청나게 로비를 했고 부단히 노력을 했다. 특히나 Office 2007에서는 OOXML를 문서형식으로 채택해서 OOXML의 확산을 시도했을 정도다. IBM은 이러한 MS의 SOA 접근법에 대해 맹비난을 한 적이 있다. IBM은 선 마이크로시스템, 구글과 함께 OASIS라는 표준문서단체를 이끌고 오면서 MS와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