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주니의 생각
-
흥미로우면서도 아쉬운 부분이 많다는 공통점이 있는 비슷한 시기에 나온 맥북과 크롬북픽셀 2세대Mobile topics 2015. 3. 14. 14:37
최근 며칠 사이에 2가지의 새로운 노트북이 세상에 공개되었다. 하나는 며칠 전에 애플이 신제품 발표회를 통해서 공개한 맥북에어의 후속버전인 맥북('뉴 맥북'이라고도 불리는거 같다)이고 또 하나는 이번에 구글이 발표한 크롬북픽셀의 새버전인 크롬북픽셀 2세대다. 윈도 계열 노트북이 아닌 다른 스타일의 노트북 2종류가 비슷한 시기에 나온 것에 대해서 나름 재밌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번에 애플이 발표했던 봄 이벤트 키노트의 핵심은 애플워치였다. 하지만 생각보다 실망했다는 애플워치의 반응으로 인해 더 주목을 받게 된 것이 애플워치 발표 전에 애플이 발표한 새로운 노트북인 맥북이었다. 맥북에어보다 더 가볍고 얇은 노트북으로 맥북에어의 후속기종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디자인적인 부분이나 레티나 디스플레이의 탑재, ..
-
아쉬움을 준 애플워치와 놀라움을 준 맥북의 등장. 2015년 애플 봄 이벤트 키노트를 보면서 느낀 부분을 정리하면서..Mobile topics 2015. 3. 10. 13:06
오늘 새벽에 애플은 봄 이벤트를 개최했다. 봄 이벤트라고 하지만 이미 많은 사람들이 다 알고 있는 것과 같이 애플워치의 공식 출시와 새로운 맥북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애플워치의 경우 지난 애플 발표회때 언급이 되었던 것이기 때문에 이번 발표로 공식적인 출시가 밝혀졌고 새로운 맥북에어 모델이 나올 것이라는 예상은 에어를 뺀 컴백한 맥북으로 마무리가 된 듯 싶다. 오히려 이번 이벤트의 핵심은 중국에 본격적으로 애플의 사업을 시작했다는 것을 알린 것이 아닐까 싶다. 키노트의 시작을 중국의 애플스토어 모습을 보임으로 했으니까 말이지. 얼추 알려진 내용 말고 키노트 영상을 보면서 얼추 느낀 부분을 좀 정리해볼까 한다. 키노트는 맥북부터 진행했지만 일단 애플워치에 대한 이야기부터 해볼까 한다. 예상했던 수준과 범..
-
아우디와 AT&T의 협업으로 나올 커넥티드 카. 과연 국내에서는 가능할까?IT topics 2015. 3. 9. 21:33
MWC 2015에서 소개된 다양한 기술들과 제품들 중에서 가장 많이 얘기가 나온 것이 자동차와 IoT 관련 내용들인거 같다. 물론 삼성이 MWC 2015 전에 언팩 2015를 통해서 갤럭시 S6로 화려하게 시작했지만 실제로 MWC 2015의 메인 테마는 스마트폰보다는 IoT에 집중되었고 스마트워치로 대표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함께 자동차에 적용되는 다양한 IoT 기술들이 핵심을 차지했다고 보여진다. 그 와중에 재미난 뉴스 하나가 눈에 보여서 읽어보고 느낀 바를 적어볼까 한다. 2016년형 아우디 자동차부터 도입될 AT&T의 무선인터넷시스템 아우디(Audi)와 AT&T가 아우디의 2016년형 모델부터 AT&T의 SIM 카드를 탑재한 무선인터넷이 연결되는 자동차 시스템을 내놓기로 했다는 뉴스다. 정확히 말..
-
[Prezi] 이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태블릿PC에서 프레지를 사용할 수 있다능Review 2015. 3. 6. 08:00
프레지(Prezi)라고 들어봤는가? 저명한 연사들의 강의를 들을 수 있는 테드(Ted)에서 사용되어져서 유명해진 프리젠테이션 도구다. 보통 우리가 프리젠테이션 도구라고 얘기한다면 MS의 Office에 있는 프리젠테이션 툴인 파워포인트와 애플의 OS X용 iWorks의 프리젠테이션 툴인 키노트를 얘기할 것이다. 둘 다 멋진 프리젠테이션 툴임은 분명하지만 웹상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웹기반 오픈소스 프리젠테이션 도구라면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프레지를 얘기할 것이다. 많이 알려져있지는 않다고 하지만 그래도 아는 사람들, 특히나 감성적인, 스토리라인이 살아있는 프리젠테이션을 하려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꽤 유명한 프리젠테이션 도구가 프레지라는 얘기다. 이 프레지가 안드로이드용 앱으로 나왔다고 해서 한번 살펴봤다..
-
갤럭시 S6와 S6 엣지의 진정한 가치는 모바일 결제의 삼성 페이와 모바일 보안의 삼성 녹스가 아닐지..Mobile topics 2015. 3. 5. 07:30
이번 스페인 바로셀로나에서 열리고 있는 MWC 2015의 서두를 장식했던 것은 삼성의 전략 스마트폰인 갤럭시 S6와 갤럭시 S6 엣지였다. MWC 2015 시작 하루 전에 먼저 삼성 언팩 2015를 열었고 거기서 갤럭시 S6와 갤럭시 S6 엣지를 공개한 것이다. 작년까지는 직접 현장에서 언팩 행사를 보면서 신형 갤럭시 시리즈들을 볼 수 있었지만 이번에는 그렇게 하질 못해서 한국에서 유튜브를 통해서 언팩 행사와 새로운 갤럭시 S6, S6 엣지를 보게 되었다(좀 아쉽기는 하지만 매번 갈 수는 없는 노릇 아니겠는가? 다음에 다시 갈 기회를 노려볼까 한다). 이미 갤럭시 S6와 갤럭시 S6 엣지의 디자인이나 기술에 대한 이야기는 다른 블로그나 언론을 통해서 많이 공개가 되었다. 이 블로그에서도 이번 포스팅 말고..
-
애플의 애플페이에 대항하기 위해 삼성이 선택한 방식, 루프페이 인수. 과연 현재의 기술로 미래의 기술을 얼마나 견제할 수 있을까?Mobile topics 2015. 2. 20. 21:16
이번에 삼성전자가 인수한다고 발표한 루프페이(LoopPay)에 대해서 이런저런 얘기가 많이 나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애플의 간편결제 시스템인 애플페이를 대항하기 위해서 삼성이 선택한 방식이 루프페이라는 얘기인데 이미 작년부터 루프페이 인수설이 나돌기는 했지만 이번에 구체화되어 인수된다고 공식적으로 나오고 있는 것을 볼 때 삼성 입장에서는 어떻게든 모바일 결제 시장에서 애플을 비롯한 알리바바의 알리페이에 마저 밀리면 안되겠다는 생각이 앞섰던거 같다. 루프페이는 어떤 서비스? 이번에 삼성이 인수한다고 발표한 루프페이는 신용카드 정보를 스마트폰에 저장해두고 신용카드 결제를 할 때 사용하는 POS 시스템과 연동하여 결제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루프페이는 신용카드 정보를 루프페이 전용 카드리더기를 스마트폰의 이..
-
오로지 ActiveX 방식만을 피하기 위해서 나온 Non-ActiveX 방식이라 불리는 방식. 과연 이게 맞는 방향일까?Security 2015. 2. 16. 11:18
최근은 아니지만 몇달전 천송이코드 관련 사건(?)으로 인해 다시 한번 ActiveX를 비롯한 관련 솔루션들이 재조명(?)을 받은 적이 있다. 뭐 좋은 쪽으로 재조명을 받은 것은 아니고 불편하고 비합리적이고 안전적이지도 않다는 부분에서 말이다. 이미 업계 안에서는 이런 부분이 어쩔 수 없는 상황으로 인해 야기된 것이라고 얘기하고 있지만 사용자들은 그런 변명(?)을 들을 생각을 하지 않는다. 뭐 이건 국가의 수반인 수첩공주께서도 마찬가지일테고 말이지. 결국 ActiveX 퇴출 운동의 정점을 찍으라는 지시에 이번에는 제대로 보안 관련 체계가 잡히려나 싶어서 어느정도 기대는 했는데 나온 방안이라고 하는 것이 너무 골때려서 말이지. ActiveX 방식의 문제점은? 최근 보안 솔루션 업체들을 비롯해서 이들 솔루션을..
-
세상을 바꾸고 있는 스마트 소비 및 유통 전략, 옴니채널IT topics 2015. 2. 6. 09:10
요즘 유통업계에서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단어가 하나 있습니다. 옴니체널이라는 단어입니다. 최근 롯데의 신격호 회장이 롯데의 최우수 핵심사업으로 롯데월드타워 구축과 함께 옴니체널 구축을 꼽으면서 옴니체널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는 중입니다. 그리고 이 옴니체널은 단순한 유통업계에서의 이슈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수많은 IT 기술들이 함께 어우러져 만들어진 전략이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관심있게 지켜보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이 옴니체널이 뭐고 어떤 기술이 들어가 있는지, 그리고 지금 어떤 분야에서 이 옴니체널을 적용하여 뜨고 있는지 가볍게 살펴보는 것도 좋겠다 싶습니다. 옴니체널 이전의 다양한 유통 체널들 옴니체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전에 어떤 체널 개념들이 유통업계를 휩쓸고 ..
-
커지는 스마트폰과 작아지는 태블릿PC, 그리고 축소되어가고 있는 태블릿PC 시장Mobile topics 2015. 2. 4. 09:27
그동안 스마트 디바이스 시장은 스마트폰이 주도하고 태블릿PC가 뒤따라오는 방식으로 시장이 커져왔다. 물론 최근에는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이 등장했기 때문에 스마트 디바이스의 카테고리가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뿐만이 아니라 스마트워치, 스마트밴드 등의 다양한 IoT 디바이스까지 확장되었지만 여전히 스마트 디바이스 시장의 주축은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인 것은 부정할 수 없다. 이런 시장의 동향은 2015년도 마찬가지가 되지 않을까 싶다. 점점 커지고 있는 스마트폰의 크기 대략 2년전부터라고 생각이 든다. 스마트 디바이스 시장의 2개의 축인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의 크기가 점점 비슷해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예전의 스마트폰은 대부분 4인치급이었고 일부 프리미엄 모델들, 그리고 패블릿폰이라 불리는 몇몇 스마트폰 ..
-
CJ헬로비전의 보안 미숙에 대한 안일한 대처. 이를 통해 살펴본 기업 보안의 핵심은 외부 보안보다는 내부 보안에 있는데..Security 2015. 1. 27. 09:46
페이스북으로 이런저런 글들을 보고 있는데 아래와 같은 기사가 하나 올라왔다. 보안관련 기사여서 좀 살펴봤는데 제목도 그렇고 내용도 그렇고 어이가 없는 기사다. CJ헬로비전, 고객정보 23만명 유출…"회수 완료" (디지탈타임즈) 솔직히 기자를 탓한 생각은 없다. CJ쪽에서 보내온 보도자료가 아마도 저랬을 것이며 제목 역시 내용보고 뽑았을테니 말이다. 하지만 좀 생각해봐야 할 것이 넘어간 고객정보를 회수했다는 표현 자체가 과면 맞는 것인가 하는 부분이다. 일단 넘어가면 원본은 여러 방식으로 복제되어 사용될텐데 어떻게 다 회수되었다는 것인지, 또 종이가 아닌 디지털 파일 형식으로 되어있을텐데 손쉽게 다량으로 복제가 가능한데 어떻게 회수했다는 것일까? 유출된 자료가 고객이름과 전화번호 뿐이라고 하지만 그것만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