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S
-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업무 진행. 효율성은 좋지만 보안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데, 그에 대한 해결책은?Security 2013. 12. 30. 08:00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들이 우리들의 삶 속으로 깊게 파고들기 시작한 것은 어떻게 보면 몇년 안된 최근의 일입니다. 스마트폰이라 불릴 수 있는 MS의 윈도 모바일이 탑재된 PDA폰은 지금으로부터 8~9년전에도 있었던 휴대폰입니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활성화와 삶과의 직접적인, 긴밀한 연결이 시작된 것은 2007년 애플이 아이폰을 내놓은 다음부터라고 보여집니다. 또 태블릿PC의 활성화 역시 2010년에 애플이 아이패드를 선보인 다음부터라고 봐야 할 듯 싶습니다. 어찌되었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는 짧게는 3년, 길게는 6년 정도의 짧은 역사(?)를 지닌 아이템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이런 스마트 디바이스가 없는 삶은 거의 상상하기 힘들 정도가 되었습니다. 기업들의 ..
-
모바일 시장에서 점점 빛을 잃어가고 있는 블랙베리. 이제는 기업형 모바일 시장에서도 그 입지를 잃어가고 있는데...Mobile topics 2012. 4. 12. 12:00
블랙베리가 점점 힘을 잃어가고 있는 모양새다. 이미 개인 모바일 시장에서는 힘을 잃어버린지 오래고 그나마 그동안 전통적으로 강했던 기업 시장에서도 안드로이드와 아이폰의 협공 안에서 점점 자리를 잃어버리고 있는 중이다. 국내의 경우 3~4년전에 블랙베리 모바일 오피스 시장을 도입했던 기업들이 삼성의 갤럭시 시리즈와 애플의 아이폰으로 기업용 스마트폰을 옮기기 시작하면서 그나마 기업형 스마트폰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했는데 점점 빛을 바래고 있는 상황이다. 개인적으로는 블랙베리 볼드 9000부터 시작해서 9700, 9780, 펄 3G, 9800 토치, 9900까지 다양하게 블랙베리 시리즈를 사용해봤다. 블랙베리의 강점은 물리적 쿼티키패드를 통한 정확하고도 빠른 문자 입력에 있다. 그리고 텍스트 메시징 부분에 있어서..
-
정보의 흐름을 통제하려하는 국가와 블랙베리의 RIM의 싸움Security 2010. 8. 9. 15:05
최근 UAE나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블랙베리를 금지시키고 있다는 뉴스가 나오고 있고 이번에는 인도네시아에서도 블랙베리의 메시징에 대한 문제를 거론하고 있다는 뉴스를 들었다. 이에 대해서 캐나다 정부가 직접 나서서 중재하려고 하고 있다는 소식도 들었다. 블랙베리 메시지에 대한 관리, 감독권한을 국가에 지정하던지 아니면 국가에서 직접 블랙베리 메시지를 관리하는 서버를 두게 해달라는 요청에 블랙베리를 만드는 RIM이 거부하면서 생겨난 일이다. 이것을 보면서 블랙베리 메신져, 혹은 메시지 전송에 대한 정보의 통제가 문제가 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BES(블랙베리 엔터프라이즈 서비스)나 BIS(블랙베리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서 전송되는 블랙베리 고유의 메시징은 워낙 보안이 뛰어나 외부에서 훔쳐보거나 하지 못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