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웨어
-
보안의 핵심요소, 암호화의 악용. 랜섬웨어의 공포!Security 2015. 5. 26. 14:54
인터넷이 활성화된 이후 수많은 사람들이 데스크탑이나 노트북과 같은 PC를 통해서, 혹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서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수많은 서비스 사업자들이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만들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인터넷을 통해서 수많은 생태계들이 조성되고 에코시스템들이 만들어지고 있지요. 그러다보니 이를 악용하여 수많는 블랙해커들이 인터넷 서비스들을 공격하여 변조하고 악성코드를 심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피해를 입히고 있습니다. 지금도 하루에 수백개씩 악성코드들이 생성되고 있으며 이런 악성코드들이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들을 노리고 있습니다. 최근에 얘기가 나오고 있는 랜섬웨어(Ransomware) 역시 이런 악성코드 중에 하나입니다. 언론에서 랜섬웨어에 ..
-
구글과 MS의 단편소식들..IT topics 2009. 2. 2. 10:21
이것저것 짜잘한 뉴스들을 한번 모아서 정리해봤다. 이미 이런 소식들을 접한 분들도 계시겠지만 그냥 이런게 있구나 하는 생각으로 보시면 편하실 듯 싶다. 구글툴바로 파이어폭스를 크롬처럼 보이게 해보자 일단 구글 소식부터. 재미난 소식 하나와 안좋은 소식 하나가 들리는데 일단 재미난 소식부터 전할까 한다. 파이어폭스용 구글툴바에 재미난 기능이 새로 추가되었다고 한다. 구글에서 제공하는 웹브라우저인 구글 크롬에는 첫화면에 최근 방문했던 웹사이트들의 목록을 스크린샷과 함께 보여주는 기능이 있다. 참고로 더월드라는 IE엔진을 사용하는 서드파티 웹브라우저에도 이런 기능이 제공되고 있고 파이어폭스의 확장기능들 중에서도 이런 기능을 제공하는 플러그인이 있는 것으로 아는데 구글이 아예 구글툴바에서 이런 기능을 자제적으로..
-
OpenDNS, 멀웨어와 포르노를 필터링해서 매일 2만달러씩 챙긴다는데...IT topics 2008. 7. 22. 11:47
OpenDNS라는 서비스가 있다. 이 서비스의 개요는 간단하다. 보통 인터넷 서비스를 할려면 도메인이 필요하고 이러한 도메인을 관리할 네임서버가 필요하다. 즉, 이 도메인은 이 IP에 연결이 되어있다는 정보를 관리할 서버가 필요하다는 얘기다. 도메인 네임서버(Domain Name System)라 불리며 줄여서 DNS라 한다. 보통 집에서 인터넷을 하게 되면 자동으로 IP를 잡고 DNS도 자동으로 설정한다. 그러면 인터넷 제공업체에서 운영하는 네임서버나 아니면 KT나 하나로 등에서 제공하는 네임서버를 이용하게 된다. 168.126.63.1 이라는 IP는 많이 익숙한 IP일 것이다. 바로 코넷에서 제공하는 DNS IP다. 많이 이용하는데 이러한 DNS를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바로 OpenDNS다. 뭐 어..
-
구글은 멀웨어를 서비스중?Security 2008. 5. 13. 10:08
구글이 멀웨어를 퍼트리고 있다? TechCrunch에서 재미난 글이 올라와서 소개한다. 야후 검색으로 구글에 대한 내용을 검색했는데 구글에서 멀웨어 경고가 떴다고 한다. 야후는 최근 보안업체인 맥아피와 손잡고 멀웨어를 퍼트릴 수 있는 위험한 사이트가 검색결과에 나오면 경고를 날리는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발표했다. 멀웨어를 퍼트리는 위험한 사이트들이 많아지니까 야후가 예방 차원에서 맥아피의 SiteAdvisor의 검색결과를 야후 검색엔진에서 사용하도록 한것이다. 그런데 야후의 검색결과에서 구글이 멀웨어를 퍼트리는 주범(?)으로 나타났다. 이것을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구글이 정말로 멀웨어를 서비스를 하고 있거나 아니면 야후나 맥아피에서 장난으로 그렇게 결과를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아마도 후..
-
야후, 검색엔진에 멀웨어 경고를..Security 2008. 5. 6. 15:09
야후가 검색결과에 멀웨어와 같은 위험한 사이트에 대한 표시를 강화한다고 한다. 야후는 협력업체인 보안전문업체 맥아피에서 제공하는 SiteAdvisor에서 제공하는 멀웨어 검색결과를 야후 검색에 통합시킨다고 한다. 미국시간으로 6일부터 제공된다. 대부분의 위험한 사이트들은 이미 야후 검색 데이터베이스에서 대부분 지워진 상태이며 또한 SiteAdvisor에서 리포팅된 결과를 통해 문제가 있는 사이트에 대해서는 경고문구를 검색결과에 추가할 것이다. 예를 들어 문제가 있는 사이트의 경우 검색결과에 "Warning: Unsolicited E-mails"과 "Warning: Dangerous Downloads."와 같은 메시지가 같이 보이는 방식이다. SiteAdvisor는 원래 FireFox의 AddOn으로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