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신러닝
-
홈 시큐리티의 인공지능 접목, AI 보안시대에 접어들기 시작하다Security 2018. 12. 20. 21:32
AI 기술을 가진 기업의 물리보안 진출 지난 10월 1일에 SK텔레콤(이하 SKT)은 국내 물리보안 시스템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던 ADT캡스를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자회사로 편입시키는 것이 아닌 일단 지분 55%를 확보하여 경영권을 가져간 것이다. 하지만 SKT는 ADT캡스가 갖고 있는 물리보안 시장에 자사가 갖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 영상보안기술, IoT 기술, 빅데이터 기술 등을 도입해 인공지능이 가미된 물리보안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밝힌 상태다. 지난 9월 20일에 미국의 아마존은 자사가 보유하고 있는 인공지능 시스템인 알렉사를 활용하는 새로운 디바이스 및 서비스 14종을 아마존 알렉사 하드웨어 이벤트를 통해 발표했는데 발표한 제품들과 서비스들 중에서 알렉사 가드(Alexa Guard)..
-
요즘 뜨고 있는 EDR 솔루션에 대해서..Security 2018. 5. 8. 18:56
간만에 보안 이야기 하나 써봐야겠다. 한동안 바뻐서(뭐 지금도 계속 바쁘지만) 블로그에 글을 못썼더니 방문자도 쭉쭉 떨어지고 해서 간단하게나마 최근에 핫하게 떠오르고 있는 보안 시스템에 대해서 얘기 좀 해보려고 한다. 최근 미국에서 진행된 보안 컨퍼런스인 RSA 2018도 그렇고 작년부터 IT 언론, 특히 보안 분야에서 많이 나오고 있는 내용으로 EDR(Endpoint Detection and Response) 솔루션이 각광을 받고 있다고 한다. EDR은 말 그대로 엔드포인트 위협 탐지 및 대응이라는 얘기인데 이게 왜 각광을 받게 되는지 좀 살펴보려고 한다. 물론 내가 아는 지식 안에서의 정리다. 그러다보니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으니 양해바라며 지적해주셨으면 고맙겠다. EDR 솔루션이란? EDR 솔루션..
-
이세돌 9단과의 바둑 대전으로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여준 구글의 알파고. 하지만 알파고가 IBM의 왓슨을 넘어선 최고의 인공지능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을까?IT topics 2016. 3. 15. 13:00
요즘들어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높아져가고 있다. 아마 요즘 진행되고 있는 구글이 인수한 딥마인드의 알파고(AlphaGo)가 세계 바둑챔피언이었던 이세돌 9단과 바둑대전을 펼치고 있는 것 때문에 바둑에 관심이 없었던 나처럼 마치 영화처럼 기계와 사람의 대결로 대표되는 이 이벤트(암만봐도 구글이 자신들의 기술력을 알리고 마케팅적으로 써먹기 위해 진행한 이벤트라는 생각이 든다 -.-)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 아닐까 싶다. 한국기원 입장에서는 이 이벤트 덕분에 바둑에 대한 전국민적 관심이 높아졌으니 나름 만족할(?) 성과를 얻었다고 할 수 있을 듯 싶고 구글은 앞서 잠깐 언급한 것처럼 자신들의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서 제대로 마케팅을 하고 있으니 서로서로 윈-윈 전략이 잘 통한 듯 싶다. 뭐 어찌되었던 ..
-
올해 CES 2016의 이슈가 되는 자동차, 인공지능, 가상현실에 대해서 국내의 상황은 어떨까?IT topics 2016. 1. 6. 10:24
올해 라스베가스에서 진행되는 CES 2016의 화두는 이전과는 조금 다른 듯 싶다. MBN 뉴스의 기사에서 "예년에는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 센트럴홀(중앙관)을 먼저 방문했다면 올해는 노스홀(북관)부터 봐야할 것이다"라는 문구를 봤는데 센트럴홀의 경우에는 TV, PC, 홈시어터 등 가전제품을 중심으로 전시가 되어 있고 노스홀의 경우에는 자동차 관련 제품들이 전시가 되어 있는데 저 문구의 의미는 올해의 IT 트랜드는 전통적인 가전쪽이 아닌 자동차쪽에서 나오게 될 것이라는 얘기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많은 전문가들이 올해 CES 2016의 화두로 CAR를 꼽는다. 자동차라는 의미의 Car도 되겠지만 그것보다도 Car의 C와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의 A, 그리고 가상..
-
IoT와 빅데이터 시스템의 만남이 만들어낼 자동화 시스템 이야기IT topics 2015. 6. 24. 18:05
최근 IT 업계에서는 3가지 키워드가 아니면 프로젝트 기획도 발주도 안해준다고 합니다. 빅데이터, 모바일, 그리고 IoT라는 키워드입니다. 그동안 얘기해왔던 보안 역시 3개의 키워드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 다양한 분야에서 3개의 키워드를 포함하여 솔루션을 만들고 서비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빅데이터는 기반 시스템, 즉 플랫폼의 역할을 담당하고 모바일과 IoT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플랫폼으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을 수행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인체 기관으로 비유하자면 모바일과 IoT는 눈과 코, 입, 귀, 손, 발과 같은 존재고 빅데이터는 두뇌와 같은 역할을 한다면 이해하기가 편할 듯 싶습니다. 향후에도 이 3개의 키워드는 한동안 계속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동안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