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
국내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의 해킹 뉴스를 보면서..Security 2018. 7. 4. 09:33
지난 주 뉴스이기는 하지만 국내 최대 가상화폐(암호화폐) 거래소인 빗썸이 해킹을 당했다. 지난 주 뉴스에서는 350억원이 해킹당했다고 했는데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나온 뉴스를 보니 190억원으로 해킹 피해액이 줄었다. 세계 화폐 거래서와 협업을 통해 일부를 되찾았고 350억이라고 발표한 것은 해킹을 당했다고 발표한 날에 최대 예상액을 KISA에 얘기했기 때문에 그 금액이 나왔다고 하는 것이다. 어찌되었던 팩트는 빗썸은 해킹을 당했고 190억원 상당의 암호화폐를 해킹을 당했다는 것이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 가상화폐라 불리는 암호화폐는 그 자체의 보안은 무척이나 높은 편이다. 알다시피 블럭체인이라는 기술을 이용하여 이들 암호화폐가 거래가 되는데 이 블럭체인의 알고리즘만으로 본다면 암호화폐 그 자..
-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비트코인, 이더리움과 같은 가상화폐에 대한 내 생각은..IT topics 2018. 1. 13. 01:39
나온지는 몇년 되었지만 지금 한참 이슈가 되고 있는(인텔 CPU 게이트나 애플의 배터리 게이트 말고)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으로 대변되는 가상화폐에 대한 내 개인적인 생각을 아래와 같이 정리를 해본다. 예전에 이 블로그에 가상화폐에 대해서 좀 적은 것이 있는데 그 때와 지금은 조금 다를 듯 싶기도 하다. 일단 내 생각이 100% 정답일 수 없고 나와 다른 의견을 지닌 사람들도 많을테니 그저 참고만 하길 바란다. 그리고 블럭체인 기술이 아닌 화폐의 개념으로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 같은 가상화폐를 보는 것임을 염두해두고 읽어야 오해가 없을 수 있을 듯 싶다. 화폐의 개념 적어도 내가 알고 있는 화폐라는 개념, 돈이라는 개념은 어떤 물건에 대해 가치를 매기고 그 가치를 실제로 거래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가상화폐의 활성화를 가로막고 있는 카드사의 정책들. 정책적으로만 막으려하지 말고 보완할 부분을 찾는 것이...IT topics 2015. 8. 4. 16:44
요 몇달동안 회사에서 서비스 기획을 맡아서 하다보니 서비스의 다양한 정책들까지 다루게 되었다. 특히나 결제 관련 정책들을 다루면서 결제, 환불 방식에 대해 국내외 신용카드, 현금 결제 및 세금 납부 부분까지 전문가 수준은 아니더라도 몇달동안 고민하고 관련 자료들을 찾아보면서 몇마디 떠드는 정도는 된 듯 싶다. 원래 서비스 기획보다는 시스템, 솔루션 기획, 설계를 메인으로 했던 터라 이번에 서비스 기획을 하면서 기획이라는 부분에 있어서 나름 많이 성장한 것처럼 느껴지기는 한다(라지만 그것이 페이크. 전혀 성장하지 않았다는 생각도 든다 -.-). 어떤 서비스를 사용하든 무료 서비스는 큰 문제가 안되겠지만 돈을 받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의 경우 결제 및 환불 정책은 그 서비스의 존폐를 가늠할만큼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