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de by Google을 통해 플랫폼 장사에서 박스 장사로 넘어가려는 구글Mobile topics 2016. 10. 7. 09:00반응형
이번에 구글이 진행한 행사(그런데 이걸 Made by Google 행사라고 해야 하나.. 그냥 이후에는 행사로 통일 ^^)에서 구글은 다양한 서비스들과 디바이스들을 소개했다. 물론 행사 전에 많은 루머들이 있었는데 일부는 맞았고 일부는 틀린 것도 있다. 대표적인 것이 밑에서 설명하겠지만 구글의 새로운 레퍼런스 스마트폰인 픽셀 폰(넥서스 시리즈의 후속)의 등장이나 구글에서 직접 만든 VR 플랫폼인 데이드림용 VR 단말기인 데이드림 뷰, 구글 홈과 크롬캐스트 울트라 등은 맞았고 많은 사람들이 기대했던 새로운 크롬북과 안드로이드와 크롬 OS의 결합형인 안드로메다는 이번 행사에 등장하지 않았다. 그리고 내 경우에는 행사 이후에 좀 지나서 행사 영상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그것을 보면서 이번 행사에서 구글이 무엇을 얘기하려는지를 좀 살펴보려고 한다.
구글 인공지능 시스템의 코어가 될 구글 어시스던트
이번 구글 행사의 핵심은 앞서 언급했던 픽셀 폰이나 데이드림 뷰, 구글 홈, 구글 와이파이, 크롬캐스트 울트라 등의 디바이스는 아니다. 적어도 내 생각에는 구글 어시스던트가 이번 행사의 핵심이라고 봐야 할 듯 싶다. 구글 어시스던트는 구글이 제공하는 음성인식 비서 서비스로 애플의 시리나 MS의 코타나와 같은 인공지능(AI) 기반의 서비스다. 기본적으로는 구글의 구글 나우가 더 발전한 버전이라는 생각이 든다. 물론 구글 나우에 비하면 상당히 업그레이드가 된 것으로 마치 구글판 애플 시리를 보는 듯 싶다. 누구는 MS 코타나의 구글 버전이라고 얘기하지만 내 경우에는 코타나보다 시리를 더 많이 접했기 때문에 시리에서 느꼈던 그런 경험을 구글 어시스던트를 통해 느낄 수 있었다.
기본적으로 구글 어시스던트는 시리와 동일한 기능을 보인다. OK Google이라고 얘기하면 구글 어시스던트는 음성을 듣고 해석할 준비를 한다. 이는 애플의 시리가 시리라고 얘기하면 자동으로 열리는 것과 비슷하다. 구글은 이전의 구글 나우 등에서 음성 인식 때 OK Google이라고 얘기하면 동작할 수 있도록 했는데 그것이 그대로 연장되었다고 보면 된다. 그 이후에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듣고 해석해서 실행에 옮긴다. 시리의 그것처럼 말이지. 시리의 경우 아이폰, 혹은 아이패드, 맥 안에 탑재되어 있는 앱을 실행시키거나 인터넷을 검색하는 등 애플 디바이스 안에서의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라면 구글 어시스던트는 구글 어시스던트가 탑재된 디바이스(그것이 픽셀폰이거나 구글 홈이거나 상관없이) 안의 앱이든 아니면 구글 서비스든 구글 관련 앱, 서비스와 연결해서 명령을 수행한다. 어떤 면에서 실행할 수 있는 범위는 시리보다는 구글 어시스던트가 더 많을 듯 싶다. 또한 AI는 기본적으로 빅데이터 기반으로 학습하고 개선되는데 그런 측면에서 볼 때 세계 최고의 검색엔진인 구글이 그동안 보유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더 풍부한 명령 수행이 가능하지 않겠는가 하는 예상은 해볼 수 있다.
구글이 설계까지 맡아서 진행한 새로운 레퍼런스 폰, 픽셀
그 다음에 눈에 띄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기대한 구글의 차세대 레퍼런스 스마트폰인 픽셀이다. 어쩌면 Made by Google의 슬로건에 가장 잘 걸맞는 제품이라는 생각이 든다. 구글이 직접 생산하는 첫 번째 스마트폰이라고 한다. 그 전에 구글은 넥서스 시리즈를 레퍼런스 스마트폰 및 태블릿으로 선보였는데 탑재하는 OS는 구글이 직접 핸들링하지만 디바이스 자체의 설계 및 제조는 제조를 위탁하는 제조사에게 맡겨서 생산했다. 초창기 넥서스 원의 HTC가 그랬고 갤럭시 넥서스의 삼성이 그랬으며 넥서스 5 시리즈의 LG나 넥서스 6P의 화웨이가 그랬다. HTC는 넥서스 원을 기반으로 디자이어를 선보였으며 삼성은 갤럭시 넥서스를 갤럭시 S2 기반으로 만들었다는 루머가 있다. 화웨이는 넥서스 6P를 기반으로 하는 P 시리즈를 내놓았다. 즉, 구글은 넥서스 시리즈의 소프트웨어 부분만 담당했을 뿐 하드웨어 전반은 그냥 다 제조사에 맡겼다. 그리고 브랜드만 구글을 붙인 것이다. 하지만 픽셀은 하드웨어의 설계까지 구글이 맡았다. 다만 제조만 위탁을 준 것이다. 픽셀의 위탁 생산은 HTC가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넥서스 시리즈와 다른 것이 하드웨어 디자인을 구글이 했는가 안했는가라는 점이다. 디자인부터 보드 및 칩셋의 설계를 제조사가 하지 않고 구글이 했다는 점이 이번 픽셀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픽셀에 대해서 얘기하면서 많은 기능들이 소개되었는데 앞서 언급한 구글 어시스던트가 탑재된 최초의 스마트폰이라는 점이며(아마도 나중에는 앱으로 다른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탑재할 수 있게 배포되지 않겠는가 싶다) 안드로이드 7.0 누가가 탑재되었고 나머지 사양은 위의 그림에 나오는 것이라는게 이번 행사에서 픽셀(5.5인치 모델은 픽셀 XL)에 대해서 얘기가 나온 것들이다. 그리고 특히나 카메라 부분에 대해서 많은 얘기를 했는데 DXO 마크 89점을 받았다는 것을 강조했다(아이폰 7 시리즈는 84점을 받았다). 그만큼 카메라 성능도 우수하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하기사 스마트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 중에 하나가 카메라이니).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픽셀을 통해서 구글 포토가 풀사이즈로 무제한 용량을 제공하는 것에 더 열광하는 것 같다. 픽셀을 통해서 구글 포토를 사용하면 풀사이즈의 사진과 동영상을 무제한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 구글 포토는 현재도 사진 및 동영상에 대해서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기는 하지만 풀사이즈는 아니고 고품질로 변환해서 올리는 버전만 무제한을 쓸 수 있다. 즉, 원본 그대로가 올라가지는 않고 변환을 거친다는 얘기다. 물론 그 정도도 나름 훌륭하지만 원본 자체를 저장하기 원하는 사용자들은 어쩔 수 없이 구글 드라이브 유료 버전을 이용해야만 했다. 하지만 이번에 픽셀에 들어간 구글 포토는 풀사이즈로 동영상과 사진을 업로드할 수 있다. 사진과 동영상에 한하여는 구글 드라이브를 무제한으로 쓰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얘기다(구글 드라이브에 통합되는 것 같지는 않다). 그래서 사진 및 동영상 백업 용으로 픽셀을 구입해야 하나 하는 얘기가 주변에서 나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뭐 어찌되었던 픽셀을 구글에서 선보이기는 했는데 구글은 애플의 아이폰을 경쟁상대로 삼은 듯 싶지만(발표 내내 아이폰을 디스하는 발언을 많이 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성능이 더 좋다느니 3.5파이 이어잭이 아직 필요하기 때문에 존재하고 있다느니 아이폰의 사진 및 메시지 등 데이터를 손쉽게 백업할 수 있다는 등)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기에 픽셀의 경쟁상대는 아이폰이 아닌 같은 안드로이드 탑재 스마트폰들이라고 하고 나 역시 그렇게 생각한다. 픽셀 폰의 경쟁상대는 삼성의 갤럭시 S 시리즈나 갤럭시 노트 시리즈, 아니면 LG나 화웨이, 소니 등에서 만든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들이지 애플의 아이폰은 아니다. 구글의 픽셀의 존재로 인해 어쩌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진영의 내부 혼란과 탈 안드로이드 움직임이 본격화 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든다. 물론 안드로이드 만큼의 대안으로 사용할 괜찮은 모바일 OS가 별로 없는 현 시점에서는 아직 그런 움직임이 보이지 않겠지만 삼성의 타이젠에 대한 투자 증대나 MS의 윈도 폰으로의 변화도 어느정도는 나타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든다.
임팩트 없었던 데이드림 뷰
그 외에 구글은 이번 행사에서 구글의 VR 플랫폼인 데이드림(Daydream)을 제공하는 레퍼런스 VR 디바이스인 데이드림 뷰를 선보였다. 데이드림 뷰는 우리가 흔히 보는 VR 디바이스라고 보면 된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스크린 부분에 끼워서 보는 일반적인 VR 디바이스 형식을 가져왔다. 물론 거기에 리모컨을 둬서 조작을 더 편리하게 했다는 점은 기존 삼성의 기어 VR이나 오큘러스 VR 디바이스들과는 차별점이 될 수 있겠지만 기본적인 부분은 그냥 VR 디바이스의 그것과 동일했다. 그닥 큰 임팩트는 없었다고 보여진다.
홈 오토메이션의 핵심인 구글 홈과 구글 와이파이, 그리고 크롬캐스트 울트라
오히려 구글 홈 계열의 구글 홈과 구글 와이파이가 더 눈에 띄었다. 구글 홈은 픽셀 폰과 마찬가지로 구글 어시스던트가 탑재된 홈 오토메이션 디바이스다. 아마존의 에코와 거의 비슷하다고 보면 되는데 내부적으로 무선 랜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인식하여 해석하고 자체적으로 멀티미디어를 재생하거나 연결되어 있는 다른 단말기를 조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아마존의 에코는 그 단말기 자체에서 모든 것을 다 수행하는데 비해 구글 홈의 경우에는 구글 홈에 연결되어 있는 스마트TV나 PC, 그 외의 IoT 단말기에 명령을 내려서 컨텐츠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다르다. 물론 구글 홈 자체에도 스피커가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음악을 듣는다던지 명령에 대한 응답을 음성으로 듣는다던지 하는 것은 아마존의 에코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하지만 구글은 구글 홈을 홈 오토메이션의 컨트롤 타워로 생각하고 집안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것들을 구글 어시스던트를 통해 제어하려는 모습을 구글 홈을 통해 보여주려고 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구글 홈은 단순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로 보기에는 영역이나 향후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구글 와이파이는 어쩌면 구글 홈의 연장선상에서 제공되는 확장 팩이라는 생각이 든다. 구글 홈은 집안의 모든 IoT 단말기들이 WiFi, 혹은 유선랜을 통해 연결되어 있어야 제대로 동작을 한다. 하지만 집안에서 무선 공유기 등을 통해 연결을 하는데 가끔 음영지역이 나올 수도 있으며 신호의 세기가 다를 수도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동작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구글 와이파이는 그런 구글 홈의 동작을 더 원활히 만들어주도록 무선 랜 공유 및 확장을 시켜주는 단말기라는 생각이 든다. 특히 2~3대를 연동하면 무선랜의 영역이 더 확대되어 집안에서의 음영지역을 지워준다는 점이 그런 생각을 더 강하게 만들어준다. 사람들이야 그냥 집안에서 무선랜의 음영지역이 없이 동작하니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태블릿 등을 무선 인터넷을 통해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 주목하겠지만 구글은 그것을 넘어 집안 모든 IoT 장비에 구글의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그것을 구글 홈을 통해 제어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앞서 얘기한 구글 어시스던트가 자리잡고 있는 것이고.
함께 소개되었던 크롬캐스트 울트라 역시 마찬가지다. 그냥 크롬캐스트의 확장 버전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크롬캐스트 울트라는 HDMI가 지원되는 일반 TV를 구글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TV로 탈바꿈 시켜준다. 그리고 행사의 내용에서는 언급이 안된 듯 싶은데(영어가 짧아서 못들었을 수 있다) 구글 홈을 통해서 크롬캐스트 울트라를 제어하여 TV에서 내가 원하는 컨텐츠를 볼 수 있게 해줄 수 있는 듯 싶다. 크롬캐스트 울트라는 구글의 유튜브, 구글 포토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플레이어 역할 뿐만이 아니라 구글 홈을 통한 제어까지도 가능하게 해주는 구글 홈의 확장 아이템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크롬캐스트 울트라 설명 때에는 이런 얘기는 없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플랫폼 장사에서 박스 장사로 넘어가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구글
이번 행사에서 구글은 구글 I/O 등의 기존의 다른 개발자 행사들과 달리 단말기들을 많이 선보였다. 물론 크롬북은 선보이지 않았고 안드로이드와 크롬 OS의 통합버전인 안드로메다는 소개되지 않았지만 직접 설계한 스마트폰이 나왔고 데이드림의 레퍼런스 단말기인 데이드림 뷰가 나왔다. 또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서의 확장을 보여주는 크롬캐스트 울트라와 홈 오토메이션의 진수를 보여주는 구글 홈, 구글 와이파이를 선보였다. 이를 두고 구글이 애플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것이 아니냐 하는 얘기를 한다. 애플이 아이폰을 만들고 아이패드를 만들며 맥북 시리즈와 아이맥, 맥 프로 시리즈 등의 PC를 만들고 애플워치와 같은 하드웨어를 만들며 그 안의 iOS, macOS, watchOS 등의 OS와 홈킷, 케어킷 등의 플랫폼을 제공하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분야를 모두 아우르는 것을 그대로 이제와서 그대로 따라가려는 것이 아니냐 하는 얘기를 한다. 얼추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다. 구글은 안드로이드라는 모바일 OS를 제공하고 있으며 데스크탑 OS인 크롬 OS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구글의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OpenAPI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것을 구글 서비스 안에서 다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제공한다. 그동안의 구글은 이런 플랫폼 확장에 중점을 뒀는데 이번에 픽셀폰이나 데이드림 뷰, 구글 홈, 크롬캐스트 울트라, 구글 와이파이 등을 선보임으로 하드웨어 부분까지도 어느정도 가져가겠다는 야심을 보이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해본다. 물론 구글이 당장에 애플과 하드웨어 분야에서 자웅을 겨루겠다고 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리고 안드로이드 계열의 협력업체인 삼성이나 LG, 화웨이, 소니 등과도 직접적으로 겨루겠다고 하지도 않을 듯 싶다. 애플과 구글은 사업을 확장하는 컨셉이 다르다고 본다.
애플은 자체적으로 하드웨어와 플랫폼을 모두 가져가는 구조로 처음부터 해왔기 때문에 현재의 사업 형식이 익숙하다. 하지만 구글은 기본적으로 하드웨어를 팔아서 수익을 버는 것이 아닌 플랫폼을 확산하고 그 플랫폼 안에 광고 등을 넣어서 그 수익을 가져가는데 중점을 두는 회사라는 생각이 든다. 구글의 검색이나 안드로이드, 크롬 OS 등의 다양한 플랫폼을 제공하지만 실질적으로 구글의 수익은 검색 중에 나오는 검색 광고나 유튜브 안의 멀티미디어 광고, 배너 광고 등 데스크탑, 모바일에 상관없이 웹 상에서 구글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광고를 통한 수입이 주수입원이기 때문에 애플과 같은 박스 장사가 어울린다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하지만 플랫폼 장사를 통해서 그동안 수익을 벌어들였지만 문제는 그 플랫폼 자체의 파편화도 있고 자신들의 서비스 목적이 협력사들이 만드는 제품의 컨셉이나 목적과 안맞는 경우를 많이 느꼈기 때문에 자체적인 제품을 제공하는 것에 도전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솔직히 이런 생각은 구글이 넥서스 시리즈를 내놓을 때도 느꼈지만 이제는 하드웨어 부분까지도 좀 더 통제하기를 원하는 듯 싶다.
뭐 구글의 생각이 어떻던간에 우리는 구글이 제공하는 이런 제품들을 맘에 들면 사서 쓰면 되는 것이고 맘에 안들면 애플의 아이폰을 사던지 삼성의 갤럭시 시리즈나 LG의 V20 등을 사던지, 아니면 화웨이의 Mate 시리즈나 소니의 엑스페리아 시리즈를 사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구글 홈이 맘에 안들면 아마존의 에코를 쓰면 되고 크롬캐스트가 싫으면 애플 TV를 구입하면 된다. 즉, 내가 사용하고 싶은 제품을 사서 잘 쓰면 된다는 얘기다(마지막에 좀 뜬금없이 끝나버렸다 -.-).
반응형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