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클라우드 발전법의 시행과 함께 성장할 SaaS 마켓플레이스 시장.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을 위한 SaaS 마켓플레이스는 과연 어디가?
    Cloud service 2015. 10. 15. 18:17
    반응형

    곧 시행되는 클라우드 발전법의 의미


    많은 IT 기업들,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의 숙원이었던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안(클라우드 발전법)이 드디어 9월 28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공공기관이나 정부기관 뿐만이 아니라 대기업이나 중소기업 등 국내 다수의 산업 분야에서 클라우드 서비스의 활용을 어떻게 가져가는가에 많은 의견들이 나오고 있고 주장들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분명 클라우드 발전법은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을 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새로운, 그리고 확실한 수익 사업이 될 것이고 IT 자원의 효율성을 생각하고 있는 기관이나 기업 입장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으로 생산성 및 비용 절감 등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려고 이것저것 진행할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이래저래 클라우드 발전법은 여러 기관과 기업들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면 클라우드 발전법이 주는 의미는 뭘까? 9월 28일부터 시행되는 클라우드 발전법은 클라우드를 반드시 도입해야 하는 의무조항은 없으나 이 법이 시행되면 공공기관은 정보화 사업을 진행할 때 클라우드 도입을 우선 고려할 것을 권고받게 되며 클라우드를 도입해야 필요한 예산도 받게 된다. 또 각 공공기관들은 1년에 한번 이상 클라우드 수요정보를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에게 제출해야 하고, 미래부 장관은 이를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에게 공개해야 한다. 즉,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기업들은 공공기관 및 정부기관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무기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는 얘기다.

    SaaS 서비스의 성장 및 국내 마켓플레이스의 현실


    클라우드 서비스는 보통 SaaS(Software as a Service)와 PaaS(Platform as a Service),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의 3가지 방식으로 얘기할 수 있다. SaaS의 경우 대표적인 예가 세일즈포스닷컴이나 오피스 365와 같은 서비스가 될 것이며 PaaS의 경우에는 구글앱스나 MS 에저를 대표적인 예로 들 것이고 IaaS의 경우 아마존의 AWS나 IBM의 소프트레이어를 대표적인 예로 얘기할 것이다. 그리고 내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클라우드 발전법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가장 혜택을 보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역시나 SaaS가 되지 않을까 싶다. SaaS의 경우 소프트웨어로서의 서비스 위에 커스터마이징만 함으로 기업들이 자사에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 좀 더 접근성이 좋기 때문이다. 도입이 편하다는 얘기다. 개발의 부담이 많은 PaaS나 관리의 어려움이 있는 IaaS보다는 SaaS가 좀 더 접근하기는 편할 듯 싶다. 그러다보니 소프트웨어를 대리점이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사서 쓰듯 SaaS도 마켓플레이스를 통해서 구입해서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이 시장에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국내에서 SaaS 마켓플레이스를 어쩌면 가장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 기업으로 본다면 KT가 될 듯 싶다. KT는 유클라우드(uCloud)라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가지고 있으며 비즈메카, 오아시스와 같은 기업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그 안에서 SaaS 마켓플레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SKT의 경우에도 현재 진행중인 클라우드 서비스 고도화 작업을 10월말까지 끝낸 이후에 공공기관 진출에 본격적으로 박차를 가하겠다고 한다. LG U+ 역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발전법의 수혜를 받아서 본격적으로 공공시장에 진출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있다고 한다. 국내의 경우 이통사들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SaaS 마켓플레이스 역시 이통사들의 영향력이 셀 수 밖에 없다는 한계 아닌 한계도 존재한다는 생각이 든다. 그 외에 오라클이나 아마존 역시 AWS 등에서 제공하는 마켓플레이스가 있다.


    현재 국내에서 제공되는 SaaS 마켓플레이스, 혹은 서비스들은 이통사와 특정 기업, 그리고 서비스의 경우에도 특정 솔루션을 기반으로 제공되고 있다. KT 클라우드 환경 기반에서, SKT 클라우드 환경 기반에서, LG U+ 클라우드 환경 기반에서 마켓플레이스를 이용하여 SaaS 서비스를 구매하면 해당 클라우드 환경 기반에서만 운영이 가능하다. 또한 MS의 오피스 365 기반에서, 한컴의 넷피스 24 기반에서 만든 SaaS 서비스는 해당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에서만 동작이 가능하다. 그러다보니 각 클라우드 서비스, 마켓플레이스마다 경쟁적으로 서로 자기들 서비스에 SaaS 서비스를 유치하기 위해서 노력을 많이 하고 있다. SaaS 서비스를 만들어서 제공하려는 기업이나 SaaS 서비스를 도입하려는 기업 입장에서는 개발 및 마케팅 부담이 적은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을 찾기 위해서 마찬가지로 노력할 것이고 말이다.


    뭐 어찌되었던 클라우드 발전법의 시행으로 많은 기업들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하려고 할 것이다. 앞서 얘기했던 것처럼 개발의 부담이 적은 SaaS 시장이 본격적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큰데 이 시장에 들어가서 뭔가를 제공해보려는 중소기업들은 아무래도 비용적인 부분과 중소기업이 갖을 수 밖에 없는 마케팅, 영업 채널의 한계로 인해 서비스 제공을 포기하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름 규모가 있는 기업이라면 AWS의 마켓플레이스에 서비스를 만들어 진출할 수도 있을 것이고 MS의 에저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만들어 마켓플레이스를 만들거나 SaaS 서비스를 만들어서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그렇게 할 수 없는 기업들이 더 많은 것이 사실이다.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을 위한 편리한 SaaS 마켓플레이스를 제공하는 Mashup Plus



    LG CNS는 최근 스타트업 등 중소기업을 위한 클라우드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클라우드 마켓플레이스 구축에 나섰다. LG CNS SaaS 마켓플레이스(Mashup Plus)는 자체 시스템을 구축할 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우수 소프트웨어를 판매할 유통 채널이 없는 소규모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들을 위한 서비스다. Mashup Plus를 통해 마케팅, 인사, 회계 등 기업 업무 영역과 보안, 로그 분석, 웹서버, 미들웨어 등 시스템 구동 전반에 필요한 솔루션들을 제공할 것이라고 하며 현재 보안, ERP, CRM, 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 20여 개 업체가 Mashup Plus 입점할 예정이라고 한다. LG CNS의 경우 지난 30년간 SI를 제공해 온 만큼 SW기업이 보다 쉽게 SaaS를 구현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좀 더 다른 마켓플레이스보다 중소기업이나 대기업들도 클라우드 서비스에 접근하기 쉬울 것이라고 생각이 든다.


    중소기업 임장에서 솔루션의 개발을 특정 솔루션 기반의 SaaS 서비스로 만들어 제공하게 되면 해당 SaaS 서비스의 특성으로 인해 원하는 기능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개발하는 입장에서 원하는 결과물을 뽑아낼 수 없는 상황이 도래할 수 있다. 즉, 특정 솔루션 기반보다는 일반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노멀한 환경이 더 유리하다는 얘기다. 물론 기업이 원하는 솔루션의 성격에 따라서 특정 솔루션 기반 위에서도 원하는 결과물을 얻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MS에서 제공하는 오피스 365를 기반으로 만든 그룹웨어 서비스는 서비스를 제공받으려는 기업 입장에서 그동안 사용해왔던 MS 오피스 기반의 환경을 클라우드 환경으로 옮기려고 할 때 통합 환경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서 제공하게 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서 특정 솔루션 기반의 SaaS 서비스를 만드는 것이 생산성 부분에 있어서 더 유리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많은 경우에 있어서 서비스를 만들어서 일반 기업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 입장이라면 좀 얘기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마켓플레이스 역시 AWS 마켓플레이스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알려져있고 규모도 크지만 입점 자체가 무척이나 까다롭고 어려우며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는 부담이 있다. 이런 의미에서 좋은 솔루션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케팅 능력이나 상품 기획 능력(데스크탑 솔루션을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으로 바꾸는 기획), 영업 채널 부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이나 스타트업 기업들 입장에서는 LG CNS가 제공하고 있는 Mashup Plus가 괜찮은 파트너가 될 수 있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이통사 클라우드 기반도 아니고 그렇다고 특정 솔루션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도 아니며 고가에 진입장벽이 높은 서비스도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인해 LG CNS 마켓플레이스인 Mashup Plus에 대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의 기대가 점점 커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정부도 이제는 SaaS 활성화를 돕는데 이 기회를 살려야..


    최근 미래창조과학부는 '2015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사업'이라는 이름으로 국내 소프트웨어(SW) 기업의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력 향상을 위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돕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사업의 대상이 SaaS 서비스다. 물론 이 사업은 6월 8일에 신청이 다 끝났기 때문에 지금 이 시점에서는 여기에 참여하지는 못한다. 하지만 미래부의 이런 시도는 곧 정부에서 SaaS 서비스의 시장 확대 및 글로벌 진출에 더욱 힘을 실어줄 것이라는 예측을 할 수 있게 만들어주며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 기업들도 정부의 지원을 받아서 얼마든지 SaaS 서비스를 만들어서 국내외 클라우드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기회에 LG CNS 마켓플레이스를 통해서 클라우드 시장에 제대로 진출해보는 것은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이 글은 LG CNS 블로그에 기고했던 글의 원본입니다. 기고한 글은 [여기]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