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금융과 IT 기술의 결합, 핀테크의 의미와 활성화가 가져오는 시장에서의 변화는?
    IT topics 2014. 12. 9. 18:24
    반응형

    핀테크.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IT 단어다. 여러 언론을 통해서 핀테크라는 단어가 많이 이슈회가 되고 있다. 경제, 금융을 의미하는 파이넨셜(Financial)이라는 단어와 기술을 의미하는 테크놀러지(Technology)의 단어를 조합해서 핀테크(FinTech)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졌는데 금융 기술이라고 직역할 수 있을 듯 싶다. 스마트폰이 발달하고 모바일 서비스가 발전, 확장되면서 어떻게 보면 가장 보수적이고 발전이 더딜 수 밖에 없는 금융권에 새로운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는 좋은 의미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금융과 IT 기술의 결합, 핀테크의 본질적인 의미는?


    핀테크의 본질적인 의미는 아마도 금융 산업에 IT 기술이 접목되어 좀 더 편하게 사용자가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아닐까 싶다. 과거 금융권 관련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은행의 경우에는 직접 은행에 가서 창구에 앉아서 은행원과 마주 앉아서 통장을 개설하던지 입금, 출금을 하던지, 혹은 대출을 하던지 해야만 했고 증권의 경우에도 증권계좌를 개설하거나 주식 시세를 알아보려면 은행에 가거나 객장에 가서 일을 봐야만 했다. 오프라인 작업이 중심이 되었던 것이 금융권 서비스의 지금까지의 모습이라고 해도 좋을 듯 싶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는데 보안적인 이슈도 컸던 것이 돈이 오가는 상황이다보니 당사자가 직접 전달하고 확인하는 작업을 필수로 해야했기 때문도 있다. 어찌되었던 지금까지의 금융 서비스는 온라인보다는 오프라인 작업 중심으로 돌아가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인터넷이 활성화되면서 이런 부분은 조금씩 바뀌어가고 있다. 인터넷 뱅킹을 이용하여 송금이 가능해지고 통장 개설도 가능해졌다. 심지어는 인터넷 뱅킹을 통해 대출도 가능한 상황이다. 증권의 경우에는 HTS(홈 트레이딩 시스템)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얼마든지 주식 관련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핀테크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을 듯 싶다. 이런 시스템의 변화는 말이다. 그리고 지금은 PC에서 하던 작업들을 모바일로 옮겨서 하고 있다. 모바일 뱅킹에 모바일 주식 거래 서비스가 이제는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이제는 사람들이 직접 은행을 가지 않고, 또 객장에 가지 않고도 얼마든지 금융 관련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환경이 되었다. 여기까지 봐도 우리는 이미 핀테크를 누리고 있다고 봐도 좋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금융 IT는 불편했다?


    하지만 최근 언론에서 얘기하는 핀테크는 지금까지 얘기한 금융 IT 서비스를 얘기하는 것은 아니다. 페이팔이 나오고 카카오월렛 이야기가 나온다. 알리페이와 애플페이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지금 언급하고 있는 서비스들은 금융권 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아니라 일반 IT 기업들이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다. 이제는 금융 패러다임이 전통적인 금융권 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에서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 금융권 기업이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대로 바뀌고 있다는 것을 핀테크라고 얘기하고 있다. 왜 그럴까?


    전통적인 금융서비스들, 실제로 위에서 언급했던 인터넷, 모바일 뱅킹과 HTS와 같은 시스템들도 사용자의 편의를 많이 봐주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확실히 직접 은행에 가서 작업하는 것보다는 모바일 뱅킹을 통해서 작업하는 것이 훨씬 더 편한 것이 사실이니 말이다. 실제로 모바일 뱅킹이 활성화되면서 미국의 경우에는 창구 이용이 줄어들면서 지점을 없애고 줄이는 은행들이 많다고 한다. 국내도 그런 조짐이 보이는 것이 사실이고 말이다. HTS의 활성화로 실제로 객장에서 주식시세를 보면서 거래하는 사람들이 예전에 비해서 많이 줄어든 것도 사실이다. 이정도의 사례만 봐도 금융권에서 제공하는 IT 서비스들이 예전에 비해 많은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런 것도 불편하다고 생각하는 사용자들이 많다.


    핀테크의 핵심은 편리함, 간편함, 간소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핀테크의 핵심은 편리함, 간편함, 간소화로 얘기할 수 있을거 같다. 사용자들이 좀 더 편리하게 금융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핵심이라는 것이다. 편리하게 결제하고 송금하고 거래하는 서비스를 사용자들은 원한다는 것이다. 페이팔 서비스나 알리페이, 애플페이를 써보면 은행 계좌를 연결하거나 카드를 연결하는 작업을 한번만 거치게 되면 그 이후에는 이들 서비스에서 제공해주는 기능만으로 결제나 송금 등이 가능해진다. 결제할 때의 모든 프로세스를 이들 서비스가 대행해주기 때문이다. 위에서 언급한 서비스들은 대부분 사용자 인증을 받고 진행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금융 서비스의 핵심인 본인인증을 서비스가 대신해주며 결제나 송금 등에서 불편했던 부분들(카드 정보 입력이라던지 계좌번호 입력, 보안 코드 입력 등)을 이들 서비스가 제공해주는 방식으로 편하게 할 수 있게 해준다. 사용자는 페이팔, 알리페이, 애플페이 서비스 등에서 제공하는 훨씬 편리한 방식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금까지 해왔던 금융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지금까지 제공해왔던 인터넷, 모바일 뱅킹과 결제 서비스들이 나쁘다고 얘기하는 것은 아니다. 위에서도 언급했듯 이들 서비스로 인해서 기존의 오프라인 중심의 금융 서비스가 온라인 중심으로 패러다임이 옮겨지게 된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옮겨진다는 것은 그만큼 편리해졌기 때문이고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기존 금융 시스템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다는 평가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국내의 경우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공인인증서를 사용해야만 했고 결제 역시 30만원 이상의 금액을 결제하거나 송금하기 위해서는 역시나 공인인증서를 이용해야만 했다(물론 최근에는 법령이 바뀌어서 이런 제약이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공인인증서 뿐만이 아니다. 다양한 보안기술을 접목해야만 했는데 그 과정에서 많은 불편함을 겪는다고 사용자들은 느끼고 있다. 지금 얘기가 되고 있는 핀테크의 예를 보면 이런 불편함들이 많이 간소화되고 사라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페이팔이나 알리페이, 애플페이는 이런 과정들이 많이 생략되어있음을 보게 된다.


    핀테크가 발전할수록 줄어드는 금융권의 역할


    전통적인 금융 기업이 아닌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 기업의 금융 서비스 진출 및 확장. 이것이 지금 유행하고 있는 핀테크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일반 기업이 금융 서비스에 진출한다고 해도 은행처럼 직접 돈을 다루지는 못한다. 핀테크가 아무리 발전한다고 하더라도 그 밑에서 움직이는 자본의 관리는 현재의 금융권 서비스를 기반으로 움직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그 위에서 서비스가 되고 있는 실제 사용 서비스를 보게 된다. 그 밑의 기반 시스템은 보이지 않으니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다. 사람들의 인식 속에서 핀테크의 발전으로 인해 점점 전통적인 금융 서비스와 금융 기업들은 퇴보하는 것처럼 보이고 페이팔이나 애플, 구글, 다음카카오와 같은 비 금융 기업들의 서비스가 금융 서비스로 뇌리에 각인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서두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인터넷, 모바일 뱅킹의 활성화로 은행 지점들이 축소가 되고 있듯 핀테크의 발전으로 은행이나 증권사 등 기존 금융권 시스템이 갖고 있는, 해야 하는 역할이 점점 축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기반 시스템은 존재하겠지만 서비스에 접목하는 인터페이스 역할 밖에 못할 수 있는 시대가 핀테크가 확산될 수록 오게 될 것이라는 얘기다.


    핀테크. 사용자 입장에서는 점점 편리한 서비스로 금융 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장에서는 그만큼 더 많은 기술들이 접목되면서 복잡해질 것이다. 그리고 전통적인 금융권의 역할 축소도 충분히 예견이 가능한 상황이다. 과연 이런 상황에서 적어도 한국의 은행들은 어떤 복안을 갖고 이런 핀테크 시대에 대응할 것인지 지켜보는 것도 괜찮을 듯 싶다. 그나마 세계적으로 활성화되고 열풍이 불고 있는 핀테크에서 약간은 여유를 보였던 한국의 금융권이었기 때문에 말이다. 핀테크의 열풍에 지금처럼 여유를 계속 보일 것인지, 아니면 긴밀하게 대응책을 마련하면서 대비를 할 것인지 말이다.


    본 포스트는 kocca 콘텐츠산업정보포탈의 콘텐츠갤러리에 기고한 글로 기고된 글은 [여기]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