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SoftLayer] IBM 클라우드 사업의 핵심, SoftLayer에 대해서..
    Cloud service 2014. 2. 12. 09:33
    반응형



    작년 3월에 CIA가 아마존의 AWS를 클라우드 프로젝트의 파트너로 계약했다는 소식이 화두가 되었다. IBM과의 경쟁에서 이기고 CIA 프로젝트를 수주한 것이다. 그 후 IBM은 클라우드 서비스의 기술적 확장을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 하나를 인수하면서 화제가 되었다. 다름아닌 SoftLayer의 인수가 그 주인공이다. 오늘은 IBM이 클라우드 서비스 및 기술 확장을 위해 인수하면서 화제가 된 SoftLayer의 이야기를 좀 해볼까 한다. IBM이 20억달러(한화 2조 4천억원)라는 거금을 주고 인수한 만큼 그 기술력은 인정받은 업체며 솔루션이라는 얘기가 되기 때문이다.


    과거 IBM은 AIX라는 UNIX OS를 이용하는 메인프레임 급 서버를 주로 제작하고 판매하는 사업을 진행했다. 1990년대와 2000년대초까지도 이 사업이 주축이었고 지금도 계속 메인프레임 급 서버를 제작하고 판매하고 있다. 하지만 2000년대부터 IBM은 하드웨어 시스템을 판매하는 사업에서 서비스를 판매하는 사업으로 주력을 바꾸게 된다. 하드웨어 사업은 그대로 유지하지만 그 이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바꾸면서 체질개선의 성공 사례로 꼽히게 된다. 그리고 2000년대 후반부터 IBM은 서비스의 중심을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으로 옮기게 된다. SoftLayer의 인수는 어떻게 보면 IBM이 가고자 하는 클라우드 사업의 방점을 찍는 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듯 싶다.


    IBM은 현재 IBM 스마트클라우드(SmartCloud) 서비스라는 이름으로 클라우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SoftLayer 역시 스마트클라우드 서비스의 한 축으로 셀프서비스 기반의 실시간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하고 ISV(independent software vendor, 독립 소프트웨어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SaaS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실시간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베어메탈(Bare Metal) 및 x86 기반의 가상 서버를 제공하고 있으며 Private, Public, Dedicated(전용) 형식의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며 이들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무엇보다 전 세계적으로 13개의 데이터센터를 보유하고 있고 2만여개의 고객을 유치하고 있는 것이 IBM SoftLayer가 갖는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200개가 넘는 내부 클라우드 서비스와 1000개가 넘는 API를 제공함으로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업체에 풍부한 개발 유연성을 제공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야기하면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주제가 가상화다. 보통 가상화 방식으로는 호스트형 가상화와 베어메탈형 가상화를 이야기하는데 호스트형 가상화 방식은 하드웨어 위에 호스트 OS를 올리고 그 위에 하이퍼바이저(Hypervisor, 가상화 솔루션)를 올린 후에 그 환경에서 가상화를 진행하게 된다. 호스트 OS 위에 하이퍼바이저가 올라가기 때문에 호스트 OS의 영향을 받는다. 그에 비해 SoftLayer에서 제공하는 베어메탈 방식은 하드웨어 위에 바로 하이퍼바이저를 올리는 방식이다. 하이퍼바이저가 직접 하드웨어 자원을 관리하고 제어하기 때문에 자원 효율성이 더 높다는 점이 특징이다. 현재 베어메탈 방식의 가상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IBM SoftLayer 뿐이다. 거기에 위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1000개가 넘는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을 위한 API를 제공하고 있으며 기존 IBM이 전통적으로 강점을 보이는 보안성까지 함께 갖추고 있는터라 IBM SoftLayer는 성능적인 부분에 수많은 API를 제공하는 높은 개발 유연성, 그리고 보안성까지 갖춘 클라우드 서비스라고 할 수 있을 듯 싶다. IBM이 본격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그 기반이 이렇기 때문에 자신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싶다.


    이런 우수한 기능과 성능 덕분에 수많은 고객들이 IBM SoftLayer를 이용하고 있다. 특히 고성능에 수많은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웹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객들이 SoftLayer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그 서비스들 중에서 하나를 예로 들어볼까 한다.


    프리젠테이션 공유 서비스로 유명한 슬라이드쉐어(SladeShare)도 SoftLayer의 고객 중 하나다. 잘 알다시피 세계 최대 프리젠테이션 공유 서비스로 100만명 이상의 사용자와 100만개 이상의 프리젠테이션을 공유하고 있는 서비스다. 매일 5000개 이상의 프리젠테이션이 업로드되고 있으며 월 1200만명 이상이 서비스를 이용한다. 프리젠테이션 데이터가 기본적으로 양 자체가 크기 때문에 처리해야 할 데이터가 많다. 그리고 수많은 이용자들이 동시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동시접속 처리와 분산처리 등 해야 할 작업들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런 환경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고용량, 고성능 서버가 많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투입되어야 할 금액이 많다. 그래서 쉽게 서비스할 수가 없는 환경임은 분명하다. 이런 환경에 맞춰서 슬라이드쉐어는 SoftLayer를 통해서 서비스를 진행함으로 고용량, 고성능 서버를 클라우드 환경으로 확보했다. 이런 서비스의 경우 악의적인 목적으로 DDoS 공격을 감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슬라이드쉐어 역시 DDoS 공격을 많이 받고 있는 서비스 중에 하나다. 하지만 SoftLayer의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가 이런 부분을 해소해주고 있다. 즉, 서버 안정성 확보 및 인프라 관련 부분은 SoftLayer에 맡기고 슬라이드쉐어 개발진은 서비스 자체의 질을 높히는데 집중하고 있는 것이다. 생산성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이렇듯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입장에서는 자체적으로 서버를 구축해서 서비스를 진행하는 것보다는 이렇게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여 서비스를 구축하는 경우가 더 많아졌다. 앞서 얘기했듯 자체적으로 서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이 지출되어야 한다. 또한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한 기본적인 운영체제부터 시작하여 웹 서버 솔루션과 보안 솔루션 등 서비스 구축 및 운영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 구입 비용도 만만치 않다. 그래서 서비스를 개발하고 운영하는데에만 집중하기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례들이 많이 생기고 있는데 위의 슬라이드쉐어의 예처럼 SoftLayer를 활용하는 사례도 많이 늘어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타 클라우드 서비스와 다른 차별성(베어메탈 방식, 1000개 이상의 API 제공, 보안성 제공 등)이 매리트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이나 1인 기업, 벤처 기업들이 서비스를 구축할 때 상당히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드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게다가 한국IBM이 기존부터 연결해서 운영중인 수많은 고객 인프라 역시 이들 서비스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IBM은 SoftLayer를 손쉽게 접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1개월 무료 체험 기회를 마련하고 있다. 위의 내용에 대해서 한번 경험해보고 사용해보고 싶다면 1개월 무료 체험을 먼저 진행해보고 괜찮으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해보는 것도 좋을 듯 싶다. 그리고 SoftLayer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아래의 URL을 참고하면 될 듯 싶다.


    SoftLayer 1개월 무료 체험 진행 : http://bit.ly/1hd8QQw


    위의 영상은 IBM의 스마트클라우드와 SoftLayer에 대한 이야기를 동영상으로 담아둔 것이니 위의 내용과 함께 본다면 SoftLayer에 대해서 이해하기 편할 듯 싶다.


    현재까지의 클라우드 서비스의 빅 플레이어(Big Player)는 현재까지는 아마존의 AWS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IBM이 본격적으로 SoftLayer를 통해서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을 본격화하기 시작했으니 향후 어떻게 시장이 진행되어 나갈지 지켜보는 것도 좋을 듯 싶다.


    [참조 : http://bit.ly/1hd8QQw]


    "이 포스팅은 한국 IBM의 의뢰로 원고료를 받고 작성되었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