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를 힐링시켜주는 넥슨컴퓨터박물관 관람기.. 네 번째, 그래픽 카드와 사운드 카드의 역사 속 유물들IT History 2018. 12. 14. 11:52반응형
육지(?)에 살면서 제주도를 몇번이나 갈 수 있을까 싶기는 하지만 그래도 대학교 졸업여행으로 처음으로 제주도에 와 본 이후에 가족여행으로, 또 학회 참석으로, 또 회사일로 나름 6~7번정도는 왔던거 같다. 그리고 이 녀석이 제주도에 생긴 이후에는 올 때마다 꼬박꼬박 들러보고 있기도 하다. 다름아닌 넥슨 컴퓨터박물관 이야기다. 이 블로그에도 몇번 포스팅을 했는데 또 한다. 기록차원에서 말이지.
난 역사에 관련된 것들을 좋아한다. 특히 컴퓨터에 대한 부분은 더욱 좋아한다. 요즘 나오고 있는 컴퓨터들이나 스마트폰, 태블릿들을 보면 무척이나 고성능이면서도 화려하고 디자인도 잘 빠져서 이쁘다. 게임도 그렇다. 요즘 나오고 있는 게임들을 보면 눈이 휘둥그래해질 정도로 화려하다. 그런데 왜인지는 모르지만 난 이상하게 옛날 것들이 더 좋아보인다. 그리워한다고 하는게 맞을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아재 소리를 듣는지도 모른다.
제주도의 넥슨 컴퓨터박물관을 좋아하는 이유도 그런 추억, 그리움 때문이 아닐까 싶다. 내 경우 내 나이대의 사람들과 달리 생각보다 빨리 컴퓨터를 접했다. 처음 접했을 때가 1984년이었고 밑에서도 얘기하겠지만 처음 배웠던 컴퓨터는 Apple ][+ (애플2+인데 저렇게 쓰면 아마도 ‘아!’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을 듯 싶다)였다. 그 이후에 IBM PC/XT부터 쭉 업그레이드를 하면서 사용해왔고 지금 역시 IT쪽 일을 하게 된 이유도 어렸을 때 접했던 컴퓨터의 영향이 컸다고 본다. 그래서 넥슨 컴퓨터박물관에 있는 유물들을 보면 먼 세계의 이야기처럼 안느껴진다. 많은 유물들이 이전에 내가 사용했던 것들이고 주변에서 사용했던 것이고 동시대에 컴퓨터잡지들을 통해 봤던 것들이기 때문이다.
뭐 사설이 길어졌다. 이제 넥슨 컴퓨터박물관 1층을 둘러보면서 내 나름대로의 추억을 다시 한번 되새김을 해보고자 한다. 이 글을 읽는 분들도 함께 그 추억을 공유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순서는 그냥 발길이 가는대로 진행했다(즉, 시대순이 아니라는 얘기다).
참고로 각 항목에 대한 설명도 있지만 그 항목에 대한 감정도 함께 적다보니 글 자체가 감정적으로 흘러갈 수도 있을 것이다. 미리 양해 부탁드린다. 또 하나의 글에 모든 내용을 다 넣어보려고 했는데 글을 쓰기 위해 정리를 하다보니 내용이 너무 많아서 나눠서 글을 연재하기로 했다. 아래의 순서대로 글을 연재할 생각이다.
네 번째, 그래픽 카드와 사운드 카드의 역사 속 유물들
오늘은 네 번째이자 PC의 코어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생각이 되는 그래픽 카드와 사운드 카드의 역사 속 유물들에 대해서 살펴보자.
그래픽 카드의 역사 속 유물들
앞서 저장장치에 대해서 언급을 했는데 PC 주변장치가 저장장치만 있는 것은 아니다. 그래픽 카드 역시 중요한 PC 주변장치(라고 봐도 맞는지 모르겠다. 이건 거의 핵심 부품이라는 개념이 강해서)이다. 지금 사용하고 있는 엔비디아의 지포스(GeForce) 시리즈나 AMD의 라데온 시리즈와 같은 그래픽 카드가 나오기 전에 이런 녀석들이 있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면 무척이나 재밌을 것이라 본다. 간단히 정리해봤다.
MDA
1981년에 나온 그래픽 카드인데 그래픽 카드라고 하기에는 애매한 녀석이다. MDA(모노크롬 디스플레이 어뎁터)라는 녀석인데 텍스트만 표현이 가능했다. 가로 80자, 세로 25자(25줄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을지도)까지 표현이 가능한 그래픽 카드였다. 당연히 흑백만 지원했다(달리 모노크롬이라는 단어가 붙은게 아니지 않는가. ^^). 참고로 이 녀석은 내가 써보지 못한 녀석이다. 그래서 나중에 자료를 더 보강해서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다 ^^;
CGA
MDA와 비슷한 시기에 나온 그래픽 카드인데 컬러 표현이 가능했던 그래픽 카드다. CGA(컬러 그래픽 어뎁터) 카드라 불리던 녀석인데 해상도는 320 x 240, 640 x 200의 2가지 모드를 지원했고 320 x 240 모드에서는 4색을, 640 x 200 모드에서는 흑백(2색)을 지원했다. 내 경우 이 녀석을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SimCGA라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간접적인 경험은 해봤다. 나중에 자료를 더 보강해서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다 ^^;
HGC, 허큘리스 그래픽 카드
내가 IBM PC/XT를 사용하면서 썼던 최초의 그래픽 카드다. HGC(허큘리스 그래픽 카드)라고 했으며 1984년도에 나왔던 그래픽 카드다. CGA보다 높은 해상도인 720 x 348을 지원했지만 흑백만 제공했던 녀석이다. 모니터를 그린 모니터를 쓰게 되면 녹색(그래봤자 흰색이 녹색으로 보인다는거 외에는 똑같다)으로 보였다.
1984년에 나왔을 때에는 720 x 348의 해상도였을지도 모르겠지만 내가 사용했던 HGC는 640 x 400의 해상도를 지원했던 모델을 사용했다. 또 그 당시 세운상가에서 만든 7비트 한글 카드를 함께 넣어서 사용하기도 했고 말이다. 흑백이었지만 CGA때 언급했던 SimCGA라는 CGA 에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GA를 지원하는 게임들을 HGC에서도 사용할 수 있었다(해상도가 CGA보다 HGC가 훨씬 크기 때문에 가능했다). 높은 해상도와 적당한 가격 덕분에 PC의 보급률을 높였다는 평가를 듣는 녀석이다.
EGA
EGA(확장형 그래픽 어뎁터)는 CGA의 후속 그래픽 카드로 CGA보다 더 높은 해상도인 640 x 350에서 무려 16색을 표현할 수 있어서 더 컬러풀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했다. 참고로 난 이 녀석을 사용해보지 못했다. 그리고 밑에 소개할 녀석 때문에 이 녀석도 그렇게 대중화되지 못했던 그래픽 카드로 기억한다. 그래서 나중에 자료를 더 보강해서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다 ^^;
VGA
VGA(비디오 그래픽 어레이)는 어떤 의미에서 지금 나오고 있는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나 AMD 그래픽 카드의 원형이 되는 그래픽 카드라고 보면 된다. EGA의 후속으로 640 x 480, 320 x 200 해상도의 2개의 모드를 제공하며 640 x 480 해상도에서는 16색을, 320 x 200 해상도에서는 256색까지 지원하는 어떤 의미에서 진정한 컬러 지원 그래픽 카드라고 보면 된다. 이 녀석을 기준으로 여기에 비디오 메모리를 더해서 해상도를 높히고 색상 지원을 늘린 것이 지금의 지포스나 라데온 그래픽 카드라고 보면 될 듯 싶다. 나도 컬러 그래픽 카드는 이 녀석부터 사용했었다.
Voodoo 1
부두(Voodoo) 1이라는 3D 가속 기능이 있었던 그래픽 카드다. 3D를 부드럽게 구현하기 위해 만들어진 3D 전용 그래픽 카드라고 보면 된다. 물론 지금은 앞서 설명한 VGA와 함께 지금의 그래픽 카드들의 원형이 된 모델이라고 보면 된다. 즉, VGA 카드와 부두 카드가 합져진 것이 지금의 그래픽 카드의 방식이라고 보면 된다는 것이다(물론 내부 구조는 다르겠지만 말이지). 참고로 난 부두를 사용해보지 않았다. 나중에 부두가 합쳐진 그래픽 카드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중에 자료를 더 보강해서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다 ^^;
사운드 카드의 역사 속 유물들
이전 글에서 저장장치, 앞의 글에서 그래픽 카드에 대해서 설명을 했는데 거기에 빠질 수 없는 주변장치가 바로 사운드 카드가 아닐까 싶다. 지금은 사운드 카드가 메인보드에 붙어서 나오는 내장 사운드 방식이지만 초장기에는 별도의 사운드 카드가 있어야 제대로 된 사운드를 즐길 수 있었다. 그 전에는 비프음이라 불리는 컴퓨터 자체에서 나오는 삑삑 소리 외에는 들을 수 없었던 것이 현실이었다. 넥슨컴퓨터박물관에는 한 5가지 정도의 사운드 카드가 전시되어 있었는데 난 그냥 내 관점에서 기념비가 될만한 사운드 카드만 소개하려고 한다(그래서 2개만 가져와봤다).
AdLib
사운드 카드의 시초라고 한다면 역시나 애드립 카드(AdLib)를 얘기 안할 수 없다. 물론 이전에 Apple II 시리즈에서 사용했던 머킹보드라는 사운드 지원 카드도 있었지만 IBM PC 호환기종이 1990년대의 대세를 이뤘을 때(16비트 PC가 교육용 공식 PC로 지정된 이후 빠르게 IBM PC 호환기종들이 한국 PC 시장을 잠식했다 ^^) 삑삑거리는 비프음에 힘겨워하는 우리들의 귀를 열어줬던 최초의 IBM PC 계열 사운드 카드가 애드립 카드다. 8비트 PCM 사운드를 들려줬기 때문에 지금 기준으로 보면 무척이나 조악한 사운드였지만 그 당시에는 너무나도 환상적인 사운드였다.
나 역시 이 녀석을 세운상가에서 사갖고 집에 와서 내 PC에 설치해서 test.com 프로그램을 돌렸을 때 스피커를 통해서 나오는 그 테스트 음악을 듣고 너무 감격하여(?) 눈물을 흘렸던 기억이 난다. 비주얼컴포저를 통해 음악을 만들 수 있었으며 가사 파일을 더해서 마치 노래방처럼 보이게 하는 앱도 있었다. 앞서 소개한 HGC와 함께 내 PC 역사의 한 획을 그은 녀석이라 더 감회가 새롭다.
Sound Blaster
어쩌면 지금의 사운드 카드의 원형이 될 수 있었던 사운드 카드라고 하며 바로 이 크리에이티브 뮤직 시스템(그 당시 싱가폴에 있었던 회사)에서 만든 사운드 블라스터 카드가 아닐까 싶다. 앞서 설명한 애드립 카드와 비슷한 시기에 나오기는 했는데 이 녀석은 애드립 카드에 간이 MIDI 인터페이스, 마이크 입력 시스템 등 그 당시 얼추 사운드 관련 6개의 기능을 하나의 사운드 카드에 담았다는 컨셉으로 나왔다.
지금도 기억이 나는 것이 사운드 블라스터 카드를 사면 함께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앵무새가 있는데 마이크로 얘기를 하면 앵무새가 내가 말한 내용을 앵무새 사운드로 들려줬다. 앞서 소개한 애드립 카드의 경우 사운드 출력만 가능했는데 사운드 블라스터 카드는 사운드 입력이 가능하다는 것이 큰 특징이었다. 그리고 간이 미디 인터페이스까지 있어서 그 당시 비쌌던 미디 인터페이스를 대체할 수 있었다고 얘기하곤 한다(물론 사운드 블라스터를 지원하는 미디 장비만 가능했다).
내 경우 이 사운드 블라스터의 아류작인 국내에서 만든 옥소리 카드를 갖고 있었다(탤런트 옥소리가 모델로 나왔던 사운드 카드다. 한글 소리가 가능했던 국산형 사운드 블라스터라고 보면 될 듯 싶다). 지금의 사운드 기능의 원형이라고 보면 아주 틀린 말은 아닐 듯 싶다.
글을 마무리하며..
지금은 그래픽 카드의 경우 앞서 언급한 것처럼 별도의 그래픽 카드를 설치해서 쓰기도 하지만 메인보드에 내장되어 나오기도 한다. 즉, 별도의 그래픽 카드를 쓰지 않고도 PC를 사용하는데 문제가 안되는 세상이 된 것이다. 사운드 카드의 경우 MIDI 작업이 아니고서는 별도의 사운드 카드를 끼우는 경우는 없고 대부분이 메인보드에 내장된 사운드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현실이다. 즉, 주변장치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그냥 메인보드에 붙어있는 코어 장치라고도 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렇게 그래픽 카드와 사운드 카드의 역사와 그 속에서의 유물들을 살펴봤다.
다음에는 게임기, 그것도 콘솔 게임기에 대해서 살펴볼까 한다.
넥슨컴퓨터박물관 1층 훓어보는 영상
아래의 영상은 이 글을 포함하여 넥슨컴퓨터박물관 1층을 쭉 둘러본 것을 영상으로 편집한 것이다. 이 포스팅에 있는 내용 뿐만이 아니라 연재되는 다른 포스팅의 내용까지도 영상에 다 담았다. 위의 내용을 읽고 아래의 영상을 보면 좀 더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다만, 영상의 퀄리티가 그렇게 좋지 못한 것이 애시당초 편집을 고려하지 않고 막 찍어서 소스도 좋지 못하고 편집도 iMovie로 날림 편집을 한 것이라 그냥 '이렇구나'라는 생각으로 봐주시길 바란다(^^).
반응형댓글